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올해 김장밭에 나가 보지도 못했네. 무우 배추 갈고 고추 따서 말리고 요즘 사잇골 식구들은 바쁘다. '작업반장' 상기 아우는 그 못 버리겠다던 늦잠 버릇도 걷어차고 농사철 내내 동틀 때 일어나 논에 간다. 퇴근하면 또 해질 때까지 밭일을 한다. '내가 농사에 밀리면 형도 병에 밀린다'는 마음이라 한다. 그래 아우야, 니 마음을 모르겠나. 사잇골 식구들 마음, 동무들 마음을 모르겠나. 나 안 밀릴게.
지난해에는 네 집 김장을 같이 했더랬지. 마리아네, 용명네, 상기네, 우리 집. 김장 날, 잔치도 그런 잔치가 없었다. 올 가을엔 기범이 오두막 뒤꼍에도 한 독 묻어야겠지. 다섯 집 김장이다. 열 집 김장을 할 날도 머지않아 오겠지. 조용명이 말한 '꼬질꼬질한 작업복이 어울리는 거지들의 나라' 가장 큰 잔칫날이 되겠지.
어릴 적 고향집에서는 김장을 요즘 너댓 집 하는 만큼 했던 것 같다. 하긴 우리 집 식구가 열둘이었고 거의 김치와 된장으로 겨울을 났을 테니. 농사도 없었으니 아버지 월급으로 간장 된장 담고 김장 담가 겨울 날 채비하기도 얼마나 힘들었을까. 아버지는 평생 철도원으로 사셨다. 집도 일본식 철도 관사였다. 늘 군청색 철도 작업복을 입고 있었고 지금도 아버지는 그 작업복 입은 모습으로 떠오른다. 아버지도 눈만 뜨면 일을 하셨다. 꼬질꼬질한 철도 작업복을 입고 집을 고치거나 텃밭 일을 하거나 마당을 다지거나 늘 무슨 일이든 하고 있었다.
철도 작업복을 입은 아버지 손을 잡고 내가 걷고 있다. 키는 아버지 허리쯤이다. 경상남도 마산 변두리. 집까지 이삼십 분 거리였을까. 자산동에 있는 '몽고간장' 공장에서 간장을 한 말 들이인지 두 말 들이인지 커다란 통으로 한 통 사서 손수레로 배달을 시키고, 아버지와 나는 손수레 옆에서 집으로 걷고 있는 것이다. 김장 끝나면 '왜간장'이라고 했던 그 간장, 요즘은 뭐 진간장이라고 하던가, 그걸 한 통 들여 놓아야 우리 집은 겨울 채비를 마쳤다. 마산이면 일제 때 일본 사람들이 마을을 이루고 살았던 곳이다. 그 문화였겠지. 왜간장은 겨울철 아이들 밥반찬이었다. 참기름 한 방울 떨어뜨리고 깨소금 조금 뿌려 주면 그걸로 밥을 비벼 먹었다.
아버지 손을 잡고 걷는다. 왜간장에 비벼 먹을 생각으로 나는 좀 행복하다. 고개를 들면 철도 작업모 쓴 아버지 머리가 파란 가을 하늘과 함께 저 위에 있다. 나는 또 생각한다. 오늘 저녁상에 달걀이 나올까?
어쩌다 밥그릇 옆에 날달걀이 놓일 때가 있었다. 참기름 깨소금 친 왜간장 종지와 함께. 아이가 아프거나 입맛이 없어 보일 때 그랬겠지. 뜨거운 밥을 숟갈로 옴팍하게 파 헤집어 그 속에 달걀을 깨 넣고 다시 밥을 덮어 놓고 잠시 기다릴 때, 간장 한 숟갈 넣고 달걀 노란 빛으로 밥을 비빌 때, 그때 만한 행복이 없었다.
나는 요즘 두어 달째 음식 삼키기가 너무나 힘이 든다. 몸무게가 거의 20킬로 빠졌다. 어떻게든 먹어내지 못하면 치료고 뭐고 계속할 수 없다고 한다. 자리에 누워 있으면 꿈결인지 잠결인지 아버지가 자꾸 보인다. 여전히 철도 작업복을 입었다. 어느 새벽인가. 아버지가 그런신다.
'시백아, 니 우짤라고 그라노? 와 밥을 못 묵노?'
'아부지예, 저도 벌써 육십이 다 돼 갑니더. 그라고 마이 지쳤어예. 안 묵으니 그냥 편안하네예.'
아버지는 쪼맨한 아새끼가 뭔 뚱딴지 같은 소리를 하냐는 얼굴이다. 그리고 한 마디 하신다.
'달걀에 비비 묵어라.'
아버지도 밀리지 말라는 말씀이다.
첫댓글 선생님 동무 임길택 선생님이 가시고, 이오덕 선생님이 가신 나라, 권정생 선생님이 계신 나라로 오늘 새벽 떠나셨답니다.
삼가 명복을 빕니다.
속초의료원이라 하고 우리는 내일 금요일 아침 10시 서면 영광도서 앞에 모여 가기로 했습니다.
금방 카페에 들어왔다가 믿겨지지 않아 멍하지 앉아 있다가 정신 차리고 다시 일소 선생님 댓글을 한자 한자 읽어 보았어요. 모여서 가시는 줄도 모르고... 굳은 얼굴로 만나서 속초에 가 계시겠네요. 아... 이상석 선생님도 걱정되고. 막둥이 하은이 얼굴도 눈에 선하네요. 황시백 선생님, 훨훨 날아 새로운 세상으로 가시길 빕니다.
여기 옮겨넣은 글을 인제사 보네요. 어제 자작나무 옆에 앉았을 때 김환영 선생님이 "달걀" 읽어봤냐고 물으실 때 갑자기 목이 매어서 뭔 말을 못하겠더라고요. 길게 말하면 들킬 것 같아서 그냥 "에"만 했는데 그 선생님이 좀 섭섭한 얼굴을 하더라. 황시백 선생님, 아버님 옆에 가셔서 달걀밥 한 그릇 비벼 잘 드셨으면.
저도 지금에야 이 글 읽었습니다. 황시백선생님이 방문을 열고 내다보았을 이파리 넓적한 후박나무, 바람에 잔잔하게 흔들리던 자작나무, 그리고 지난 여름 황시백선생님이 트럭 몰고 우리 데려가 '여기가 내가 좋아하는 곳이야.'하며 보여주셨던 우당탕탕 물이 흐르던 그 곳. 생생하게 떠으릅니다. 선생님, 편히 가세요.
우~어뜩해. 꼭 한번 찾아 뵈야지 했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