養子不經師(양자불경사) : 아이를 스승 두어 가르치지 않으면
不及都亭鼠(불급도정서) : 들녘에 사는 생쥐만도 못하게 되네
何曾見好人(하증견호인) : 그래야 좋은 사람 만나볼 수 있고
豈聞長者語(기문장자어) : 어른의 가르침을 들어 볼 수 있다네
爲染在薰蕕(위염재훈유) : 그 몸에 물 드는게 향기일지 냄새일지는
應須擇朋侶(응수택붕려) : 어떤 스승과 친구를 만나느냐에 달려있네
五月販鮮魚(오월판선어) : 오월더위에 팔리는 생선 같아서는
莫敎人笑汝(막교인소여) :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어버린다네
▶薰蕕(훈유) : 향기가 있는 풀과 냄새가 나는 풀. 선과 악의 비유.
▶朋侶(붕려) : 친구. 반려. 동반자.
첫댓글 _()()()_
_()()()_
養子不經師. 퍼뜩 머리를 스쳐가는 타잔.
향기를 주시는 스님을 만나진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
_()()()_
_()()()_
_()()()_
_()()()_
_()()()_
_()()()_
_()()()_
그 몸에 물 드는게 향기일지 냄새일지는
어떤 스승과 친구를 만나느냐에 달려있네.._()()()_
_()()()_
_()()()_
_()()()_
_()()()_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