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 쉰이 넘어서 만학으로 음악을 전공한 후 의욕을 불태웠던 김노현님이
작사, 작곡한 ‘황혼의 노래’는 평남 대동군의 봄을
사무치게 그리움으로 회상하며 낙화암에서 지은 노래이다.
어스름 해가 지는 황혼녘, 그의 머릿속에는 다시는 가 볼 수 없는 꿈의 고향이,
마음이 저리도록 그리워진 심정을 담고 있다.
그러나 멜로디는 애수적이라기 보다는 적극적이고 밝은 편에 속한다.
작곡가이자 치과의사였던 김노현이 이 곡을 작사 작곡한 것은
1970년 봄. 울적하고 고향 생각이 사무칠 때마다 찾아가는 부여 낙화암에서였다.
낙화암과 그 절벽 밑을 흐르는 백마강은 그의 향수를 달래주기에 충분한 절경이다.
그는 동네에 있는 대동강과 그 강에 면한 부벽루,
청루벽과 능라도 반월섬에서 매알 같이 놀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백마강과 그 강에 우뚝 솟은 낙화암, 그리고 고란사는
대동강을 닮은 것 같아 이곳에 오면 마음이 조금 가라앉곤 하였다.
어느 봄날 낙화암에 올라서서 백제가 망할 때의 삼천 궁녀가 꽃처럼 몸을 날려
백마강에 투신한 한 서린 정경을 상상하다가
지금쯤 진달래 피고 아지랑이가 피고 있을 고향 생각이 떠올랐다.
마침 해가 서쪽 수평선에 잠기는 황혼녘이라 애수는 더욱 짙었다.
나이로 보아서도 인생의 황혼에 선 그로서는 고향이 더욱 그리워졌다.
시인도 아니면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시를 그대로 토해냈다.
그리고 곡을 붙였다. 악보를 정리한 곳은 전쟁 후 살아 온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169의 10 자택 겸 병원(안성치과)에서였다.
‘황혼의 노래’ 초연은 1975년 그가 회장으로 있던 한국성악회 회원발표에서였다.
성악가이자 의사이며 12대 전국구 국회의원이었던 박성태 씨가 불렀다.
그 후 엄정행, 박인수,신영조, 백남옥, 강화자 씨 등이 불러 방송과 레코드로 소개 되었다.
그는 ‘낙화암’이란 가곡도 ‘황혼의 노래’와 같은 무렵에 작사. 작곡했다.
착수에서 완성까지 2~3일이 걸렸다.
그는 가곡 50여 곡과 성가 20곡 ,현악 4중주곡과 오페라‘심청전’과 ‘사랑과 죽음’을 작곡했다.
‘황혼의 노래’는 시보다 가락의 매력으로 사랑받는 곡이다.
‘황혼의 노래’ 가사를 보면 가사 중에‘황혼의 노래’라는 구절이 있는 것 외에는
‘황혼’과는 별 관계없는 내용임에도 매니아들이 이 곡을 애창하는 이유는
가사가 주는 정서보다 가락 속으로 마음이 먼저 끌려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