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수서원꼬불꼬불 죽령을 넘어 닿는 곳에 풍기읍이 있다. 여기서 소백산 쪽인 동북 방향으로 접어들어 가노라면 세월의 무게가 느껴지는 유적들을 만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소백산 비로봉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소리만 들어도 가슴이 시원해지는 맑은 죽계천가에 자리한 소수서원은 우리나라 사립교육기관의 첫 발자취이다. 소수서원의 옛모습1543년에 풍기 군수 주세붕이 세운 우리나라 최초의 사립교육기관이다. 서원의 일반적인 배치방식인 전학후묘가 아니라 동학서묘의 독특한 배치로 지어졌는데 지금도 옛모습과 크게 달라진 것은 없다. 그러나 근래 서원 뒤에 세운 사료전시관과 교육관 건물이 너무 커서 서원을 압도하고 있는 점이 아쉽다. 소수서원은 주세붕(周世鵬, 1495~1554)1)으로부터 시작되었다. 풍기 군수로 부임한 주세붕은 우리나라 성리학의 선구자 문성공 안향 선생이 젊어서 공부하던 이곳 백운동에 중종 37년(1542)에 영정을 모신 사묘(祠廟)를 세웠다. 그리고 이듬해에 중국에서 주자가 세운 백록동서원을 본떠 양반자제 교육기관인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세웠다. 그후 퇴계 이황이 풍기 군수로 부임하면서 명종 5년(1550)에 왕에게 진언을 올려 ‘紹修書院’(소수서원)이라는 현판을 하사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소수서원은 대원군의 서원 철폐 때 살아남은 47개소에 들었으며 사적 제55호이다. 조선시대의 사립대학이랄 수 있는 서원은 그렇게 탄생되었고 조선 중·후기에 걸쳐 많은 인재를 배출하면서 학문과 정치의 요람이 되었다. 서원이 생기기 전의 교육기관으로는 중앙의 성균관과 4부학당, 지방의 향교가 있었다. 관립기관인 향교는 사립교육기관인 서원이 생기면서부터 사실상 교육의 기능을 서원에 내주고 문묘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역할이 줄어들었다. 서원은 특히 경상도에 많이 세워졌는데, 조선 중종대부터 철종대까지 세워진 서원 417개소 중 40%가 넘는 173개소가 경상도에 집중돼 있다. 또 전국적으로 200여 곳인 사액서원 가운데 56개소가 경상도에 있다. 경북 북부지방이 아직도 ‘추로지향’(鄒魯之鄕), 곧 공자와 맹자의 고향이라는 자부심을 지니고 있는 것은 이러한 내력 때문이며 이와 같은 학문의 맥은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다. 정문으로 들어서면 먼저 강당인 명륜당과 마주하게 된다. 강당은 유생들이 모여서 강의를 듣는 곳으로 넓은 마루를 중심으로 온돌방이 달려 있는 것이 보통이다. ‘白雲洞’이라는 현판이 달려 있는 이 강학당은 동향을 하고 있는데 규모가 정면 4칸 측면 3칸이며 팔작기와집이다. 강당 안의 대청 북쪽면에는 명종의 친필인 ‘紹修書院’이란 현판이 걸려 있으니 바로 서원의 중심건물임을 말해준다. 그 뒤에 있는 일신재(日新齋)와 직방재(直方齋)는 선비들의 기거공간인 동재와 서재이다. 현판은 둘 있지만 집은 이어진 한 채이다. 명륜당이 동서로 길게 앉아 있는 데 비해 이 집은 남북으로 앉아 있다. 가운데에 각각 한 칸짜리 대청이 있고 양옆으로 벌어져 온돌방이 있는데, 좁은 툇마루를 앞에 두고 칸칸이 나뉜 한 칸짜리 방들이 매우 아담하다. 집중하여 공부하기에 큰 방이 필요치 않다고 여겼던 옛사람들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그 오른편 개울 쪽으로는 ㄱ자로 앉혀진 학구재(學求齋)와 지락재(至樂齋)가 있다. 지락재는 개울을 마주한 담장에 연해 있으니, 많은 유생들이 이곳에서 자연의 기운을 만끽하며 호연지기를 기르고 학문 연마에 심취했으리라. 이 소수서원의 작은 방과 마루를 모두 4천여 명의 유생들이 거쳐갔다고 한다. 서원의 또 한 가지 중요한 역할은 제사를 드리는 기능이다. 서원마다 어떤 선비를 모셨는가에 따라 그 서원의 품격과 세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서원들마다 앞다투어 영향력 큰 선비를 모시려고 했다. 소수서원은 처음에는 안향을 모시는 사묘로 출발하였는데, 사당공간은 강당 왼편으로 담장 안에 있으며 이 서원 안에서는 유일하게 단청을 칠했다. 이 사당에는 안향 선생말고도 뒤에 안보(安輔)와 안축(安軸)2), 주세붕을 함께 모셔 배향하고 있다. 사당 바로 뒤 나무판자벽으로 된 자그마한 집은 책을 보관하는 장서각(藏書閣)이고 그 뒷건물은 전사청(典祀廳)으로 제사 때 음식을 준비하는 곳이다. 안향(安珦, 1243~1306)은 안유(安裕)라고도 하는데, 고려시대 사람으로 흥주 죽계 상평리에서 태어났다. 만년에 송나라의 주자를 추모하여 그 호인 회암(晦庵)을 모방하여 호를 회헌(晦軒)이라고 지을 만큼 주자학에 대한 경도가 깊었다. 원나라에 가서 그곳 학풍을 직접 느끼고 주자서를 베껴와 우리나라에 보급하는 노력을 기울여 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로 불린다. 그가 원나라에 가게 되었던 것은 우리나라 왕과 원나라 공주이기도 한 왕비를 호종하는 직책을 맡아서였다. 원나라의 지배를 받는 현실을 헤쳐나갈 새로운 사상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던 때 명분을 중시하면서 주지적인 주자학을 만난 안향은, 주자학이야말로 새시대를 열어가기에 합당한 사상, 새로운 철학이라고 여겼을 것이다. 안향의 노력 덕분이었는지 백년여 뒤에는 마침내 주자성리학을 수양과 치세의 원리로 삼은 성리학자들이 중심이 되어 새로운 왕조를 개창하고 유교를 통치원리로 삼았다. 그러므로 조선시대에 와서 안향을 받드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안향 영정우리나라 최초의 주자학자로 불리는 안향의 상으로 온화하면서도 결단력 있어 보이는 단단한 인상이다. 현재 영정각에 모신 초상은 고려 충숙왕 때 처음 그려진 초상의 이모본을 다시 조선 명종 때 고쳐 그린 것이다. 최초의 서원이니만큼 간직한 문화재도 많고 연구할 거리도 많아 소수서원은 전속 연구원을 두어 연구를 하게 하고 있다. 유물전시관에서는 강학 모습, 제향 모습의 모형을 갖추어 옛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보물 제717호인 주세붕 영정도 있는데 반신상에 사모관대를 한 모습이다. 소수서원 가까이 있는 금성단은 문이 잠겨 있는 경우가 자주 있다. 금성단을 둘러보려면, 순흥 면사무소 또는 소수서원을 찾아가거나 전화를 하면 담당직원이 나와 문을 열고 안내해준다. 백운동 글자가 새겨진 죽계천 건너에는 취한대라 부르는 정자가 있고 정자 오른쪽 숲속에는 돌탑이 있다. 취한대는 원래 터만 남아 있었는데 근래 다시 복원한 것이며 돌탑은 인근 청구리 사람들이 해마다 정월 보름이면 모여 제를 지내면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곳이다. 현재 죽계천 건너 취한대와 돌탑은 소수서원 관리상 일반인의 출입을 금하고 있다. 교통, 숙식 등 여행에 필요한 기초 정보영주시 순흥면 내죽리에 있다. 성혈사에서 다시 쌍용정유 순흥주유소가 있는 사거리로 나와 왼쪽 부석사로 난 931번 지방도로를 따라 0.8㎞ 가면 길 오른쪽에 소수서원이 나온다. 서원 앞에는 넓은 주차장이 있다. 서원 앞에서 부석사 쪽으로 약 150m 가면 길 왼쪽에 금성단으로 가는 마을길이 나온다. 알찬 답사, 즐거운 여행을 도와주는 유익한 정보소수서원에서 성혈사로 가다보면 배점교 바로 못미처 배점리 삼거리가 나오고 삼거리에서 왼쪽으로는 초암사로 가는 길이 나 있다. 이 길을 따라 소백산국립공원 매표소를 지나 초암사로 가는 길에는 맑은 물이 흐르는 죽계계곡이 펼쳐진다. 죽계계곡은 고려 말의 문신인 안축이 『죽계별곡』을 지었으며 퇴계 이황도 계곡의 굽이굽이를 헤아려 죽계구곡이라 이름 지을 정도로 뛰어난 풍광을 자랑하는 소백산의 숨은 명소이다(사람들이 모이는 여름철을 제외하고는 항상 한적하다). 배점리 삼거리에서 초암사까지는 3.5㎞이다. 승용차는 초암사까지 갈 수 있으나 대형버스는 배점리 삼거리에 있는 주차장에 주차해야 한다. 대중교통은 성혈사와 같으며, 배점리 삼거리에서 내려 걸어가야 한다. 죽계계곡과 초암사 주변에는 숙식할 곳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