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
정희성
어느 날 당신과 내가
날과 씨로 만나서
하나의 꿈을 엮을 수만 있다면
우리들의 꿈이 만나
한 폭의 비단이 된다면
나는 기다리리, 추운 길목에서
오랜 침묵과 외로움 끝에
한 슬픔이 다른 슬픔에게 손을 주고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의
그윽한 눈을 들여다볼 때
어느 겨울인들
우리들의 사랑을 춥게 하리
외롭고 긴 기다림 끝에
어느 날 당신과 내가 만나
하나의 꿈을 엮을 수만 있다면
―시집『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창작과비평사, 1991)
―최동호 신범순 정과리 이광호 엮음『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 (문학과지성사, 2007)
민중 시인인 정희성 시인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시는 읽을 수록 정감이 간다. ‘오랜 침묵과 외로움 끝에 당신과 내가 만나 아름다운 사랑으로 가득한 세상을 만들어가자는 염원을 담은 시‘라고 한다. 언뜻 남녀 간의 사랑 시로도 읽히고 어떤 이는 남북통일을 연관시켜 읽기도 한다. 시를 쓴 시인의 의도와 상관없이 해석되고 읽혀지기도 하는 것이 시를 읽는 또 다른 즐거움이 아닐까 한다.
시를 많이 접한 사람들에게는 진부하고 상투적으로 보이는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현대시 100년을 맞아 조선일보에서 연재한「한국 현대시 100주년 시인 100명이 추천한 애송詩」 100편 중 71에 들어가 있을 뿐 아니라 지금도 일반인들에게는 널리 회자되고 있다. 좋은 시가 명시의 반열에 오르려면 어렵지 않은 언어와 일반인들에게도 쉽게 읽혀지는 시가 아닐까 싶다.
(현대시 100주년 문학과지성사에서 출판한 한국문학선집에 수록된 시 4편)
http://blog.daum.net/threehornmountain/13751198
첫댓글 요즘에는 시가 왜 자꾸 어려워지는지 이해 못하는 글이 너무 많아요
쉽고 따스하게 느껴지는 글은 마음에 오래 남지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한 편의 좋은 시가 인고의 숙련 과정을 거쳐 태어나는 것이지요.
고품질의 시를 쓰기가 그만큼 어렵다는 반증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