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집 안에 노인이 없거든 빌려라 ◆
고려장 풍습이 있던 고구려 때 박정승은
노모를 지게에 지고 산으로 올라갔습니다.
그가 눈물로 절을 올리자 노모는
'네가 길을 잃을까봐 나뭇가지를 꺾어
표시를 해두었다' 고 말합니다.
박정승은 이런 상황에서도 자신을 생각하는
노모를 차마 버리지 못하고 몰래 국법을 어기고
노모를 모셔와 봉양을 합니다.
그 무렵 당나라 사신이 똑같이 생긴
말 두 마리를 끌고 와 어느 쪽이 어미이고
어느 쪽이 새끼인지를 알아 내라는 문제를 냅니다.
못 맞히면 조공을 올려 받겠다는 것이었습니다.
이 문제로 고민하는 박정승에게
노모가 해결책을 제시해 주었습니다.
"말을 굶긴 다음 여물을 주렴,
먼저 먹는 놈이 새끼란다."
이러한 노모의 현명함이 나라를 위기에서 구하고
왕을 감동시켜 이후 고려장이 사라지게 되었다는
일화가 전해집니다.
그리스의 격언에
'집안에 노인이 없거든 빌리라' 는 말이 있습니다.
삶의 경륜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잘 보여 주는 말입니다.
가정과 마찬가지로 국가나
사회에도 지혜로운 노인이 필요합니다.
물론 노인이 되면 기억력도 떨어지고,
남의 이야기를 잘 듣지 않고,
자신의 경험에 집착하는 경향도 있습니다.
그 대신 나이는 기억력을 빼앗은 자리에
통찰력을 놓고 갑니다.
노인의 지혜와 경험을 활용하는 가정과 사회,
그리고 국가는 발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옮긴 글 ▲
---------------------------------
노인들에게 베푸는 전철 무료승차를 두고 한 동안 말이 많았습니다.
출산율이 떨어지면서 경제활동인구는 줄어드는데 의료 분야의 발전에 따라
노인들의 기대수명은 늘어나니 그에 따른 사회비용 증가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먼 훗날을 바라볼 때 모두가 경제적으로나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한편 노인이 설 자리가 없을 때 가정과 사회의 질서가 어떻게 될 것인가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습니다.
효사상을 비롯한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치관은 무너지고
무분별한 외래 사조가 그 자리를 대체하면서 어른을 몰라보는 사회,
원로를 소홀히 대접하는 사회가 돼가고 있습니다.
이 또한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배경음악 : 박은옥, 정태춘 - '봉숭아'
| | |
첫댓글 언젠가 들은 말입니다. 깊은 생각을 하게하네요^^
기억력을 빼앗은 자리에 통찰력을 놓고 간다....
공감가는 글입니다..
우리도 가는 길인것을,,,
청춘이 구만리인줄 알았더냐....
온고지신



다만 내게 바램은 옹고집 많은 안가지게 되길

조용한 노래가 참 좋으네요^^

옳으신말씀

앞으로 다가올 나의 미래상인데.....
맘이 좀 그러네요^^
피할수없는 우리들에 미래에,,,,마음이 무겁네요,,,,
지금의 풍요로워진 이 세상이 그 노인들의 노력에 의해서 이루어진것임을 생각한다면
그분들에게 전철좀 무료로 태워드린들 어떻다고... ㅉㅉㅉ
우리가 늙어져서 젊은이들에게 봉양받을것을 생각해서 어르신들을 봉양한다면 어려운 문제가 아닐텐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