1860-80년은 전세계에 걸쳐 커다란 정치적 변화가 일어난 시기였다. 1860년대 초부터 70
년대 초에 걸쳐 서유럽, 중유럽, 북미의 선진지역에서는 민주주의 혁명, 민족국가의 형성,
자유주의적 개혁이 잇달아 일어났다.
{{
) 미국의 남북전쟁(1861-65),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성립(1867), 이탈리아의 통일,
독일제국 프랑스 제3공화국성립(1871) 및 벨기에(1857-70), 네덜란드(1862-66), 스웨덴
(1866), 덴마크(1866)의 자유주의적 개혁이 일어났다. 한국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강의]
(서울:한울, 1991), p.249.
}}
이 시기 후진지역에서는 세계자본주의의 영향아래 봉
건제로부터의 이탈과 민족적 자립의 움직임이 나타나 세계정치를 크게 변화시켰다.
{{
) 러시아의 농노해방(1861), 루마니아의 농노해방, 그리스의 왕조교체와 신헌법채택
(1863-64), 세르비아, 루마니아의 독립(1878), 불가리아 자치권 획득(1878), 알제리 민족운
동(1871), 중국의 태평천국 운동(1850-64), 일본의 명치유신(1868), 멕시코의 민주헌법제정
(1858), 스페인령 쿠바의 민족운동 (1868-78), 브라질의 노예해방(1888)과 왕정폐지(1887)
등. Ibid.
}}
이런변
화속에서 산업화된 국가사이에 경쟁이 심하게 되었고, 자본주의 국가들은 다른 국가들 보다
먼저 원자재를 확보하기 위해 원격지시장을 지배해야 했다. 유럽인의 진출에 있어서 신항로
초기에는 포르투칼과 에스파니아 상인들이 아시아 무역의 이익을 독점하였으나 점차로 네덜
란드, 영국, 프랑스도 아시아 무역에 가담하여 경쟁은 치열해져 갔다.
1.미국의 접근
a) 미국의 정책
미국은 먼로주의
{{
) 신복룡, "개항초기 한미관계와 기독교", [기독교 사상] 제20권, 1976년 10월, p.59. 먼
로주의는 1823년 12월 2일 미국 제 5대 대통령인 J. Monroe(1758-1831)가 의회 연두교서에
발표한 미국 외교 정책의 기본방침. 그중 4가지 기본사항은 1)미국은 유럽 열강의 국내문제
나 열강 사이의 세력 다툼에 개입하지 않는다. 2)미국은 아메리카 대륙의 기존 식민지와 보
호령을 인정하고 간섭하지 않는다. 3)장차 아메리카 대륙에서의 식민지 건설을 엄금한다. 4)
유럽열강이 아메리카 대륙의 어떠한 나라라도 억압하고 통제하려고 한다면, 이는 미국에 대
한 적대행위로 간주될 것이다. 브리테니커백과사전사, [브리테니커백과사전] 7집, (서울:브
리테니커백과사전사, 1993), p.360.
}}
에서 부터 대극동정책의 특색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미국은 유럽과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있었기 떠문에 소신있는 정책을 수행하면서도 유럽의 강대국으로 부터
침략을 받을 위험성이 없었고, 자신의 풍부한 자원으로 굳이 해외개척의 필요성을 느끼지 않
았으며, 그리고 청교도정신에 입각한 그들의 건국정신으로 유럽의 간섭을 혐오하고 있었던
것으로 인하여 그 정책의 정당성을 부여 했다. 이 먼로주의는 초기의 대한 정책에도 잘 반영
되었다. 이 미국의 고립주의는 19세기 후반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19세기 말엽 잉여 제품
을 처리하는 문제와 축적 자본을 재투자한다는 문제에 직면하게 되자 그들은 자신들의 외교
정책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태도를 바꾸기 시작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하와이를 거쳐 극동
에로 눈길을 돌리기 시작했다. 미국이 극동에 눈을 돌리게 된 이유는 다른 열강들의 입장과
마찬가지로 상품시장으로서의 청에 대한 접근에서 비롯되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청은 대륙이
너무 넓고 또 멀리 떨어져 있어서 중간기착지를 확보한다는 것이 매우 긴요한 문제로 등장하
게 되었다. 청을 겨눈다는 문제는 단순히 청에게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었으며 부수적으로
인근에 있는 일본, 조선, 대만에 까지 외교문제를 확산시키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미국은 유
럽의 열강들과는 달리 영토적 야욕은 없었다는 점이 특색이다.
{{
) Ibid.,
}}
b) 미국의 접근 동기
미국이 조선에 접근하게 된 동기는 미국의 선박들이 조선의 근해에서 조난을 당하였을
경우 선원의 박해를 면하고, 미국의 상선이 청과의 통상을 위해서 항해할 때 식수 연료의 보
급을 위하여 기항지를 얻고 기독교 문명을 전하려고 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1866년 7월 미국
의 제너럴 셔먼호가 열강중 최초로 조선에 상륙했다.
{{
) 한국역사연구회는 제너럴 셔먼호의 대동강 상륙을 "침략적 도발"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므
로 미국의 제국주의적 야욕이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역사연구회, op.cit., p.233.
}}
평양주민들은 평안감영의 군사와 합
세하여 셔먼호를 불태우고 무장선원을 모두 살해하였다. 미국은 제너럴 셔먼호 사건 이후 청
을 통해 이 사건의 책임자 처벌, 배상금 지급 및 통상조약의 체결을 요구하려 하였다. 그러
나 청이 조선 내정에 간섭할 수 없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하자 1871년 4월 조선을 침략(신미
양요)하였으나, 대원군정권에 의해 패하게 되었다.
c)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체결과 미국의 태도
제너럴 셔먼호 사건(1866), 신미양요(1871)등, 불행한 사태를 거친뒤 1882년 조미수교통
상조약이 체결되었다. 조미조약에는 최혜국대우 조항이 포함되므로써 이후 서구 열강이 조선
에서 동일한 이권을 균등하게 차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미국은 선박기술의 발달로 대
청 항로의 기항지로서는 일본만으로도 충분하다고 여겼고, 극동에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발
판으로는 일본만으로도 만족하리라고 믿었기 때문에 잘알려지지 않은 극동의 작은 나라인 조
선을 외면하기 시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