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력 발족(1961. 7. 1, 1982. 1. 1 한국전력공사로 개칭( 조선 남전 경전 합처서)
☞섬진강 수력발전소 재 기공(1961. 8. 19, 준공 : 1965. 12. 20)
☞수출조합법 공포(1961. 9. 9)
☞춘천 수력발전소 기공(1961. 9. 21, 준공 : 1965. 2. 10)
☞공업표준화법 제정(1961. 9. 30)
☞전원개발 5개년 계획 발표(1961. 11. 24)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1966) 발표(1962. 1. 13)
☞울산을 중화학공업 우수 자연적 입지조건으로 결정 공포(1962. 1. 27)
☞기술진흥 5개년 계획 발표(1962. 2. 2)
☞울산공업지구 설정 및 기공식(1962. 2. 3)
☞의암댐 착공(1962. 3. 1, 준공 : 1967. 8. 1)
☞수출진흥법 등 16개 법령 공포(1962. 3. 17)
☞남강 다목적댐 착공(1962.4, 준공 : 1970. 7)
☞대한무역진흥공사 발족(1962. 6)
☞남양송신소 준공(1962. 9. 10, 기공 : 1960. 12. 31)
☞선암댐 착공(1962. 9, 준공 : 1964. 12)
☞사연댐 착공(1962. 9, 준공 : 1965. 12)
☞해운센터 착공(1962. 10. 10)
☞새나라자동차 생산개시(1962. 11, 1963. 5월까지 조립 생산함)
☞광주 내연 준공(1962. 11. 15)
☞금성사 라디오 첫 수출(1962. 11. 28, 62대/$594)
☞제2비료(호남비료) 나주공장 준공(1962. 12. 28, 현 L/G화학 나주공장) 희야댐 착공(1962년, 준공 : 1964년)
☞보리와 밀 품종개발에 성공(1963. 1. 25)
☞울산정유공장 착공(1963. 3. 12, 준공 : 1964. 5. 7)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공포(1963. 4. 17)
☞직업재활원 개원(1963. 9. 25)
☞서독 광부 1진 123명 취업(1963. 12. 21)
☞쌍용시멘트 영월공장 준공(1964. 4, 기공 : 1962. 9. 7)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준공(1964. 6. 20, 기공 : 62. 11. 20)
☞현대시멘트 단양공장 준공(1964. 7)
☞부산 감천 화력발전소 준공(1964. 8. 20, 기공 : 1961. 2, 132천㎾)
☞식량증산 7개년(1965~71) 계획 발표(1964. 8)
☞한국수출산업공단 설립(1964. 8, 서울디지털, 부평, 주안, 남동, 북평국가산업단지 관리)
공업품 표준 규격 제정과 KS 표시 허가제 실시(1964. 8)
☞제3비료(영남화학) 울산공장 기공(1964. 11. 29, 준공 : 1967. 3. 14, 현, 동부한농화학)
☞1억불 달성 제1회 수출의 날 제정(1964. 11. 30, 기념식 : 1964. 12. 5)
☞서울 구로지역 수출산업공업단지(1~6공단) 착공(1965. 3. 12, 준공 : 1974. 11. 5)
☞경제 각의, 잠업증산 5개년 계획 의결(1965. 3. 18)
☞제4비료(진해화학)공장 기공(1965. 5. 2, 준공 : 1967. 1. 7)
☞영월 화력발전소 1,2호기 준공(1965. 9. 1, 기공 : 1962. 5)
☞한국해외개발공사 발족(1965. 11. 3)
☞군산화력발전소 기공(1965. 12. 1, 준공 : 1968. 10. 31)
☞국내 텔렉스 400회선 개통(1965. 12. 16)
☞비인공업단지 조성(1966. 4. 29)
☞팔당댐 기공(1966. 6. 8, 준공 : 1973. 12. 31)
☞제2차 경제개발 5개년(1967~1971) 계획 발표(1966. 7. 29)
☞울릉도 추산수력발전소 준공(1966. 8. 1, 착공 : 1964. 4. 4)
☞아세아시멘트 제천공장 준공(1966. 12. 13)
☞광주공업단지 착공(1966. 12. 16)
☞아시아개발은행 가입(1966. 12. 17)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7~1971)
☞여수 제2정유공장 기공(1967. 2. 20, 준공 : 1969. 6. 3)
☞전주 제1공업단지 기공(1967. 3. 22)
☞대구 3공업단지 기공(1967. 3. 31)
☞속초 수산센터 준공(1967. 4. 14)
☞소양강 다목적댐 기공(1967. 4. 15, 담수 : 1972. 11. 25, 준공 : 1973. 10. 15)
☞제5비료(한국비료) 울산공장 준공(1967. 4. 20, 현 삼성정밀화학)
☞동양시멘트 삼척공장 준공(1967. 4. 24)
☞영남화력발전소 제2호기 기공(1967. 4, 준공 : 1970. 12. 28)
☞GATT 가입(1967. 4. 15)
☞부산 연합철강 준공(1967. 9. 29)
☞의암수력발전소 1,2호기 준공(1967. 11)
☞원자력발전소 건설 계획 발표(1968. 1. 5)
☞울산 석유화학공업단지 기공식(1968. 3. 22, 준공 : 1972. 10. 31)
☞대암댐 기공(1968. 6, 준공 : 1969. 12)
☞화천수력발전소 4호기 준공(1968. 6)
☞축산개발 4개년 계획 확정(1968. 7. 26)
☞안계댐 기공(1968. 8, 준공 : 1971. 12)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1968. 9. 9~10. 20)
☞청평수력발전소 4호기 준공(1968. 9, 기공 : 1966. 9)
☞쌍용시멘트 동해공장 준공(1968. 10. 31)
☞한국투자개발공사 발족(1968. 12. 16)
☞한국수출품포장센터 발족(1969. 2. 8)
☞자동차공업육성 기본계획 발표(1969. 2)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안 발표(1969. 4. 2)
☞금산 위성통신지구국 기공(1969. 5. 15, 준공 : 1970. 6. 22, 제2위성통신지구국 준공 : 1977. 8. 25)
☞부산화력발전소 3,4호기 준공(1969. 6. 4, 기공 : 1967. 7)
☞알루미늄제련공장 울산공업단지에 준공(1969. 7. 3)
☞마산수출자유지역 설치 결정(1969. 9. 3, 착공 : 1970. 5, 준공 : 1973년 초)
☞경기도 안성군 한독낙농목장 준공(1969. 10. 11)
☞부평단지 준공(1969. 10. 31)
☞관악산 기상레이더 설치(1969. 11. 29)
☞철강공업육성법 공포(1970. 1. 1)
☞수출정보센터 개관(1970. 2. 7)
☞포항종합제철공업 단지 기공식(1970. 4. 1, 제1기 설비종합 준공 : 1973. 7. 3)
☞마산 수출자유지역 관리청 개청(1970. 4. 3)
☞인천화력발전소 제1호기 준공(1970. 5. 29)
☞관세청 개청(1970. 8. 21)
수☞출 10억달러 달성(1970년)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확정 발표(1971. 2. 9)
☞당인리 화력발전소 준공(1971. 4. 10, 착공 : 1966. 8. 3, 현 서울화력발전소)
☞안동다목적댐 기공(1971. 4, 준공 : 1976. 10)
☞중부산업단지관리공단 설립(1971. 5, 구미국가산업단지 관리)
☞내수용 생산업체에서도 수출을 의무화할 것을 지시(1971. 10. 25)
☞서울-부산간 장거리 자동 전화 개통(1971. 3. 31)
☞제3차 인력개발 5개년 계획 확정(1972. 1. 27)
☞녹색혁명추진(1972. 2. 9, 통일벼 개발)
☞기업사채 동결 등 긴급 명령 발표(1972. 8. 3)
☞중화학공업정책 육성 선언(1973. 1. 12)
☞공업진흥청 신설(1973. 1. 12)
☞현대울산조선소 기공(1973. 3. 25, 제1호선 진수 : 1974. 2. 15)
☞중화학공업의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온산, 창원, 여수~광양, 군산~비인, 구미 등 5개 대단위공업단 지 조성 계획(1973. 3. 26)
☞춘천, 대전, 원주, 청주, 전주, 이리, 광주, 목포 등을 지방공업개발 장려 지구로 지정(1973. 5. 4)
☞중화학공업(철강, 석유화학, 비철금속, 기계, 조선, 전자)건설계획 확정(1973. 5. 24)
☞서울 부산에서 처음으로 가격표시제 실시(1973. 6. 1)
☞기능공 양성정책 수립(1973. 7. 10)
☞주안단지(5공업단지) 준공(1973. 7. 15)
☞정수직업훈련원 개원(1973. 7. 18, 현 서울정수기능대학)
☞호남종합화학기지 내 에틸렌계열공장 4개, 프로필렌계열 2개, 기타 7개 총 13개 공장건설계획 확정(1973. 8. 2)
☞구미전자공업 1단지 조성 완료(1973. 10. 5)
☞옥포조선소 기공(1973. 10. 1, 준공 : 1981. 10. 17)
☞이리 수출자유지역 착공(1973. 10. 17, 준공 : 1974. 12)
☞충주 제6비료공장 준공(1973. 10. 26)
☞산업기지개발구역으로 창원, 온산, 옥포, 죽도, 안정, 여천 지정 (1974. 3. 27, 창원 : 종합기계공 업기지, 온산 : 석유정제·비철금속 공업기지, 옥포·죽도·안정 : 조선공업기지, 여천 : 종합화학공업기지)
☞동남산업단지관리공단 설립(1974. 4, 창원, 울산, 온산, 안정국가 산업단지 관리)
☞창원기계공업단지 조성(1974. 4)
☞죽도조선소 기공(1974. 4, 준공 : 1980. 12. 5)
☞기업공개와 건전한 기업풍토 조성을 위한 박 대통령 특별지시 발표(1974. 5. 29)
☞주안단지(6공업단지) 준공(1974. 11. 5)
☞쌀의 완전 자급자족 달성(1976년)
☞대청다목적댐 기공(1975. 3. 27, 준공 : 1981. 6. 30)
☞여천석유화학단지 합동 기공(1975. 11. 10, 준공 : 1980. 1. 29)
☞통일벼보다 질이 좋고 다수확품종인 밀양21호와 23호를 개발하여 77년부터 통일벼를 없애☞고 신품종으로 대체할 방침을 수립(1975. 11. 20)
☞청평 양수댐 기공(1975년, 준공 : 1980. 12. 18)
☞근로자 재산 형성 저축제 실시(1976. 1. 19)
☞한국기술검정공단법안 마련(1976. 5. 18, 기술인력관리, 자격, 검정의 일원화)
☞포항제철 제2기 확장공사 준공(1976. 5. 31)
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확정 발표(1976. 6. 18)
☞국산자동차 포니 첫 수출(1976. 6)
☞반월 신도시 건설 발표(1976. 10. 2, 기공 : 1977. 3. 30)
☞특별소비세법 제정(1976. 12. 22)
☞초고압송변전시설 준공(1977. 4. 30)
☞월성 원자력 1호기 기공(1977. 5. 15, 준공 : 1982. 3. 10)
☞여수화력 2호기 준공(1977. 6. 30)
☞부가가치세 시행(1977. 7. 1)
☞제23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우승(1977. 7. 10)
☞여수 제7비료공장(남해화학) 준공(1977. 8. 4, 기공 : 1973. 10)
☞서부산업단지관리공단 설립(1977. 11, 반월, 시화, 아산, 석문국가 산업단지 및 천안 외국인전용단지 관리)
☞연초댐 기공(1977. 11, 준공 : 1979. 12)
☞수출 100억 달러 기념식(1977. 12. 22)
☞1인당 국민소득 1,000달러 돌파(1977년)
☞종합행정정보망 구성키 위해 행정전산화 10개년 계획 마련(1978. 2. 20)
☞전 국토의 토양정밀조사 완료(1978. 2. 23)
☞고리 원자력발전소 준공(1978. 4, 기공 : 1971년)
☞충주 다목적댐 기공(1978. 6. 3, 준공 : 1986. 10)
☞제24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개막(1978. 8. 30, 부산)
☞주요 도시간 장거리 자동공중전화 개통(1978. 12. 31)
☞쌀 4천만 섬 수확(1977년)
☞인천화력발전소 3, 4호기 준공(1979. 4, 착공 : 75. 5)
☞고리원자력 3, 4호기 기공(1979. 4. 9)
☞원자력발전소 9, 10호기 울진에 건설키로 확정(1979. 6. 12)
☞온산 동제련소 준공(1979. 12. 11)
☞공산댐 기공(1979년, 준공 : 1981년)
☞삼량진 양수댐 기공(1979년, 준공 : 1985년)
☞수출국 1961년 25개국에서 163개국으로 확대(1979년)
☞국토건설단 창단식(1962. 2. 10)
☞동해북부선 개통(2차 공사 : 옥계 → 경포대 착공 : 1962. 4. 26, 개통 : 1962. 10. 31)
☞동진강지역종합개발공사 착공(1963. 3. 15, 준공 : 1972. 12. 31, 김제 부안)
☞황지선 개통(1963. 5. 30, 황지지선 착공 : 1961. 8. 10, 개통 : 1962. 11. 30 황지본선 착 공 :
1961. 8. 12, 개통 : 1963. 5. 30)
☞능의선(서울교외선) 개통(1963. 8. 20, 1차 능곡 → 가릉 착공 : 1959. 10. 14, 개통 : 1961. 7. 10, 2차 가릉 → 의정부 착공 : 1963. 4. 27, 개통 : 1963. 8. 20)
☞제2한강교(현, 양화대교)준공(1965.1.25, 착공:1962. 6. 20,신교 착공 :1979. 1. 4 / 준공 : 1982. 2. 2)
☞전남지구 6천여 정보 간척공사 기공(1965. 5. 18)
☞수자원종합개발 10개년 계획 수립(1965. 6. 30)
☞경인복선 개통(1965. 9. 18, 주안~영등포)
☞진삼선 개통(1965. 12. 7, 사천~삼천포, 착공 : 1964. 4. 29)
☞고한선 개통(1966. 1. 19, 증산 → 고한, 고한 → 황지 개통 : 1973. 10. 16)
☞인천항(제2도크) 착공(1966. 6. 1, 준공 : 1974. 5. 10)
☞경북선 개통(1966. 10. 10, 점촌→영주)
☞한남대교 착공(1966. 1. 19, 준공 : 1969. 12. 25)
☞정선선 개통(1967. 1. 20)
☞대도시 그린벨트설정 공포(1967. 2. 10, 서울, 부산 등)
☞충남 예당 전천후개발사업 15년만에 준공(1967. 4. 28)
☞한강변 제1로 개통(1967. 9. 23, 제1한강교 → 영등포 입구)
☞한국수자원개발공사 발족(1967. 11. 23)
☞정선선 개통(1968년, 착공 : 1962. 5. 10)
☞경인고속도로 개통(1968. 12. 21 가좌I/C까지 23.4㎞, 전선 29.5㎞ 개통 : 69. 7. 21)
☞경수고속도로 개통(1968. 12. 21 신갈 I/C까지 31.3㎞, 착공 : 1968. 2. 1)
☞경전선 개통(1968. 2. 7)
☞한강변 2로 개통(1968. 6. 27)
☞경부고속도로 전 노선 확정(1968. 9. 12)
☞포항항 건설(68~73)
☞한국도로공사 발족(1969. 2. 15)
☞지하수개발공사 발족(1969. 2. 15)
☞3·1 고가도로 개통(1969. 3)
☞언양-울산 고속도로 착공(1969. 6. 20, 개통 : 1969. 12. 28)
☞전남 고흥 간척사업 완공(1969. 7. 15)
☞서울 신도시건설 착수(1969. 7. 29, 한강이남 여의도)
☞중앙, 태백, 영동선 등 산업선 전철화 기공(1969. 9. 12, 청량리~북평 320.8㎞ 준공 : 1975. 12)
☞호남 야산개발단지 준공(1969. 10. 6)
☞천안~대전 고속도로 개통(1969. 12. 10)
☞제3한강대교 개통(1969. 12. 26, 현 한남대교)
☞대구~부산 고속도로 개통(1969. 12. 29, 착공 : 1968. 9. 11)
☞문경지선 개통(1969. 6. 10, 문경~진남)
☞호남고속도로 착공(1970. 4. 15, 개통 : 1973. 11. 14)
☞서울대교 개통(1970. 5. 16, 착공 : 1968. 2, 현 마포대교)
☞경부고속도로 준공식(1970. 7. 7, 서울~부산 428㎞, 기공 : 1968. 2. 1)
☞남산 1호 터널 개통(1970. 8. 15, 착공 : 1969년)
☞수도권 지하철 전철사업 발표(1970. 10. 22)
☞남산 2호 터널 개통(1970. 12. 4, 착공 : 1969년)
☞4대강(한강, 금강, 영산강, 낙동강)유역 종합개발 계획(1970. 12. 17)
☞강변4로 개통(1970. 12. 24)
☞제주도 일주도로 준공(1971. 1. 31)
☞영동고속도로 착공(1971. 3. 13, 개통 : 1975. 10. 13)
☞거제대교 건설(1971. 4. 8)
☞서울 지하철 1호선 기공(1971. 4. 12, 개통 : 1974. 8. 15)
☞국토종합개발계획 확정(1971. 9. 7)
☞통일로(서울~문산) 개통(1971. 12. 18)
☞남해고속도로 착공(1972. 1. 10, 개통 : 1973. 11. 14)
☞전국을 10대 관광권으로 하는 관광개발 5개년 계획 확정(1972. 1. 20)
☞수도권 상수도 취수구 팔당으로 이전 결정(1972. 5. 26)
☞전국 702개 도서를 72년부터 76년까지 개발키로 확정(1972. 6. 26)
☞부산, 인천, 묵호, 군산 등 4개항을 집중 개발하겠다고 언명(1972. 11. 24)
☞지리산, 설악산, 낙동강 하류 철새보호지역으로 지정(1972. 12. 11)
☞제주도 일원에 그린벨트 설정(1973. 3. 8)
☞중앙선전철 개통(1973. 6. 20, 청량리~제천)
☞남해대교 개통(1973. 6. 22)
☞태백선 개통(1973. 10, 제천~태백)
☞동해고속도로 착공(1974. 3. 26, 개통 : 1975. 10. 14)
☞영동선 전철 개통(1975. 12. 5)
☞영동·동해안 종합개발계획 확정(1976. 3. 24)
☞천호대로·천호대교 개통(1976. 7. 5)
☞잠수교 개통(1976. 7. 15)
☞구마고속도로 준공(1977. 12. 17, 기공 : 1976. 6. 24)
☞성산대교 기공(1977, 준공 : 1980. 6. 30)
☞호남선 복선 준공(1978. 3. 30, 대전~이리)
☞남해지선 신설 및 남해고속도로 4차선 확장공사 착공(1978. 5. 22, 개통 : 1981. 9)
☞낙동강유역 종합개발사업 기공(1978. 7. 2)
☞지하철 2호선 강북구간 착공(1979. 3. 17)
☞한국토지개발공사 발족(1979. 3. 27)
☞성수대교 개통(1979. 10. 16)
☞농어촌개발공사 창립(1967. 12. 1)
☞농업기계화 8개년 계획 확정(1969. 2. 22)
☞농어촌근대화촉진법 승인(1969. 11. 1)
☞새마을가꾸기운동 제창(1970. 4. 22)
☞권농일 기념행사 참석하여 “자조정신” 강조(1970. 6. 10)
☞전국 읍면장에게 새마을가꾸기 교육 실시(1970. 10. 5~8)
☞수원 벼베기 행사에 참석하여 “농민의 자조정신과 자발적 노력은 농촌부흥과 근대화의 근본 요소”라고 언명, 전남 광주에서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촉진대회(1970. 11. 11)
☞금강, 평택지구 다목적 농업개발사업 기공(1971. 3. 23)
☞내 집 앞 쓸기운동 제창, 청와대 직원들과 거리 청소(1971. 3. 24)
☞제3회 어민의 날 치사에서 자조, 자립정신 강조(1971. 4. 1)
☞충북 음성 지원유세에서 “나의 소망은 농촌의 가난을 없애는 일” 이라고 말함(1971. 5. 18)
☞월간경제동향보고에서 경남 거창군 관내 일원 우수새마을 보고(1971. 6. 7)
☞전국지방장관회의에서 “근면과 검소, 농어민의 소득증대와 증산에 도정의 목표를 두어야 한다고”고 강조(1971. 7. 30)
☞내무부에 새마을 전담 부서(지역개발담당관, 도시개발관, 농촌개발관, 주택개량관) 신설(1971. 8. 19)
☞월간경제동향보고회에서 “성실한 지도자, 협동정신, 농민도 기술자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1971. 9. 7)
☞경북 영일군 기계면 문성동의 새마을가꾸기 모범부락과 포항제철 시찰(1971. 9. 17)
☞새마을정신을 「근면, 자조, 협동」으로 규정(1971. 9. 29)
☞1972년 새마을가꾸기 대상 16,600개 마을 선정 완료(1971. 10. 30)
☞농협중앙회에 독농가연수원 설치(1972. 1. 14, 새마을지도자교육 실시)
☞새마을지도자교육 기본방침 대통령 재가(1972. 1. 21, 교육장소 : 1972년도는 경기도 고양 군 소재 농협대학에서 1973년 이후는 수원시 소재 농민회관, 교육기간 : 2주간, 교과편성 : 새마 을정신 30% 전문과목(성공사례, 실기) 70%)
☞전북도 순시에서 “자조정신이 없는 농민은 도울 수 없으며 농어촌의 투자는 해마다 늘려 갈 것이다”라고 강조(1972. 2. 3)
☞경북도 순시에서 “농촌근대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농민들의 자조정신 함양과 협동봉사하는 정열을 불태워야 한다”라고 강조(1972. 2. 7)
☞독농가연수원 순시(1972. 2. 24)
☞전국 부락세 조사(1972. 3. 1~5. 15)
☞대통령령 제6104호로 새마을운동중앙협의회 규정 제정(1972. 3. 7)
☞지방장관회의 유시에서 “금년도의 최 중점사업은 새마을운동이며 새마을정신을 범국민화하라”고 지시(1972. 3. 7)
☞서울시 방배동의 새마을 현장 시찰하고 전국의 임야에 유실수를 심어 식량화 방안 강구하라 고 관계관에 지시(1972. 3. 24)
☞서울 동대문구 중화동민들이 새마을운동으로 도로확장사업을 하고 있는 현장 방문 격려(1972. 3. 30)
☞경기 가평군 가평읍 개곡리 새마을 시찰(1972. 4. 3)
☞진해시 풍호동 새마을사업장 시찰(1972. 4. 7)
☞경상남도의 새마을사업 현장 두루 시찰(1972. 4. 8)
☞청와대 국무회의 주재하고 새마을운동의 추진방법 논의(1972. 4. 11)
정부여당연석회의에서 “지금 전국적으로 요원의 불길처럼 번지고 있는 마을운동의 기풍을 해 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며 이 운동은 어느 정권적 차원의 운동이 아니라 민족번영의 추진운동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라고 강조(1972. 4. 14)
☞경인화력발전소 준공식에 참석하여 치사를 통해 “농어촌 구석구석 까지 송?배전시설을 갖추 어 전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고 밝힘(1972. 4. 17)
☞새마을노래 작사 작곡(1972. 4. 21)
☞새마을운동 촉진대회에서 “자신과 의욕이 없는 민족은 비록 아무리 좋은 여건과 기회가 주☞어지더라도 이것을 보충할 줄 모르고 이용 하지 못한다”라고 강조(1972. 5. 8)
☞광주 새마을소득증대 촉진대회 치사에서 “새마을운동은 한국근대화의 행동철학이므로 문화 인과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구한다”라고 강조(1972. 5. 18)
☞국도변 소도읍가꾸기운동 전개(1972. 5. 20)
☞제7대 대통령 취임 1주년, 지난 1년간 230회 출장으로 전국의 새마을현장을 시찰(1972. 7. 1)
☞전국시장회의 시 도시공한지 전개, 국도변 도읍가꾸기, 도시새마을운동 지침 시달(1972. 7. 22)
☞상공부에 농가공산품 개발위원회 설치(1972. 7. 31)
☞8.3 재정조치를 계기로 기업인도 새마을운동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당부(1972. 8. 12)
☞서울지구 수해복구작업을 시찰하고 수해복구에 새마을정신을 발휘 하도록 하라고 당부(1972. 8. 21)
☞충남 연기 벼베기대회 치사에서 “스스로 돕는 자는 정부도 돕고 남도 돕고 이웃도 돕고 하늘도 돕는다”라고 강조(1972. 9. 29)
☞국무회의에서 “새마을운동을 농한기에 적극적으로 추진하도록 하라”고 지시(1972. 10. 13)
☞대통령 특별선언을 통하여 “새마을운동을 국가시책의 최우선 과업으로 추진” 천명(1972. 10. 17)
☞충남 연기 벼☞베기대회에서 “수해를 이겨 낸 불굴의 정신으로 새마을 사업을 계속해야 한다”고 당 부(1972. 10. 29)
☞국무회의에서 “전 국토를 연중 작업장화 하라”고 지시(1972. 11. 3)
☞모범 새마을에 농어촌의 소규모 공장을 건설할 수 있도록 하라고 지시(1972. 11. 15)
☞국무회의에서 새마을운동으로 국력을 배양해 가자고 당부(1972. 12. 8)
☞농어촌지붕개량촉진법 개정(1972. 12. 26, 지붕개량업무를 농수산부에서 내무부로 이관)
연두기자회견 시 “새마을운동을 범국민운동으로 추진” 강조(1973. 1. 12)
☞새마을 총람 발간(1973. 1. 15)
☞내무부 새마을 직제 개정(1973. 1. 16, 지역개발담당관을 새마을담당관으로 개칭, 새마을계 획분석관 신설, 도시농촌주택개량관을 폐지하고 지방국에 새마을지도과·도시지도과·주택지도과 신설)
☞상훈법에 새마을훈장을 추가(1973. 1. 25)
☞시도, 시군구에 새마을 부서 신설(1973. 2. 1)
☞전라북도 순시에서 “새마을사업은 겉치레보다 소득증대에 힘써야 한다”라고 강조(1973. 2. 7)
☞독농가연수원, 수원농민회관으로 이전(1973. 4. 8)
☞월간경제동향보고회의에서 새마을 유공자에게 훈장 수여(1973. 5. 7)
☞경기 화성군의 대우실업 새마을공장 시찰(1973. 5. 22)
☞독농가연수원을 새마을지도자연수원으로 명칭 변경(1973. 5. 31)
☞새마을지도자연수원 순시(1973. 9. 13)
☞공장새마을운동에 관한 종합추진방안 협의(1973. 9. 21)
☞전남 광주시에서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개최(1973. 11. 22)
☞공장새마을운동중앙추진위원회 운영요강 작성(1973. 11. 30)
☞새마을지도자 육성지침 시달(1974. 1. 10)
☞충청북도 순시에서 “모든 사업은 사전에 경제성과 기술성의 문제를 치밀하게 검토하되 그 정신적 기조는 새마을운동에 두라”고 지시(1974. 2. 8)
☞공장새마을운동중앙추진회 및 실무위원회 구성(1974. 2. 20)
☞공장새마을운동 시범업체 1차 200개 공장 지정(1974. 3. 2)
☞상공부 새마을연수원 개원, 전국 새마을증산대회 수상자 39명을 접견하고 소득증대에 이바지해 달라고 당부 (1974. 3. 18)
☞대구, 울산, 목포 도시새마을 평가보고회 최초 개최(1974. 4. 30)
☞도시녹화운동 전개(1974. 5. 2)
☞새마을운동론을 공무원 시험과목으로 설정(1974. 5. 4)
☞국무회의에서 “새마을사업은 도시민들이 적극 참여하는 방향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라고 강조 (1974. 5. 7)
☞아산 남양방조제 준공(1974. 5. 22, 착공 : 1971. 3)
☞국무회의에서 새마을사업은 환경을 꾸미기보다 생산에 역점을 두라고 지시(1974. 6. 7)
☞새마을지도자연수원 순시(1974. 7. 10, 장?차관도 새마을교육 받도록 지시)
☞장·차관 새마을교육(1974. 7. 22)
☞철도변가꾸기운동 전개(1974. 9. 8)
☞전국직장새마을지도자협의회 신설(1974. 11. 14)
☞청와대에서 새마을유공자 67명에게 직접 서훈(1974. 12. 17)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개최(1974. 12. 18)
☞전국 138개 군에 새마을담당 부군수제 신설(1975. 1. 1)
☞내무부 새마을직제 개정(1975. 1. 1, 새마을계획분석관을 새마을기획과로 개칭하고 주택지 도과를 폐지 새마을교육과를 신설)
☞제주도 축산개발연구소, 감귤냉동공장, 남제주군 남북면 신례리 새마을사업현장 시찰(1975. 1. 5)
☞농촌지역 상수도시설 5개년 계획 마련(1975. 1. 21, 절대농지 논의 80%까지 확대키로 결정)
☞대단위농업개발사업계획 발표(1975. 2. 1, 경주, 삽교천, 계화도 등)
☞시도단위 민간단체 새마을운동협의회 구성(1975. 3. 21~6. 30)
☞나의 조국 작사 작곡(1975. 5. 10)
☞새마을모자 제정(1975. 5. 14)
☞상공부 공장새마을운동 제2연수원 개원(1975. 7. 7, 수출산업공단)
☞월간경제동향보고회의 참석, 새마을운동의 확대방안을 강구하라고 지시, 새마을지도자에게 훈장 수여(1975. 7. 12)
☞국토가꾸기 기동순찰반 발대식(1975. 8. 24)
☞새마을 일제 총열 실시(1975. 11. 5~11. 20)
☞제1회 새마을운동 연구발표회(1975. 11. 27~28)
☞경북 대구시에서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개최(1975. 12. 10)
☞직장단체 새마을운동 비교평가회(1975. 12. 26)
☞수출진흥확대회의에서 근로자 처우개선으로 생산성 향상, 물자절약, 수출상품의 품질향상, 공장새마을운동을 활발히 전개(1976. 1. 28)
☞도시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3대 질서확립운동 전개(1976. 2. 16)
☞새마을운동 특별기념우표 발행(1976. 4. 15, 총 5종 1,000만개)
☞수원새마을지도자연수원 순시(1976. 5. 11)
☞우수마을 특별지원사업 충열 실시(1976. 5. 22~6. 5)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에 저소득층 의료혜택, 수출업체 경쟁력 강화, 농어촌의 구조개선 방안 등을 반영하라고 지시(1976. 6. 15)
☞새마을금고 육성지침 시달(1976. 6. 18)
☞공장새마을운동 추진요강 제정(1976. 7. 2)
☞수원새마을지도자연수원 순시(1976. 7. 6, 성공사례청취)
☞월간경제동향보고회의 참석, 주곡의 자급자족, 농수축산물의 증산운동 지시, 새마을지도자들 과 밤의 가공처리, 한발대책, 농협의 유통구조개선 등에 대한 의견 교환(1976. 7. 12)
☞정부 여당 연석회의에서 공단근로자들 야간중학에 다닐 수 있도록 조치, 각 기업체의 후생 시설 확충, 야간학급 및 산업체 부설학급에는 정부지원 등을 지시(1976. 7. 23)
☞월간경제동향보고회의에서 “새마을운동이 국민의 의식개혁뿐만 아니라 생산성 향상에도 크 게 기여하고 있다”고 강조(1976. 8. 25)
☞영산강유역농업개발 제1단계사업 준공식에 참여하여 “영농근대화로 식량증산의 가속화를 이루어야 한다‘라고 강조(1976. 10. 14)
☞시도별 공장새마을운동 비교평가회 개최(1976. 11. 3~5)
☞민간단체 새마을운동 중앙협의회 창립총회(1976. 11. 10)
☞충남 대전시에서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개최(1976. 12. 10)
☞제주도 새마을부락 시찰(1977. 1. 1)
☞농수산부와 건설부 순시에서 농촌주택을 문화주택으로 전환, 어선의 대형화 및 동력화 추진 을 지시(1977. 1. 21)
☞상공부 순시에서 모든 기업의 공장새마을운동 참여와 에너지 10% 절약운동을 강력히 추진 하라고 지시(1977. 1. 22)
☞민간단체 새마을운동전진대회(1977. 2. 25)
☞근로자의 날을 맞이하여 노총간부들을 접견하고 공장새마을운동은 노동조합에서 적극 앞장 서 달라고 당부(1977. 3. 10)
☞우수새마을지도자 일본 시찰(1977. 3. 14~21)
☞제1회 공장새마을전진대회 개최(1977. 3. 20)
☞공장새마을추진본부 설치(1977. 3. 21)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영등포여자상업고등학교, 대방여자중학교의 근로자 야간학교 수업상황 시찰(1977. 4. 19)
☞월간경제동향보고회에서 “공장새마을운동을 중소기업에 확대시키는 한편 신바람나는 분위기 를 조성해야 한다”라고 강조(1977. 5. 10)
☞새마을기술봉사단 활동사례발표회(1977. 8. 26)
☞정부종합청사 5층에 새마을상황실 개실(1977. 9. 1)
☞도시새마을운동 비교평가회 개최 및 농촌불량주택 조사(1977. 9. 20)
☞제4차 중소기업 국제회의 서울대회 치사에서 “우리 민족의 오랜 전통인 상부상조의 정신을 되살 려
오늘의 기업윤리 및 근로윤리로 정립시켜 가려는 것이 공장새마을운동이다”라고 강조(1977. 10. 11)
☞전국직장단체 대항 새마을합창경연대회 개최(1977. 10. 12)
☞전북 전주시에서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개최(1977. 12. 9)
☞대구시에서 중소기업 공장새마을운동 촉진대회 개최(1977. 12. 13)
☞농촌주택 55만동 개량촉진대회 개최(1978. 1. 6)
☞영산강유역농업개발 2단계사업 착공(1978. 1. 20, 준공 : 1983년)
☞범국민 3대질서운동촉진대회 개최(1978. 1. 23)
☞상공부 순시에서 공장새마을운동을 통하여 국제경쟁력을 키우라고 지시(1978. 1. 26)
☞내무부 새마을담당관실에 농촌주택개량과 신설(1978. 3. 1)
☞농촌주택개량사업촉진대회 개최(1978. 3. 17)
☞공장새마을 주안연수원 개원(1978. 4. 25, 여성지도자 교육)
☞경기도 새마을운동 농촌주택 개량사업현장 시찰(1978. 5. 2)
☞1978 주택개량마을 입주식 거행(1978. 7. 4)
☞조선일보 기자와의 좌담회에서 새마을운동을 통하여 국민정신과 문화계발을 촉진해 간다는 신념을 밝힘(1978. 7. 6)
☞논산지구 농업개발사업 완료(1978. 7. 21)
☞3대질서운동 비교평가회 개최(1978. 9. 26)
☞대구시에서 전국중소기업 새마을지도자대회 개최(1978. 10. 13)
☞제1회 전국공장새마을운동 분임활동 경진대회 개최(1978. 11. 3)
☞공장새마을 부산연수원 개원(1978. 11. 6)
☞제1회 공장새마을운동 추진 종합평가대회(1978. 11. 20)
☞전남 광주시에서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개최(1978. 12. 6)
☞새마을운동 연구논문집에 「새마을운동은 한국적 민주주의의 도장」 이라는 책자 휘호 씀(1978. 12. 8)
☞범국민 3대질서운동 총열 실시(1978. 12. 17~23)
☞농촌주택개량 총열(1979. 1. 10~14)
☞도시새마을운동 10 중요구심사업 설정(1979. 2. 21)
☞상공의 날 및 공장새마을전진대회 개최(1989. 3. 20)
☞월간경제동향보고회에서 서민생활의 안전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하고 새마을지도자 표창(1979. 4. 13)
☞자영마을 신설 운용(1979. 4. 18)
☞직장여성 소비절약결의대회 개최(1979. 7. 4)
☞공장새마을운동 총열(1979. 7. 1~25)
☞전국 137개군에 새마을과 설치(1979. 7. 16)
☞공장새마을운동 촉진결의대회 개최(1979. 8. 31)
☞새마을금고 중앙교육원 신축기공(1979. 9. 20)
☞삽교천 방조제 준공(1979. 10. 26, 착공 : 1977년)
☞전국직장새마을운동 비교평가대회 개최(1979. 11. 7)
☞미호천 1단계 사업 준공(1979. 11. 12)
☞전국새마을지도자대회 개최(1979. 12. 28, 시도별 개최)
☞새마을지도자연수원 설치법 공포(1979. 12. 28, 법률 제3171호)
☞산림법 제정(1961. 12. 27)
☞국토녹화 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 공포(1963. 2. 8)
☞치산 녹화 7개년 계획(1965~1971) 성안(1965. 4. 1)
☞산림청 개청(1967. 1. 9)
☞수계별 산림복구종합계획(1967~1976) 확정
☞치산녹화사업 10개년 계획 확정 발표(1973. 3. 10)
☞영일지구 사방사업(1973~1977)
☞지리산, 가야산, 덕유산일대를 자연학습도장으로 개발 결정(1977. 1. 18)
☞자연보호에 대한 전 국민운동의 전개를 위해 민간단체를 조직하여 운영하라고 관계부서에 지시(1977. 10. 5)
☞육림의 날 선포(1977. 10. 7)
☞자연보호협의회 창립총회(1977. 10. 28)
☞자연보호 범국민궐기대회에 참석하여 자연을 보호하는 것은 인간의 생명을 존중하는 길이라고 강조(1977. 11. 5)
☞서울 미아1동 자연보호회와 어머니회 회원들과 우이동 등산로에서 자연보호운동 전개(1978. 9. 23)
☞자연보호헌장 선포(1978. 10. 5)
☞청와대에서 자연보호 회의 주재(1978. 10. 13)
☞북한산 계곡에서 비서실 직원들과 자연보호운동 실시(1979. 10. 8)
☞제2차 치산녹화 10개년 계획 확정(1979년)
☞공군작전사령부(K-55) 창설(1961. 7. 1)
☞공군작전사 발족(1961. 9. 15)
☞해양경찰대 발족(1962. 5. 5)
☞공군 항공창 준공(1962. 5. 29)
☞제1이동외과병원(130명)과 태권도 교관단(10명) 파월 환송식(1964. 8. 24)
☞국무회의, 비전투요원 2,000명 파월 의결(1965. 1. 8)
☞주월한국군사원조단(비둘기부대) 결단(1965. 2. 5, 파월 : 1965. 2. 19)
☞방공포병대대(호크유도탄부대) 창설(1965. 3. 19)
☞초음속 F-5 제트 전투기 도입(1965. 4. 3)
☞주월한국군사령부 창설(1965. 9. 25, 서울 필동)
☞맹호부대/청룡부대/십자성부대 파월(1965. 10)
☞육군 1개 사단과 해병 1개 여단 창설 발표하고 국군 62만명으로 증강하겠다고 언명(1966. 5. 19)
☞한국군 장비현대화에 대하여 공동성명(1966. 6. 22)
백☞마부대 파월(1966. 9. 16)
☞해병 제5여단 창단(1966. 11. 23, 포항)
☞동해안 2개 지역 공군기지 건설(1967. 2. 26)
☞최대의 공군 광주기지 준공(1967. 5. 25)
☞치안국에 대간첩 사령부 설치(1967. 6. 21)
국☞방부 종합청사 신축(1967. 6. 23)
☞전투경찰대 발족(1967. 8. 26)
☞대간첩작전본부 발족(1968. 1. 22)
☞육군 기동타격대 창설(1968. 1. 27)
☞향토예비군 창설식(1968. 4. 1, 대전)
☞공군레이다방공망 준공(1968. 6. 13)
☞방위산업정비 전투태세완비 3개년 계획 확정(1968. 7. 5)
☞유엔군으로부터 작전권 대폭 이양 받았다고 발표(1968. 7. 8)
☞제3훈련비행단 창설(1968. 7. 23)
☞7개 시의 고교, 대학생에 군사훈련 실시 결정(1969. 1. 9)
☞제3사관학교 개교(1969. 3. 18)
☞공군 F-4 팬텀기전투비행부대 창설(1969. 9. 23)
☞청소년에 1일 승공교육 실시키로 결정(1970. 1. 15)
☞국방과학연구소 설립(1970. 8. 6)
☞한국군 현대화와 주한 미군 감축에 합의(1971. 2. 6)
☞155마일 전선방위 국군이 전담키로 했다고 발표(1971. 2. 7)
☞병기공장(M-16 소총) 건설에 관한 한미간 계약 체결(1971. 3. 31, 착공 : 1971. 4, 준공 : 1972)
☞한미합동 제1군단 창설(1971. 7. 3)
☞박격포 고사포 등 중화기의 국내생산계획 추진 발표(1971. 11. 14)
☞전국에서 첫 민방공훈련 실시(1971. 12. 10)
☞국산병기 시제품(카빈소총, 기관총, 60밀리 박격포, 3.5인치 로켓발사기) 전시(1971. 12. 16)
☞국방과학연구소 60·81밀리 박격포 개발 착수(1972. 4. 30)
☞경인지구 예비군 고사포부대 배치 완료(1972. 6. 30)
☞4.2인치 박격포 및 105밀리 곡사포 개발 착수(1972. 8. 1)
☞국방과학연구소 지뢰탐지기 개발 착수(1973. 7. 10
☞M16 소총 양산 체제로 전환(1974. 2. 1)
☞국방과학연구소 106밀리 대전차포탄 개발(1974. 2. 10)
☞M48전차를 M48A5 전차로 개조사업 착수(1974. 6. 20)
☞국방과학연구소 105밀리 곡사포 연막탄 개발(1975. 4. 2)
☞전투상비군부대 창설(1975. 6. 30)
☞국방과학연구소 155밀리 곡사포탄 개발(1975. 7. 2)
☞방위세법 공포(1975. 7. 16)
☞민방위기본법 제정(1975. 7. 25, 민방위대 발대식 : 1975. 9. 22)
☞함대함미사일 시험 발사 성공(1975. 11. 7)
☞국방과학연구소 전신·전화단말기 KAN/TCC-29 개발 착수(1976. 1. 15)
☞국군현대화 5개년 계획 77년에 완료된다고 발표(1976. 1. 21)
☞한국군수산업진흥회 발족(1976. 3. 5, 현 한국방위산업진흥회)
☞M48A1 전차를 M48A5, M48A3 전차로 개조하는 사업 착수(1976. 5. 20, 생산 : 1978. 4. 6, 자유진영에서 9번째로 전차생산국)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형 기관단총 개발 착수(1976. 10. 2)
☞대전 기계창 준공(1976. 12. 2)
☞국방부 순시에서 핵무기와 전투기를 제외한 모든 무기를 국산화하고 있음을 천명(1977. 1. 28)
☞미군 철수에 대해 선 보완 후 철군 강조(1977. 5. 25)
☞국방과학연구소 한국형 소총 XB-7형 개발 착수(1977. 6. 1)
☞첫 방위산업진흥확대회의 개최(1977. 6. 17)
☞북한의 200해리 경제수역 및 해상 군사경계선 인정하지 않는다고 성명(1977. 8. 1)
☞국방과학연구소 8인치 곡사포 고폭탄 개발(1977. 8. 30)
☞군수산업 육성(1978. 1. 18, 헬기, 대포, 탄약, 장갑차, 함정, 레이다, 미사일을 생산하고 있 으며 항공기산업과 특수전차개발에 착수)
☞국산장거리 지대지유도탄, 중거리유도탄, 다연발로케트 시험 발사에 성공(1978. 9. 26, 세계 7번째)
☞한미연합사령부 발족(1978. 11. 7)
☞국방과학연구소 대형 함정용 전자장비(KDJ-25) 개발 착수(1979. 1. 30)
☞일본 이케다 수상과 회담(1차 회담 : 1961. 11. 11, 한일 관계 전반에 대해 토의, 2차 회담 : 1961. 11. 12, 재산청구권 및 평화선문제 토의)
☞방미 케네디 대통령 공동성명 발표(1961. 11. 14, 케네디 대통령과 2차 회담 : 1961. 11. 15)
☞방미 존슨 대통령과 정상회담(1963. 11. 25, 케네디 대통령 장례식 참석)
☞국제의회연맹(IPU) 가입(1964. 8. 19)
☞서독 방문(1964. 12. 6~15, 12. 8 뤼브게 대통령, 12. 9 에르하르트 수상과 회담)
☞서독과 차관협정 조인(1964.12.7, 재정 1,350만달러 상업 2,625만달러)
☞이동원 외무장관, 시이나 일본 외상과 한일기본조약에 가조인(1965. 2. 20)
☞라만 말레이시아 수상 내한(1965. 4. 28)
☞방미 존슨 대통령과 정상회담(1965. 5. 17~19, 월남지원 등)
☞한일협정 정식 조인(1965. 6. 22, 동경, 국교정상화)
☞월남 쿠엔카오키 수상 내한(1965. 11. 8)
☞한일협정 비준서 교환(1965. 12. 18, 서울)
☞험프리 미 부통령 내한(1966. 1. 1, 경제원조 및 월남지원문제 협의)
☞동남아순방(1966.2.7~18, 말레이시아, 태국, 자유중국)
☞공산권과의 교류 확대 추진(1966. 4. 22)
☞제1차 아시아 태평양지구 각료회의 개최(1966. 6. 14~16, 서울, 10개국)
☞한미행정협정조인, 재판관할권을 제한하고 광범위한 외교 특권 허용(1966. 7. 9)
☞월남참전 7개국 정상회담(1966. 10. 24, 한국, 미국, 호주, 뉴질랜드, 필리핀, 태국, 월남)
☞미국 존슨 대통령 내한(1966. 10. 31, 정상회담 : 1966. 11. 2)
☞아시아민족반공연맹 제12차 총회 개막(1966. 11. 3, 서울)
국☞제통신위성기구에 56번째로 가입(1967. 2. 24)
☞뤼브게 서독 대통령 내한(1967. 3. 2~3. 6)
☞티놈 태국 수상 내한(1967. 4. 2~4. 3)
☞홀트 호주 수상 내한(1967. 4. 6)
☞한, 미, 일, 자유중국 4개국 수뇌회담(1967. 7. 2, 서울)
☞박 대통령 호주 캔버라에서 미 존슨 대통령과 회담(1967. 12. 22)
☞미 대통령 특사 벤스 내한(1968. 2. 11, 회담 : 1968. 2. 12)
☞미 존슨대통령과 정상회담(1968. 4. 17~4. 18, 호놀롤루, 한미안보문제)
☞셀라시 이디오피아 황제 내한(1968. 5. 18~5. 21)
☞대양주 순방 외교(1968. 9. 15~9. 25)
☞홀리오크 뉴질랜드 수상과 정상회담(1968. 10. 23)
☞말레이시아 국왕 내한(1969. 4. 29~5. 3)
☞티우 월남 대통령 내한(1969. 5. 27~30)
☞닉슨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1차 : 1969. 8. 21, 2차 : 1969. 8. 22)
☞니제르 하마니 대통령과 정상회담(1969. 10. 30)
☞비적성 공산권 국가와의 교역을 허용하도록 무역거래법 개정 결정(1970. 5. 28)
☞중동분쟁에 대한 입장으로 유엔헌장정신과 유엔관계 제의결에 입각한 분쟁의 평화적 해결 천명(1970. 8. 3)
☞에그뉴 미국 부통령 내한(1970. 8. 23, 회담 : 1970. 8. 24)
☞한일대륙붕 공동개발에 완전 합의(1973. 7. 4)
☞키신저 미 국무장관과 한미간 협조문제 논의(1973. 11. 16)
☞이스라엘 점령지 철수 등 4개항의 친 아랍성명 발표(1973. 12. 15)
☞포드 대통령 내한(1974. 11. 22~11. 23, 한미방위 확인)
☞가봉 봉고 대통령 내한(1975. 7. 5~7. 8)
☞제3세계에 대한 외교활동 강화(1976. 1. 23)
☞동구권과의 관계 개선 결정(1976. 2. 6)
☞멀둔 뉴질랜드 수상 내한(1976. 4. 18~4. 22)
☞아시아의원연맹 총회 개최(1977. 11. 8, 서울)
☞상고르 세네갈 대통령 내한(1979. 4. 22~4. 25)
☞미국 카터 대통령 내한(1979. 6. 29~7. 1, 철군문제협의)
☞한, 미, 북한 회의 제의(1979. 7. 1)
☞이광요 싱가포르 수상 내한(1979. 10. 16)
☞수교 국가 117개국으로 증가(1979. 11. 30 외무부 발표)
☞문교부 외국으로 문화재관리국 설치(1961. 10. 2)
☞문화재보호법 제정 공포(1962. 1. 10)
☞남대문 중수 공사 준공(1963. 5. 14)
☞동대문 개축 준공(1963. 9. 5)
☞문화재보수 5개년 계획 수립(1963. 9. 10)
☞팔의사 창의탑 준공(1963. 11. 5)
☞해인사 팔만대장경 판고 신축 및 보수(1963~1977)
☞경주 석굴암 복원공사 준공(1964. 7. 1, 보고서 작성 : 1961. 7. 17)
☞무형문화재, 기능 및 예능보유자 인정 전승사업 시작(1964년)
☞석가탑 사리함에서 세계 최고 목판 인쇄 다라니경문 발견(1966. 10. 14)
☞국립중앙박물관 착공(1966. 11. 16, 준공 : 1972. 8. 25)
☞밀양 영남루 보수(1966. 11. 30)
☞서울 문묘 보수(1966. 11. 30)
☞부여 정림사지 정비(1966. 12. 6)
☞법주사 대웅전 보수(1966. 12. 18)
☞종합민족문화센터 기공(1967. 4. 25)
☞안중근의사 동상 이안(1967. 4. 26)
☞국립묘지정화사업 현충탑 건립(1967. 10. 1)
☞세종로에 이충무공 동상 제막식(1968. 4. 27)
☞소수서원 해체 복원(1968. 12. 2)
광화문 복원공사 준공식(1968. 12. 11)
현☞충사 성역화 중건 준공(1969. 4. 28, 착공 : 1966년, 조경공사 : 1972~1974년)
범☞어사 대웅전 보수(1969. 8. 19)
☞월정사 대웅전 준공식(1969. 10. 14)
☞유관순 유적지 착공(1969. 10, 준공 : 1973. 3)
☞금산사 대적광릉 해체 복원(1970. 2. 29)
☞행주산성 보수 준공(1970. 11. 10, 착공 : 1969년, 행주대첩비 건립 : 1963년)
☞세종대왕기념관 기공(1970. 11. 19, 준공 : 1973. 10)
☞도산서원 보수 준공(1970. 12. 8, 착공 : 1969. 10. 6)
☞화엄사 대웅전 보수(1970. 12. 25)
☞남원 광한루 보수(1970. 12. 31)
☞진주성 보수 준공(1970년, 착공 : 1969년)
☞남한산성 보수정비사업 착공(1970년)
☞금산 칠백의총 정화사업 준공(1차 : 1971. 4. 13, 2차 : 1976. 9. 20)
☞무령왕릉 발굴(1971. 7. 8)
☞속리산 법주사 사천왕문 복원(1971. 8. 30)
☞국립부여박물관 부소산 신관 개관(1971. 9. 1, 기공 : 1965. 9. 14)
☞경주고도개발 10개년 계획 확정(1972. 3. 10)
☞육산리 고분군 정화(1972. 11. 4)
☞경주 155호 고분(천마총) 발굴 착수(1973. 4. 6)
☞불국사 복원 준공(1973. 7. 5, 착공 : 1970. 11. 3)
☞한국문화예술진흥원 개원식(1973. 10. 17, 현판식 : 1974. 10. 11)
문예☞중흥 5개년 계획 발표(1973. 10. 19)
☞해미 읍성 복원정비(1973~1977)
☞낙성대 준공(1974. 6. 10, 착공 : 1973. 11)
금☞산사 미륵전 해체 복원(1974. 12. 10)
☞문경 관문 해체 복원(1974년, 제1관문 성벽 보수 준공 : 1975년, 제2관문 문루복원 및 성곽보수 준공 : 1975년, 제4관문 홍예성곽보수 준공 : 1976년, 제3관문 문루복원 및 제1관문 단청 준공 : 1977년)
☞황남대총(98호 고분) 발굴(1974~1975년)
☞서울 성곽 복원?보수계획(1975~1978년)
☞중앙민속박물관 개관(1975. 4. 11)
☞수원 성곽 복원 착공(1975. 5. 30)
☞경주박물관 개관(1975. 7. 2)
☞광희문 복원공사 준공(1975년)
☞경주 용담정 천도교 유적지 정비(1975년)
☞옥산서원 보수작업(1976. 1. 20)
☞한국 미술 5천년전(1976. 2. 23~7. 25, 일본 도쿄, 교토, 나라)
☞밀양 표충사 정화사업(1976. 4. 10)
☞강릉 오죽헌 정화사업 준공(1976. 5. 7, 착공 : 1975. 10)
☞유적지 및 전적지개발 위한 특별법 제정(1976. 6. 24)
☞한산도 충무공 유적 정화사업 준공식(1976. 10. 20, 착공 : 1975. 1)
☞신안 해저문화재 발굴(1976년부터)
☞예산 추사고택 보수정비 준공(1977. 6. 27, 기공 : 1976. 7. 4)
☞경주 통일전 준공(1977. 7. 30, 착공 : 1976. 4. 22)
☞여주 영릉 보수정비 사업 준공(1977. 10. 9)
☞부석사 정화사업 기공(1977. 10, 준공 : 1979년)
☞강화전적지 정화사업 준공(1977. 10. 28, 착공 : 1976. 8)
☞고창 읍성 복원정비(1977. 12. 30, 착공 : 1975년)
☞내장사 정화사업 준공(1977년, 착공 : 1974년)
☞안동 하회마을 영모각 보수 준공(1977년, 유성룡장군 유물보관)
☞홍지문 준공(1977년)
☞월정사 복원 공사 착공(1978. 5. 3)
☞제주 황파두리 항몽유적지 정비 준공(1978. 6. 2)
☞금오산 채미정 정화사업 착공(1978. 6. 2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원(1978. 6. 30)
☞해남 표충사 보수사업 착공(1978. 8. 15)
☞김천 직지사 정화사업 준공(1978. 10. 30, 착공 : 1977년)
☞곽재우장군 유적지 조성 정화사업 착공(1978. 11. 22)
☞충주 충렬사 정화사업 준공(1978. 11. 23)
☞국립광주박물관 개관(1978. 11. 28, 착공 : 1977년)
☞광산 고경명장군 포충사 보수사업 준공(1978년)
☞부산 충렬사 보수 준공(1978년, 착공 : 1976년)
☞예산 윤봉길의사 충의사 보수 정화사업 준공(1978년)
☞경주 보문관광단지 개장(1979. 4. 6)
☞한국 미술 5천년전 개막(1979. 5. 1, 미국 샌프란시스코, 시카고, 보스턴, 클리블랜드, 뉴욕, 캔자스시티, 위싱턴, 시애틀)
☞남원 만인의총 정화사업 준공(1979. 10. 5)
☞광주 충장사 김덕령장군 유적지 정화사업 준공(1979년, 기공 : 1974. 4. 4)
☞충주 임경업장군 유적지 정화사업 준공(1979년)
☞춘천 유인석 의병장 유적 정비보수 준공(1979년)
☞국토통일원 개원(1969. 3. 1)
☞8. 15 평화통일정책구상 선언(1970. 8. 15)
한☞국적십자 남북가족찾기회담 제안(1971. 8. 12)
☞남북 첫 전화 개통(1971. 9. 22)
☞남북적십자회담 첫 실무회의 개최(1972. 2. 21)
☞남북공동성명발표(1972. 7. 4)
☞남북적십자 첫 본 회담(1972. 7. 30, 평양)
☞남북적십자회담용 직통 전화 20회선 개통(1972. 8. 17)
☞남북적십자 2차 본 회담(1972. 9. 13, 서울)
☞남북조절위원회 공동위원장 1차 회의(1972. 10. 12, 판문점)
☞남북적십자 3차 본 회담(1972. 10. 24, 평양)
남☞북조절위원회 공동위원장 2차 회의(1972. 11. 2, 평양)
☞남북적십자 4차 본 회담(1972. 11. 22, 대한적십자 회담사무국 회의실)
☞남북조절위원회 공동위원장 3차 회의(1972. 11. 30, 서울)
☞남북조절위원장 회의(1972. 12. 12)
☞서울-평양 직통전화 개통(1973년)
☞남북조절위원회 제2차 회의 개최(1973. 3. 14, 평양)
☞남북적십자 5차 본 회담(1973. 3. 21, 평양)
☞남북적십자 6차 본 회담(1973. 5. 8, 서울)
☞남북조절위원회 제3차 회의 개최(1973. 6. 12, 서울)
☞평화통일 외교정책 7개항 발표(1973. 6. 23)
☞남북적십자 7차 본 회담(1973. 7. 11, 평양)
☞연두회견에서 남북한 불가침 협정 체결 제의(1974. 1. 18)
☞남북한 이산가족재결합 촉구(1974. 6. 15)
☞평화통일 3대 기본원칙 발표(1974. 8. 15)
☞남북문화교류 및 공동학술연구 제의(1976. 4. 12)
☞북한에 식량 원조 제의 및 남북불가침협정 체결되면 주한미군 철수 반대하지 않는다고 언명(1977. 1. 12)
☞남북한 민간경제협력기구 구성 제의(1978. 6. 23)
☞남북한 당국 무조건 대화 제의(1979. 1. 19)
☞원자력연구소 원자로에 첫 점화(1962. 3. 19)
☞과학자 우대정책 발표(1962. 11. 18)
☞과학기술진흥 5개년 계획 수립(1966. 2. 1)
☞한국과학기술연구소 발족(1966. 2. 4)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재단법인 설립(1966. 2. 10)
☞미국 바텔기념연구소와 기술교류협정 체결(1966. 6. 10)
☞한국과학기술연구소 기공(1966. 10. 6, 준공 : 1969. 10. 23)
☞과학기술처 신설(1967. 4. 12, 개청 : 4. 21)
☞제1회 과학의 날(1968. 4. 21)
☞KAIST 발족(1971. 2. 7)
☞대덕연구단지 착공(1973. 6. 23)
☞선박연구소 및 해양연구소 설립(1973. 10. 30)
☞한국표준연구원 설립(1975. 12. 24, 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자원개발연구소 설립(1976. 5)
☞한국화학연구소 설립(1976. 9, 현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핵연료개발공단 설립(1976. 12. 1)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설립(1976. 12. 26, 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기기기시험연구소 설립(1976. 12. 29, 현 한국전기연구원)
☞한국기계금속연구소 설립(1976. 12. 30, 현 한국기계연구원)
☞한국통신기술연구소 설립(1976. 12)
☞한국과학재단 발족(1977. 5. 18)
☞한국열관리시험연구소 설립(1977. 8, 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해양개발연구소 설립(1978. 4)
☞고려인삼연구소 설립(1978. 5)
☞한국연초연구소 설립(1978. 5)
☞태양에너지연구소 발족(1978. 6. 5)
☞한국선박연구소 설립(1978. 11)
☞군사혁명위원회를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칭(1961. 5. 19)
☞국가재건 비상조치법 공포(1961. 6. 6)
☞국가재건 최고회의 의장 취임(1961. 7. 3, 내각 수반 : 송요찬)
☞반공법 공포(1961. 7. 3)
☞박정희 의장 정권이양시기, 정부형태, 국회구성 등 중대성명 발표(1961. 8. 12)
☞박정희 의장 대통령 권한 대행(1962. 3. 24)
☞박정희 의장 내각 수반 겸임(1962. 6. 16)
☞국민투표법 공포(1962. 10. 12)
☞헌법개정안 국민투표 실시(12. 17)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발족(1963. 1. 21)
☞민주공화당 창당(1963. 2. 26)
☞박정희 의장 4년간 군정 연장안 국민투표로 결정하겠다고 발표(1963. 3. 16)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박정희 의장을 대통령 후보로 지명(1963. 5. 27, 지명수락 : 1963. 8. 31)
☞제5대 대통령 투표(1963. 10. 15, 총 4,692,644표를 얻어 당선)
☞최고회의 해체(1963. 12. 16)
☞제5대 대통령 취임 및 국회 개원(1963. 12. 17)
☞언론윤리위원회법 통과(1964. 8. 2, 공포 : 5일)
☞대일청구권자금 제1차년도 사용안 9천5백93만3천달러 국회 통과(1966. 3. 6)
☞제6대 대통령 선거 실시(1967. 5. 3, 취임식 : 1967. 7. 1)
☞지방행정제도 개편(1967. 7. 13)
☞3선 개헌안 및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신임 국민투표 실시(1969. 10. 17, 찬성 : 755만 3,655명)
☞제7대 대통령 선거 실시(1971. 4. 27, 총 6,342,828표 얻어 당선)
☞제7대 대통령 취임(1971. 7. 1)
☞헌법개정안 공고(1972. 10. 27)
☞유신헌법안 국민투표 실시(1972. 11. 21)
☞제8대 대통령 취임 및 유신헌법 공포(1972. 12. 27)
☞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1975. 2. 12, 73.11% 찬성)
☞서정쇄신 추진(1975. 11. 20, 부조리척결)
☞임시 행정수도 건설 구상 피력(1977. 2. 10)
☞제9대 대통령 취임(1978. 12. 27)
☞서울 국제방송국 개국(1961. 7. 1)
☞서울 텔레비젼 방송국(KBS-TV) 개국(1961. 12. 31)
☞연호를 서력으로 변경(1962. 1. 1)
☞장충체육관 개관(1963. 2. 1)
☞민간방송 동아방송국 개국(1963. 4. 25)
☞가족계획사업 추진(1963. 9. 17)
☞동양방송(라디오 서울) 개국(1964. 5. 9)
☞5·16 민족상 제정(1966. 3. 15)
☞ 인구센서스 실시(1966. 10. 1)
☞주민등록법 개정(1968. 5. 29, 시?도민증 없애고 주민등록증으로 갱신 : 1968. 11. 21, 주☞민등록증 휴대 의무화 : 1969. 4. 22, 18세 이상 휴대 의무화 : 1970. 2. 2)
☞가정의례준칙 선포(1969. 3. 3, 새 가정의례준칙 시행 : 1973. 6. 1)
☞남산 어린이회관 기공(1969. 5. 5, 준공 : 1970. 7. 25)
☞MBC 텔레비젼 방송 개국(1969. 8. 8)
☞사회정화운동 전개(1970. 1. 15, 호화주택, 분묘 등 규제)
☞우편번호제 실시(1970. 7. 1)
☞태릉 국제사격장 준공(1971. 9. 25)
☞여의도 5·16광장 준공(1971. 9. 29)
☞제1회 전국스포츠소년대회 개막(1972. 6. 16)
☞어린이대공원 개원(1973. 5. 5)
☞새로 제정한 첫 어버이 날(1973. 5. 8)
☞장충동 국립극장 개관(1973. 10. 17, 착공 : 1967. 10. 25)
☞국민복지연금법 제정(1973. 12. 24)
☞한국근로복지공사 설립(1974. 8. 8)
☞정립회관 개관(1975. 10. 30, 장애인보호육성)
☞전국에서 첫 반상회 실시(1976. 5. 31)
☞직장의료보험제도 실시(1977. 7. 1)
☞잠실올림픽경기장 기공(1977. 11, 준공 : 1984. 9. 29)
☞세종문화회관 준공(1978. 4. 14, 기공 : 1974년)
남☞서울대공원 착공(1978. 10. 30, 준공 : 1984. 5)
잠☞실체육관 건립(1979. 4. 18)
☞한국종합전시장 개관(1979. 7)
☞국제올림픽대회 서울 유치 언명(1979. 10. 12, 제60회 전국체전 치사에서)
☞학사자격 국가고시 첫 실시(1961. 12. 22)
☞문맹자 퇴치운동 전개(1961. 12~1962. 4)
5·16 장학회 설립(1962. 7. 14, (재)정수장학회로 변경 : 1982. 1. 14)
☞제1차 의무교육시설확충 5개년 계획 수립 추진(1962년, 제2차 : 1967~1971년)
☞사립학교법 공포(1963. 6. 26)
☞국사교육 통일방안 확정(1963. 8. 8)
☞도 단위 교육자치제 실시(1964. 1. 4)
☞4·19도서관 개관(1964. 9. 1)
☞6-6-4 학제를 66학년도부터 실시 발표(1965. 9. 15)
☞천체과학관 개관(1967. 4. 29)
☞박 대통령 서울대 신축 10개년 계획 지시(1967. 11. 6)
☞71년까지 중학입시시험 전폐 등 입시개혁 발표(1968. 7. 15)
☞대학입시 예비고사제를 69년부터 실시한다고 발표(1968. 10. 14)
☞국민교육헌장 선포(1968. 12. 5)
☞국공립중학교증설 7개년 계획 확정(1969. 1. 6)
☞서울시 중학교 무시험 입학 첫 추첨 실시(1969. 2. 5)
☞고등학교기관확충계획 발표(1969. 2. 10)
☞금성사 등 7개 대기업체 이공계 실업학교 부설키로 결정(1969. 11. 11)
☞전국 10개 도시 중학 무시험 진학 추첨 실시(1970. 2. 3)
☞장기종합교육계획시안 마련(3. 22, 86년까지 단계적 실시, 의무교육 9년으로 연장, 교육세 신설)
☞국민윤리 교과 신설(1971. 2. 19)
☞종합교육센터 기공(1971. 4. 14)
☞학원질서 확립을 위한 특별명령 발표(1971. 10. 15)
☞경찰대학 4년제로 승격(1972. 2. 11)
☞교육용 한자 1,781자 선정 발표(1972. 6. 7, 중학 888자, 고교 893자)
☞전국 91개 공업고등학교 신설 확충 계획 발표(1973. 7. 10)
☞체육고 신설 결정(1973. 9. 5)
☞서울, 인천, 대구, 부산, 광주 고교평준화 작업 1단계 완료(1974. 11. 20)
☞어린이 독서 헌장 선포식(1976. 5. 2)
☞국비 유학제도 신설(1976. 5. 20)
☞공단 근로자를 위해 야간중학 개설 지시(1976. 7. 23)
☞정독도서관 개관(1977. 1. 4)
☞산업체 근로청소년의 교육을 위한 특별학급 설치 기준령 의결(1977. 2. 15)
☞78년부터 서울을 제외한 전국 국교생에 교과서 무상 지급키로 확정(1977. 12. 2)
|
첫댓글 중동대장님 반갑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하고요, 항상 건강하시기를 기원합니다. 좋은 주말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