庚 기신 甲용신
寅 용신 申기신
통변은 많은 변수가 있고 전체를 봐야 하지만 단편적인 예를 들어 위와이 年운이 오고 용신이 甲寅목이고 庚申금은
기신이라고 할때의 예입니다.
연운의 경우 천간이 중요하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천간 으로 성패를 논한다고 하는데 이때 성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지지와의 연결이
어려워요~~
여기서 성패란 명조가 금년에 바라는 목적사가 실현되는가 안되는가의 가부를 말하는것이라면
庚寅년의 경우 천간이 기신이니 일단 목적사가 이루어 지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될까요.
그런데 지지가 寅木용신인데 어떻게 연결 지어 설명하면 좋을지요.
또한 甲申운의 경우는 반대로 천간 甲木이 용신이니 금년에 바라는 목적사가 실현된다고 판단한다면
지지 기신 申金하고 어떻게 연결 해야 할까요.
그럼,가르침 부탁드리겠습니다.~
첫댓글 ㅋ 나도 이거 궁금하던데... 보통 천간 지지의 힘의 강약이 어느쪽이 센지를 봐서 센쪽으로 통변을 하되 가중치를 둬서한다고 들었는데... 가령 경인년의 경우 경신년보단 덜 나쁘다 이정도..^^아닐까 합니다.
꽃은 피었으나 뿌리가 없는 꽃이 될 수가 있고,
꽃은 피지 않았으나 뿌리가 튼튼한 경우가 있죠.
또한
꽃은 짤렸으나 뿌리가 남은 경우가 있고,
꽃도 짤렸고 뿌리도 없는데, 새로운 뿌리가 생기는 경우도 있죠.
천간은 동(動)는 것 즉 기(氣)는 있으나 세(勢)가 없고,
지지는 정(靜)하지만 세력이 있는 것으로 보시면 될 것입니다.
비유로 하시는 말씀이라 초보인 저에게는 어려운 말이네요... 이것을 통변술에 적용할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천간용지지기는 목적하는 바를 어느정도 성취는 하나 실익이 적고(길중흉 혹은 유명무실 ) 천간기지지용은 뜻하는대로 이루진 않는것 같으나 자세히 손익을 따져보면 그래도 남는 장사를 했다(흉중길) 머 이런뜻 아닐까요 저도 잘은 모르겠으나 지지의 세력이 정적이나 천간에 비해 막강한것만은 틀림없으므로 결국 질적인 성패는 지지에 달리지 않았나 싶습니다
조금 어렵지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