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에 글에 댓글로 달았습니다만, 글이 길어져서 글로 씁니다.
마빈 해리스의 주장에 따르면(더 나아가 스티븐 핑커의 확장된 주장에 따르면), 2살 정도의 어린 아이들은 먹을 것을 가려서 먹지 않습니다만, 3살 쯤부터는 부모가 먹는 음식만 먹게 되고, 부모가 먹지 않는 음식에 대해선 혐오감을 느낍니다.
이건 매우 진화론적인 것입니다. 과거 수렵-채집생활을 했던 인류에게 있어서 식재료란 개념은 현대와 같을 수 없습니다. 현재엔 최대한 식품을 가공하고 안전이 검증된 식품만 먹습니다만, 과거의 인류에게 있어선 드넓은 식단에서 위험한 것과 위험하지 않은 것을 가릴 필요가 있습니다.
때문에 성장해가는 어린이들에게 있어서 위험한 음식을 피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가 먹는 음식만 먹는 것입니다. 부모가 먹는 음식만 먹고(부모가 먹는 음식이란 것은, 곧 그 음식은 안전하다는 의미이죠.), 다른 부모가 먹지 않는 음식은 혐오감이란 감정을 통해 회피하게 되면 괜히 독이나 세균 때문에 죽을 위험이 극히 줄어들게 됩니다. 현대의 식약청 역할을 하는 것이 곧 부모의 식단인거죠.
이에 따른다면, 일부 문화 차이(특히 음식문화)는 곧 인류의 진화된 심리가 가장 잘 투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지역의 부모들이 문화적으로 먹는 음식을 보고서, 진화된 심리과정에 의해 그 자식들도 부모들의 음식습관을 따라하고, 부모가 먹지 않는 음식은 거부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보편 대 특수, 본성 대 양육, 문화적 진화 대 생물학적 진화 등등으로 이분법적으로 나눌 수 없는 것이죠.
어쨌건, 이슬람교도가 돼지고기를 혐오하는 것은 그런 맥락으로 살펴봐야 합니다. 그들은 진화적 맥락에 의해 부모가 먹지 않는 음식은 혐오하게 되었고, 그게 문화적으로 정착된 것이 돼지고기인 것이지요.
우리들은 동남아나 아마존강의 원주민들이 벌레를 잡아먹는 것을 매우 혐오스럽게 생각합니다. 한국에 살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 그 누가 벌레를 선뜻 먹을 수 있겠습니까? 실질적으로 기생충 위험, 세균 위험이 더 적은 것은 돼지고기가 아닌 벌레인데 말이죠. 심지어 밥 위에 살균 소독을 해놓은 바퀴벌레만 올려놔도 강한 혐오감을 느끼지 않습니까? 실질적으론 전혀 위험한 것이 아닌데 말입니다.
(마빈 해리스에 따르면 벌레 혐오는 덩치 큰 동물들이 풍부한 지역에서 이루어집니다. 조그만 벌레를 쫒고서 얻는 이득보다는 덩치 큰 동물을 사냥하고서 얻는 이득이 훨씬 많고, 때문에 벌레가 점차 식단에서 사라져서 문화적 혐오감을 형성시킨다죠. 반대로, 덩치 큰 동물들이 없는 지역에선 단백질 보충원이 벌레 뿐이기에 벌레를 먹는 것에 대해 혐오감을 느끼지 않습니다.)
무슬림들이 돼지고기에 느끼는 혐오감은 우리가 벌레에 대해서 느끼는 혐오감과 크게 다른게 없습니다. 인간의 차이는 그 보편성에 비하면 극히 일부일 뿐이고, 문화적 차이의 본질엔 공통적인 심리 관념이 존재한다고 봅니다. 때문에 한국에서 무슬림들이 돼지고기에 혐오감을 느끼는 것에 대해 성토하기 이전에, 우리가 왜 아마존강에서 벌레를 먹는 원주민들을 혐오스런 눈으로 살펴보는지 살펴봐야 하지 않을까요?
첫댓글 이건 개념이 너무 확대되는것 같은데요? 무슬림이 돼지고기를 혐오스럽게 느껴져서 먹지 않던 종교적 교리의 의해서 먹지않던 그들이 먹지 않는건 먹지 않는것이고 돼지고기가 좋아서 맛있어서 먹는 사람을 혐오할필요가 있나요? 힌두교는 소고기를 먹지 않지만 소고기를 즐기는 사람을 혐오하나요? 그들은 소고기를 즐기는 사람을 위해 소고기 수출도 하고 있지 않습니까? 만약에 무슬림이 돼지고기를 즐기는 보다 많은 사람들을 혐오하고 있다면 이들이야 말로 나와 다른것을 즐기는 사람들에 대한 배려가 없는것 아닌가요?
예전에 프랑스의 정신없는 여배우의 어처구니없는 행동이 우리를 분노케 했을때 손석희 아나운서와의 인터뷰내용이....아마도...힌두교는 자신은 먹지않지만 먹는사람을 비난하지 않고 무슬림또한 돼지고기를 먹지 않지만 그걸 즐기는 사람을 비난하지 않는다고 했던걸로 기억하는데...만약 무슬림이 자신은 먹지 않는다는 이유로 그걸 즐겨먹는 사람을 비난하고 있다면 이건 이야기가 전혀 달라지는대요
이 글은 한국에 왔으면 한국식으로 따라야 한다는 사람들에게 쓴 글입니다만.. 제 글 어디에서도 무슬림들이 돼지고기를 먹는 사람들을 혐오하는 것이 정당하다고 쓴 부분이 없습니다만.. 제 생각을 말씀드린다면, 둘 다 옳지 못한 행동이죠. 다만, 이 글에선 방향을 전자에 초점을 맞춘 것일 뿐입니다.
어쨌건, 글이 너무 환원론적으로 간 것 같습니다만... 제 글의 요지는 우리가 벌레를 먹는 것에 대해 느끼는 혐오감과 무슬림이 돼지고기에 대해 느끼는 혐오감은 본질적으로 같다는 것이죠.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닙니다.
(원래는 밑에 댓글이 70개 넘은 글에 댓글로 적었습니다만, 글로 정리해서 윗 글 답글로 쓴 것일 뿐입니다.)
네 좋은글 잘읽었습니다.^^
뭐...먹는 사람은 좋건 싫건 먹는가보다 하는거고 안먹는 사람은 이러이러해서 안먹는 가보다 하면 되지만 이게 하나의 조직내에서 이뤄지면 인간관계 쌓기가 힘들어 지더군요
뭐 세상에서 젤로 힘든게 인간관계라지만....
아마존의 눈물을 찍었던 우리나라 촬영팀들은 원숭이, 악어, 거북이 등등 우리가 식용으로 전혀 생각하지 않는 짐승고기를 원주민들이 주는대로 받아먹었습니다. 먹고 토한 사람도 있지만 말이죠. 무슬림들이 돼지고기를 혐오하는 건 그렇다치더라도 식생활에 대한 문화적 상대성같은 건 전혀 고려하지 않는 것 같더군요.
'문화적 상대성'이라는 것은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을 인정한다는 것이지 그것을 반드시 '내것'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리고 다른 나라에 여행을 가게 되면 자신의 문화권에서 금기시되는 음식을 먹어보고 이를 즐겨먹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걸 강요할 필요가 있습니까?
계속 같은 소리만 반복하시는군요.
그러니깐 먹건 안먹건 자유인데 자신들이 돼지고기 안먹는다고 한국인의 삼겹살, 소주 문화를 바꿔야 된다는 소리는 하지말라는 겁니다. 알아들었어요?
돼지고기와 술을 즐겨먹는 한국 식문화 때문에 무슬림으로 살기 힘들다고 징징대면은 우리도 뭘 해줄수 없다는 소리입니다.
그러려면 아예 쇄국 해야죵. 국제적인 교류의 증대로 인해 좋건 싫건 문화의 변동은 어쩔 수 없거든요. 언제까지고 "한국인의 문화"라고 드립을 칠 수야 있겠지만, 그 "한국인"이라는 정의 자체가 바뀌어갈 수도 있는 상황에서 그런 주장은 일종의 "문화순혈주의"라고 할 수도 있겠는걸요.
언론에서 떠들어대는 다문화주의도 아니고 그냥 이슬람식 문화 일방주의라고 해야겠지요. 그런 관점에서 개고기 식용을 혐오하는 서구인의 관점과 소고기 시식을 끔찍하게 생각하는 힌두교인, 해산물에 혐오감을 느끼는 몽골인의 식습관까지 전부 고려해야 하겠습니다.
회사에서 간만에 회식 좀 할려는데 채식주의자가 끼어있다고 매번 채식전문점에만 가라는 소리도 마찬가지이죠.
좋을 글 잘 보고 배우며 갑니다. 슝~~
'실질적으로 기생충 위험, 세균 위험이 더 적은 것은 돼지고기가 아닌 벌레인데', '마빈 해리스에 따르면 벌레 혐오는 덩치 큰 동물들이 풍부한 지역에서 이루어집니다'
헉;; 전혀 생각해본 적 없는 부분이라 더 충격입니다. 으으~; 식용이 아니라 그저 눈에 띄는 것만으로도 혐오+두려움의 강렬한 감정을 뿜게 만드는 게 단지 교육으로 인한 것이라니..
원효대사의 해골물 일화나 아이들이 즐겁게 애벌레를 만질 수 있게 하자는 교육은 수긍하지만 그것을 특수한 상황이 아닌 일상에서의 식문화로 허용한다는 것은 정말.. 생각해보지 못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