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류작가 박경리와 박완서의 노년관(老年觀)
소설가 박경리 씨는 운명하기
몇 달 전 이렇게 말했습니다.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모진 세월 가고...
아아~~~ 편안하다.
늙어서 이렇게 편안한 것을...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다음은 노년의
박완서 선생이▼썼던 글입니다.
"나이가 드니 마음 놓고
고무줄 바지를 입을 수 있는 것처럼
나 편한 대로 헐렁하게 살 수 있어서 좋고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안 할 수 있어 좋다.
다시 젊어지고 싶지 않다.
하고 싶지 않은 것을 안 하고
싶다고 말 할 수 있는 자유가 얼마나
좋은데 젊음과 바꾸겠는가. . .
다시 태어나고 싶지 않다.
난 살아오면서 볼 꼴,
못 볼 꼴 충분히 봤다.
한 번 본 거 두 번 보고 싶지 않다.
한 겹 두 겹 어떤 책임을 벗고
점점 가벼워지는 느낌을
음미하면서 살아가고 싶다.
소설도 써지면 쓰겠지만
안 써져도 그만이다."
두 분은 한국 문단을
대표하는 여류 소설가였습니다.
그러면서도 조용한 시골집에서
행복하게 삶을 마감했던 분들입니다.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말이 있지요.
가장 아름다운 인생(上善)은 물처럼
사는 것(若水)이라는 뜻입니다.
물처럼 살다가 물처럼 가는 것이
인생이라면 이처럼 인간의 삶을
진지하게 표현하는 말도
없을 듯 싶습니다.
위의 두 분은 물처럼 살다 간
대표적인 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흐르는 물처럼 남과 다투거나
경쟁하지 않는 부쟁(不爭)의
삶을 보여주었고,
만물을 길러주고 키워주지만
자신의 공을 남에게 과시하려
하거나 결코 다투려 하지 않는
상선약수(上善若水)의
초연한 삶을 살았습니다.
그래서 두 분의 삶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것은 자유로움이었습니다.
유유히 흘러가는 강물처럼
부딪치는 모든 것들을 배우고
만나는 모든 것들과 소통하며
끊임없이 장강(長江)의 글을 쓰면서
그 글 속에서
인생과 사랑을 말했습니다.
말년의 두 분은
노년의 아름다움을
온 몸으로 보여 주었습니다.
후배들에게 이렇게 나이 먹어야
한다고 아무 말 없이 조용한
몸짓으로 표현했습니다.
박경리 씨는 원주의 산골에서
박완서 씨는 구리의
어느 시골 동네에서
흙을 파고 나무를 가꾸면서
빛나는 노년의 침묵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노년의 행복이 무엇인지
온몸으로 말했습니다. 천천히 걸어도 빨리 달려도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오직 한 세상뿐입니다.
더러는 조금 짧게 살다가,
더러는 조금 길게 살다가
우리는 가야 할 곳으로 떠나갑니다.
두 분의 삶을 바라보면
이 소중한 시간을 이해하면서 살라고,
배려하면서 살라고 고개를
끄덕이며 말하는 것 같습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둘도 없는 삶을
지난날을 돌이키며 후회하기
보다는 남은 날을 아름답게
가꾸는 일에 희망과 행복을
찾아보자고 다독여 주는 것 같습니다.
두 분의 삶에서 배웁니다.
고마움을 느끼는 일상~
조그만 일에 끊임없이
감사함을 느끼는 노년~
그렇게 넉넉한 마음의
행복을 배우게 됩니다.
- 받은글 공유 - |
첫댓글 상선약수 참 좋은 글이네.그리고 많이 본 글이고. 그런데 정말 인생이 물같이 흘러가면 잘 살았다고 할 수 있을까? ??? 글쎄 정답인지 오답인지 답을 모르겠네.
좋은 이라는 단어를 칠려고 했는데 갑자기 조자 밑 받침이 ㄶ인지 ㅀ인지 생각이 나지 않아 옆에 있는 아들이 쓰던 책꽂이에서 한글 사전이 없어 옥편을 들고 좋을 호자를 찾으니 좋을 호라고 나와 있어서 좋은 글이라고 쳤네. 가끔 친구 이름이 생각나지 않아 몇 시간 후에 집에 와서 생각해 낸 기억은 있는데 .........................
그건 정상이다. 나이는 속일수 없는것 우리 나이때는 누구나 대부분 그러리라 생각한다
나도 생각이 않나 휴대폰 주소란을 찾아본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몹시 덥다. 더위에 건강유의 하기 바란다
연륜의 삶이 묻어나눈구랴~~편안하게 받아드리는 마음가짐이 부러울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