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찾아서] 느티나무에 부는 가을 소슬바람 타고 붉게 물든 단풍 |

|
소슬바람 불어오니 푸르던 잎 위에 붉은 단풍 물을 선명하게 끌어올린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
[2011. 11. 9]
입동 지났으니 초겨울이라고 써야 하나요? 그래도 아직 겨울이 느껴지지 않는 아침입니다. 마음이 아직 가을을 떠나보낼 준비를 하지 않은 탓인지 모르겠네요. 이상스레 따뜻하던 지난 주말 끝에 찬 비 내리고, 나무들은 붉고 노란 단풍잎을 후드득 내려놓았습니다. 길 위에 내려앉은 낙엽을 밟으며 걷는 소리 따라 지나간 옛 추억이 새록 솟아나는 참 좋은 늦가을입니다.
우리 눈으로 보기에 좋은 나뭇잎의 단풍에는 나무만의 특별한 이유가 있습니다. 단풍은 살아남기 위한 안간힘의 결과입니다. 특히 붉은 단풍 빛은 나무가 자기를 지키기 위한 생존 전략이지요. 단풍 잎의 붉은 빛에 머금은 성분 가운데에 안토시아닌은 해충의 침입을 막아내는 중요한 성분이랍니다. 나무는 가을 소슬바람 불여오면 잎을 붉게 물들인 뒤에 나무 그늘 아래로 떨어뜨립니다. 나무가 지난 계절의 긴장을 풀고 겨울 잠에 드는 동안 이 낙엽에 든 안토시아닌 성분은 나무 가까이 찾아오는 해충을 막아낼 겁니다. 결국 붉은 단풍은 생존을 위한 처절한 몸부림입니다. |

|
오가리 느티나무 세 그루 가운데 가장 아름다운 수형을 가진 상괴목의 줄기가 보여주는 그늘의 장관. |
자주 찾아보는 나무임에도 가을이면 새로운 설렘으로 나무를 찾게 되는 건 그래서입니다. 지난 계절을 잘 버텨온 나무가 준비한 겨울나기의 모습을 보고 싶은 거지요. 특히 가을 느티나무에 대한 설렘은 각별하달 수 있습니다. 대개의 느티나무는 붉은 계통의 단풍 빛을 띠지만, 나무마다 조금씩 그 빛깔의 차이가 있거든요. 단풍나무처럼 빨간 빛이 돌기도 하고, 갈참나무처럼 비교적 갈색에 가까운 단풍이 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올 가을 느티나무의 단풍 빛은 어떨 지에 대한 기대감이 보태집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우리나라의 느티나무 가운데에는 가장 아름다운 느티나무로 꼽는 충북 괴산 장연면 오가리 느티나무를 찾아볼 때에도 그런 설렘이 있었습니다. 숱하게 찾아본 나무이건만, 이 느티나무는 유독 봄볕 좋을 때에만 찾아본 듯합니다. 그러고 보니, 이 나무의 단풍 풍경은 처음 만나는 일이었으니 설렘은 더 컸을 겁니다. 나무를 찾아보기 며칠 전부터 이 느티나무가 보여줄 단풍의 장관을 그리며 조마조마했던 건 그래서였습니다. |

|
예전에 밭이었던 자리를 마을 사람들이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으로 고치고, 자그마한 정자까지 세운 오가리 느티나무 풍경. |
사실 나무의 시간표를 맞춘다는 건 참 어려운 일입니다. 꽃 필 때도 그렇고, 단풍 들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한창 괜찮게 꽃이 피었지 싶어 찾아갔어도 고작 꽃봉오리만 맺혔을 뿐일 때도 있고, 또 어떤 때에는 단풍이 잘 들었지 싶어 찾아갔지만 이미 낙엽을 다 마쳤을 때도 있지요. 한 그루만 직수굿이 찾아보는 일이라면 몰라도, 여러 그루를 찾아보고 싶은 욕심을 갖고는 사계절 동안 보여주는 나무의 변화를 모두 볼 수 없습니다.
그래서 나무를 찾아다니는 일은 언제나 조심스럽고 신중해야 합니다. 때로는 마치 자연을 경배하는 숭고한 마음이 되기도 하는 게 사실입니다. 그런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를 찾아갔습니다. 아직 단풍은 일렀습니다. 그러니까 제가 찾아본 게 보름 쯤 전이니까, 이 나무 편지를 쓰는 지금 쯤은 온전히 붉은 물이 다 들었거나 혹은 낙엽을 마쳤을 수도 있겠네요. |

|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줄기의 수피 부분. 수피가 너덜거리는 건 느티나무의 특징입니다. |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를 이야기할 때에는 마을 어귀에 모여 있는 세 그루의 느티나무를 한꺼번에 말해야 합니다. 오래 전부터 마을 사람들은 '세 그루의 느티나무 정자'라는 뜻으로 삼괴정(三槐亭)이라고 부르는 곳이지요. 공식적으로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라는 이름을 가진 건 세 그루 가운데에 두 그루 뿐이긴 합니다. 그 두 그루는 따로 상괴목 하괴목이라고 부르지요. 그밖에 한 그루는 두 그루에 비해 조금 수척한 상태여서 기념물 지정에서 제외된 겁니다.
이 세 그루의 느티나무 가운데에 가장 먼저 붉은 물이 잎 위에 올라앉은 나무는 천연기념물에서 제외된 한 그루의 나무입니다. 아래 사진의 앞쪽 나무가 바로 상괴목이고, 뒤쪽으로 멀리 내다보이는 붉은 나무가 바로 그 나무이지요. 상괴목 하괴목에 비해 작은 몸피에 한가득 달린 잎들은 모두 붉게 물들고 겨울나기 채비를 마쳤습니다. 멀리서도 그의 화려한 단풍이 눈에 들어와 가까이 다가서면서 얼마나 가슴이 설레던지요. |

|
앞에 보이는 커다란 나무가 상괴목이고, 뒤쪽으로 붉은 단풍이 선명한 느티나무 한 그루가 언덕 위로 보입니다. 천연기념물 지정에서는 제외된 나무입니다. |
상괴목에도 붉은 단풍이 선명하게 올라왔습니다. 그런데 그 단풍이 조금 수상합니다. 앞쪽으로 뻗어나온 가지 위의 잎사귀에는 붉은 빛이 눈에 부실 만큼 선명하게 올라왔는데, 언덕 위쪽으로 뻗은 가지는 아직 초록 빛이 그대로입니다. 그게 이유가 있습니다. 상괴목은 매우 굵은 줄기를 가지고 묵지근하게 솟아올랐는데, 그 나무 앞 쪽으로 하나의 작은 느티나무가 하나 또 올라왔다는 겁니다. 바로 그 작은 느티나무의 잎에만 붉은 단풍 물이 올라온 겁니다.
단풍이 짙게 물든 작은 느티나무가 상과목과 같은 뿌리에서 돋아난 건지 아니면 바로 앞에서 다른 느티나무가 뿌리를 내리고 자란 건지는 분명치 않습니다. 그저 멀리서 볼 때는 한 그루로 보이지요. 그리고 현재의 상태로는 이 작은 느티나무가 큰 상괴목의 자람을 방해하거나 간섭하는 상태가 아닙니다. 앞으로는 이 두 나무가 어떤 모습으로 자랄 지 궁금하긴 합니다. |

|
빛의 심천(深淺)과 농담(濃淡)이라는 그늘의 미덕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오가리 느티나무의 그늘. |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는 언제라도 그냥 좋습니다. 느티나무 사방을 빙글빙글 돌면서 바라보아도, 또 나무 줄기 가까이 짙은 그늘에 들어서 더러는 껍질이 벗겨진 느티나무 수피를 하염없이 들여다보아도 전혀 시간 가는 줄 모르는 좋은 나무입니다. 세 그루 중에 마을 사람들이 여전히 당산제를 올리는 하괴목은 제가 찾아갔던 때에 아직 단풍이 들지 않았는데, 지금은 아마 단풍이 잘 들었겠지요. 그의 단풍 모습은 어땠을 지 참 궁금합니다.
[나무와 사람 이야기 (51) -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
나무 안쪽으로 들어서면 오가리 우령마을이 이어집니다. 개울가로 이어지는 우령마을은 아름답고 큰 느티나무가 돌보아 준 탓인지 평화롭고 조용한 마을입니다. 한낮인데도 마을은 고요했습니다. 한참 마을을 서성이는데, 마을 할머니 한 분이 나와 하시는 말씀이 장연면 농산물 축제가 있어서 마을 사람들 모두가 그 곳에 갔다고 합니다. 나무가 겨울나기 채비를 위해 지난 계절의 수고를 내려놓고, 단풍 물 들이는 동안 마을 농부들도 한해 노동을 갈무리하며 잔치를 벌이는 것이었습니다. 세월 따라 나무와 사람이 더불어 겨울 준비를 하는 아름다운 농촌 풍경이었습니다. 나무 이야기는 앞에 링크한 신문 칼럼에 자세히 적었습니다. |

|
상괴목의 앞 쪽에서 자란 작은 또 하나의 느티나무에는 붉은 단풍이 들었지만 큰 나무에는 아직 단풍이 덜 든 상태입니다. |
끝으로 '시가 있는 아침'에 소개했던 나무 시(詩)와 제가 덧붙인 글 함께 보실 수 있는 신문 칼럼 링크하며 오늘의 나무 편지 마무리하겠습니다. 이 칼럼은 원래 석달 동안 연재하기로 했는데, 잘 봐 주시는 여러분들 덕분에 두 달을 더 이어 쓰기로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감사 인사 올립니다.
['시가 있는 아침' - 송수권, '대숲 바람소리'] ['시가 있는 아침' - 마종기, '밤 노래 4'] ['시가 있는 아침' - 장철문, '단풍나무 길에 서서'] ['시가 있는 아침' - 이하석, '하늘'] ['시가 있는 아침' - 안경라, '낙엽'] ['시가 있는 아침' - 김남극, '11월'] ['시가 있는 아침' - 최두석, '사람들 사이에 꽃이 필 때'] |

|
담양 죽녹원의 대나무. |
끝으로 지난 주 편지에서 알려드렸던 저의 새 책 소개, 편집자의 소개 글로 한 줄 보탭니다. [<천리포에서 보낸 나무편지>의 이야기를 따라가다보면 처음에는 어색했던 천리포 식물들과의 만남이 곧 풀어집니다. 마치 말하지 못했던 숨겨둔 이야기를 하고 더 가까워지는 사람들 사이처럼 말이지요. 저자는 그 이야기를 통해 자연을 아는 것보다 자연을 느끼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전해주고자 했습니다. <천리포에서 보낸 나무편지>를 접하고 나서 아이들과 함께 손잡고 다른 어느 숲을 가더라도 그래서 그곳의 꽃과 나무들을 만나 가만히 들여다본다면 더 아름다운 여행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이 책 편집자의 책 소개글 에서]
'천리포에서 보낸 나무편지' 찾아보기
고맙습니다.
고규홍(gohkh@solsup.com) 올림. / 솔숲닷컴에서
|
첫댓글 저 가을 나무들을 만나보지 못하고 이번 가을은 쓸쓸하게 달력만 넘겼네요
아름다운 느티입니다. 여기 궁정동 무궁화공원 근처에도 멋진 느티가 있는데 인근에 건물을 짓는 바람에 그다지...그 모양을 뽐내지 못하고 있어요
이제야 겨우 사진있는 글도 읽고 사진도 올리고...겨우 자유로워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