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땅에 있는 국보역사유적 고찰◈
(1) 북한국보 1호 평양성 (平壤城) 고구려는 427년 보다 조건이 유리한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다. 그러나 고구려의 수도로서는 부족한 점이 있어 고구려는 지난 시기 수도방위의 교훈과 강력하여진 국력에 기초하여 도시 전부를 성벽으로 둘러막은 새 수도용 평양성을 건설하게 되었다 평양성은 북쪽에 금수산이 솟고, 동, 서, 남 세면에 대동강과 보통강이 둘러막아 해자를 이룬 유리한 지대에 자리잡았다. 그 둘레는 약 16km이다. 평양성은 산성과 평지성의 잇점을 종합하여 고구려 사람들이 창안해낸 평산성형식의 새로운 수도성이었다
(2) 북한국보 3호 보통문 (普通門)
(3) 북한국보 4호 대동문 (大同門) 대동문은 고구려 평양성 내성의 동문으로 처음 세워졌다. 947년 중건하였다가 1011년 화재로 파괴된 것을 그후 다시 세웠다가 병자호란 때 또다시 소실되었다. 지금의 문루는 1635년 재건하고 1852년과 그 이후에 보수를 거듭하여 완성한 것이다.
(4) 북한국보 18호 칠성문(七星門) 칠성문은 북한지정 국보 제18호로, 평양시 중구역 경상동에 위치한다. 6세기 중엽에 고구려 평양성 내성의 북문에 처음 세웠다가 1712년 조선시대에 다시 세운 문이다. 이름은 하늘 북쪽에 위치한 북두칠성에서 따 북문이란 뜻으로 붙여진 것이다. 이 성문의 문루는 정면 3칸 7.38m, 측면 2칸 4.36m의 단층건물이다. 문루에는 사방 돌아가면서 흘림기둥을 세웠는데 정면 가운데는 무지개문길을 피하여 조금 넓게 잡았다
(5) 북한국보 8호 대성산성 (大成山城)
(6) 북한국보 10호 대성산성 남문 (大成山城 南門)
(7) 북한국보 18호 을밀대 (乙蜜臺) 평양시 중구역 금수산의 을밀봉에 있는 을밀대는 6세기 중엽 고구려시기에 평양성 내성의 북쪽 장대로 처음 세워진 누정이다. 을밀대란 '윗미르터(윗밀이언덕)'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여기에 '을밀선인'이 자주 하늘에서 내려와 논데서, 또는 '을밀장군(을지문덕 장군의 아들)'이 이 곳을 지켜 싸운데서 온 이름이라는 전설도 있다. 지금의 누정은 1714년에 축대를 보수하면서 고쳐 지은 것이다 을밀대 주위의 아름다운 경치는 '을밀상춘(을밀대의 봄맞이)'으로 일찍부터 백성들의 사랑을 받아 평양8경의 하나로 일러왔다
(8) 북한국보 31호 백상루
(9) 북한국보 23호 평양종(平壤鐘)
(10) 북한국보 36호 동명왕릉 (東明王 陵) 제당(전실 높이 10m,제실높이 13m) 이 능은 평양시 역포구역 용산리에 위치하고 있다. 북한에서는 이 무덤을 5세기에 재축조된 고구려 시조 동명왕의 무덤이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1993년에 대대적으로 개건되었다. 부여에서 태어났다고 전하는 동명왕(고주몽, 혹은 추모)은 어린 시절부터 무술에 능하고 지략이 출중하였는데, 뜻을 같이 했던 오이, 마리, 협부 등과 함께 남쪽으로 내려와 고구려를 세웠다고 한다. 동명왕은 주변의 소국들을 통합하고 외적들을 물리치면서 19년 동안 나라를 다스리다가 하늘로 올라갔다고 전하고 있다.
(11)북한국보 179호 고려태조 왕건릉 (王建陵)
(12) 북한국보 123호 고려 공민왕릉
(13)북한국보 18호 함흥 본궁 (咸興 本宮) 함흥본궁(咸興本宮)은 조선의태조 이성계가 왕이 되기 전에 살던 집으로 뒤에 왕이 된 방과(정종)와 방원이(芳遠:태종)이 이곳에서 태어났다. 이성계는 이곳에서 아들인 태조 방원이 보낸 사신들을 죽이거나 가두곤 했는데 '함흥차사'라는 말은 바로 여기에서 연유한 것이다. 한국전쟁때 일부 파괴되었으나 여러 차례 보수하여 대부분 복구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정전과 이성계 조상들의 위패를 모셨던 이안전, 누각인 풍패루 등이다.
(14) 북한국보 18호
(15) 북한국보 18호 풍패루 풍패루(豊沛樓)는 주위환경과 잘 조화된 2층 다락집이다. 풍패루 앞에는 넓은 연못이 있고 연못 속에는 작은 섬 하나를 만들어 놓았으며 주위에는 나무를 심어 그늘이 지게 하였다. 풍패루에서는 못 가운데 활짝 핀 연꽃을 보는 광경이 매우 훌륭하고, 잔잔한 연못 속에 풍패루의 2층 다락 그림자가 담긴 풍경이 아름답다.
(16) 북한국보 18호 함흥성 구천각 (咸興城九千閣)
(17) 북한국보 124호 개성 남대문 (開城 南大門)
(18) 북한국보 159호 개성 산죽교 (開城 善竹橋)
◈아름다운 황혼열차◈ |
|
첫댓글 국보,사진으로만 봐서도 다행입니다.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북한에 있는 국보 유적들 잘 보았습니다.고맙습니다.
즐감하고 갑니다.
북한 유적은 대부분 평양과 함흥 인가 보네요
감사합니다,
국보 모두 멋지게 잘 보존되어 있군요~
아름다운 국보작품 감사한 마음으로 즐감하고 나갑니다 수고하여 올려 주신 덕분에
편히 앉아서 잠시 즐기면서 머물다 갑니다 항상 건강 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어서 통일이 되어 북한 땅을 밟고싶습니다. 작은 나라가 분단되어 있어 참으로 답답함을 느낍니다. 정치인들이 정직해야함을 절실히 느낍니다. 감사합니다.
국보급 유물 잘 보고
감사합니다
귀한자료 감사 합니다.
평양에있는 국보급,개경에있는국보,등 잘보고갑니다.나는 전쟁전에 개성을 방문 ,개성남문,선죽교를 방문하여
선주교 다리 정몽주가 죽었다는 자리에 물을 부어보면 벌거게 피자욱이 선명하게 보였다,정몽주가 나라를 잃은
원한으로 아직까지 피가 마르지않고 있다고하니,나라에 충신이 아니겠는가.70여년이 지난 지금도 아련히 떠오른다.
북한에 국보 잘 보고갑니다.고맙습니다.늘 건강 하세요.
북한국보 유적들 잘보고 갑니다
감사 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잘보았습니다 감사
잘 감상합니다.
북한 국보 감상 잘 했습니다.
살아서 한 번 구경 다녀왔으면 얼마나 좋으련마는
남북 통일이 되여서 현지를 방문하기를 기원합니다.
북한에 있는 국보 감상기회 감사합니다.
잘보았읍니다 감사합니다, ^&^
북한에 잘보존되어있는 국보급문화제 감사하게 잘보았습니다 통일이 어서되어 남북이 서로 오고가고하면 얼마나 좋겠어요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북한땅에 있는 국보역사유적 고찰감사합니다.
우리의 국보 보물 잘 보구가지요 감사합니다
좋은 내용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인터넷은 우리가 함께 만들어가는 소중한 공간입니다.
댓글 작성 시 타인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주세요.
우리의 국보 보물 잘 보구가지요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
조상님의 국보 10분에 걸쳐 두번 보고 기한 자료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잘보고갑니다.소천옹달샘.
통일이 되어야 하지요
꼭 남의 나라 유적 처럼 되어 가는 것이 안타캅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귀한자료 즐감하고 다녀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