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이 4달 앞으로 다가왔다. 이제 관심은 브라질 올림픽을 4K UHD로 중계가 가능할지가 초유의 관심사다. 일본은 8월 1일부터 8K UHD시험방송을 실시하고, 또한 이번 브라질 올림픽을 4K-8K로 중계를 한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4K UHD에 대한 중계일정이 잡힌 것이 없다. 또한국내에선 브라질 올림픽과 같은 큰 경기를 4K UHD로 중계할 만한 방송사는 지상파방송사밖에 없다. 유료방송사들은, 중계권료의 부담으로 사실상 중계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결국 지상파방송사들이 브라질 올림픽을 4K UHD로 중계를 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중계를 할지가 또 하나의 관심사다. 지상파방송사들은 2014년에 있었던 "브라질 월드컵"과 "인천 아시안게임"을, 일부 실시간 4K UHD로 중계를 한 적이 있었는데, 당시 중계는 현재 실험방송중인 DVB-T2로 하여, 수도권 거주자들이 시청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문제는 지상파방송사들이 8월 브라질 월드컵을 중계한다 해도, 그것을 DVB-T2로 할지, 아니면 ATSC 3.0으로 할지가 아직 확실치가 않지만, 현재 지상파방송 3사가 돌아가면서, 삼성-LG와 함께 ATSC 3.0을 Test중인데, 만일 ATSC 3.0으로 브라질 올림픽을 중계한다면, 그림의 떡이 될 것이다. 즉, ATSC 3,0 표준이 4월 미국에서 제정이 되고, 국내 지상파 4K UHD방송 표준이 올 여름을 전후해서 ATSC 3,0으로 제정이 될 것으로 보여, 8월 브라질 올림픽을 ATSC 3.0방식으로 중계한다면, ATSC 3.0수신기를 내장한 4K UHDTV가 없어서, 실제 시청자는 없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지상파방송사들은 어쩔 수 없이, 8월 브라질 올림픽은 DVB-T2로 중계를 하고, 10월부터 ATSC 3.0으로 지상파 4K UHD시험방송을 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그렇게 되면, 8월 열리는 브라질 올림픽은 지금까지 구입한 삼성-LG 4K UHDTV로 수도권에 거주하시는 분들은 안테나를 달아서 시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수도권에 거주하시면서, 삼성-LG 4K UHDTV가 없거나, 중소업체 4K UHDTV를 가지고 계신 분들, 또는 삼성-LG 4K UHDTV가 있다해도, 올림픽 경기를 4K UHD영상 원본 그대로 녹화를 해서, 영구 보관하여 보고 싶으신 분들은, 국내에서 유일한 지상파 UHD TV수신카드(DVB-T2/ATSC)를 하나 구입하여, 안테나 수신여부와 함께 미리 세팅을 해 놓으면, 좋지 않을까 한다. 지상파 UHD TV수신카드(DVB-T2/ATSC)는 2015년에 11월에 카페 우수회원 몇분과 함께 해외에서 수신카드를 들여와 다음팟플레이어에서 주파수 설정과 4K HEVC코덱을 매칭하여, 지상파 UHD방송을 TV수신카드(DVB-T2/ATSC)로 유일하게 수신-녹화-재생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현재 재고가 10개 정도 남아 있으며, 필요하신 분들은 신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지상파 HD/UHD TV수신카드 공구 참여하러가기 |
공구 중인 지상파 UHD+HD방송(DVB-T2+ATSC) TV수신카드
▶지상파 HD/UHD방송 어떻게 수신-녹화-재생하나?
인텔 4세대 i5정도의 PC에 UHD TV수신카드를 꼽으시면 됩니다.
다만, 지상파 4K UHD실험방송이 수도권에서만 방송이 되고 있기 때문에,
수도권 거주자이면서, 안테나로 지상파방송을 수신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PC에 가능한 Nvidia GTX 950/960 비디오카드를 장착하셔야
녹화한 UHD방송을 좀 더 부드럽게 재생하실 수 있습니다.
※제품에 동봉된 CD안에 설치에 따른 자세한 안내서가 있습니다.
▶지상파 4K UHD실험방송 현황 | |||
방송사 | KBS | MBC | SBS |
채널(주파수) | 62번 (761MHz) | 52번 (701MHz) | 53번 (707MHz) |
송신소 | 관악산(5KW) 남산(600W) | 관악산(2.5KW) | 관악산(5KW) 용문산(1KW) |
*실험방송 기간 : 2014년 4월~ *방송방식 : DVB-T2방식의 단일주파수망(SFN) →1채널당 주파수폭 6MHz폭 *압축 코덱 : HEVC(H.265) *실험방송 내용 ; 4K@60fps, 8~10bit/4:2:0, *전송 : MPEG-2 TS / 26Mbps |
첫댓글 UHD TV없어도 됩니다. HDTV가지신 분들, PC에서 UHD TV수신카드 꼽아서, UHD방송을 HDTV로 보면, 그동안 느끼지 못한 화질 느끼실 수 있습니다. 죽여 줍니다. 전 그동안 녹화한 UHD가 30여편 됩니다. 수도권에 계신분들 구입해서 사용하시면 좋을 듯,,,, HD방송도 녹화되니, 계속 사용하실 수도 있습니다,,,,
UHD방송를 HDTV에서 본다고 화질이 죽여준다는건 기술적으로 말이 안되는 부분인듯합니다.
HEVC 코덱의 압축율은 보통 MPEG의 2배정도로 봅니다. 해상도만 봤을때 UHD는 FHD대비 4배의 데이터구요.. 그러면 전송대역폭이 2배가 되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못합니다.
@안원기 기술적 문제를 말한게 아니고요, 소스가 좋기 때문에, HD방송 화질보다 화질이 훨씬 졿게 보인다는 뜻입니다. 즉, 그동안 HDTV에서 느끼지 못한 우수한 화질을 느낄 수 있다는 뜻입니다.
@안원기 소스가 좋으면 화질이 좋게 보이는건 사실인데, 죽여 준다는 표현이 다소 과한 표현이긴 하지만, 지상파 UHD방송 뿐만 아니라 유료방송사의 4K 세톱박스를 1080p로 설정하여, UHD방송이나 UHD VOD를 보면 화질이, HD방송에 비해 생각 이상으로 화질이 좋게 보이긴 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유료방송사 4K 세톱박스를 HDTV에 연결하여 보고 계시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