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6:9-13절의 예수 그리스도 주님께서 말씀하신 주기도문의 구절들을 히브리어와 히브리어 사촌인 아람어로 어떻게 발음하여 찬송하는가 이 동영상을 비교하시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신다면 그저 주님께 감사를 드릴 따름입니다.
창세기 10:22절 "셈의 자손들은 엘람과 앗수르와 아르박삿과 룻과 아람이요," 이 말씀처럼 오늘날 내전이 한창 진행 중인 시리아 민족이 셈의 막내 아들 아람의 후손들인데 이 아람어가 고대 BC 6세기경 유대인들의 바벨론 포로 당시나 귀환 후 중동 지방의 공용어였다고 합니다.
창 31:47절, 에스라서 4:8-6:18절, 7:12-26절과 예레미야서 10:11절,다니엘서 2:4절 하반절-7:28절 그리고 신약에서는 마 27:46절,막 5:41절, 14:36절 등에서 사용되어 아람어로 기록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사실 앞에서 다음과 같은 성경 기록 용어들이 바로 아람어라고 합니다.
"게바"(반석 또는 바위로 베드로를 향해 주님께서 붙여주신 아람어 이름), 달리다굼, 에바다, 랍오니, "메네 메네 데겔 우바르신"(단 5:5절, 24-25절)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하나님이여 하나님이여 어찌하여 나를 버리시나이까), 겟세마네(기름짜는 틀), 골고다(해골), 우리 한국말 "아빠"와 동일한 아람어로 아빠를 의미하는 "아바"(Abba : 롬 8:15절, 갈 4:6절) 그리고 "주님 오시옵소서", "우리 주님께서 오십니라"라는 의미의 "마라나타"(Maranatha, 고전 16:22)도 아람어라고 합니다.
첫댓글 "아분드 바슈마야" 이 아람어가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인지 궁금하네요. 아무튼 "아분드 바슈마야", "아분드 바슈마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