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天台敎門(천태교문) | ||
1 | 四 悉 檀(사 실 단) | 世界(세계)·爲人(위인)·對治(대치)·第一義(제일의) |
2 | 化法四敎(화법사교) 化儀四敎(화의사교) | 藏(장)·通(통)·別(별)·圓(원) 頓(돈)·漸(점)·秘密(비밀)·不定(부정) |
3 | 五 時 (오 시) 五 味 (오 미) | 華嚴(화엄)·阿含(아함)·方等(방등)·般若(반야)·法華涅槃(법화열반) 乳(유)·酪(낙)·生酥(생소)·熟酥(숙소)·醍醐(제호) |
4 | 三 諦 (삼 제) | 空(공)·假(가)·中(중) |
天台敎相(천태교상) | ||
5 | 一念三千(일념삼천) | 우리들의 한 순간적인 마음에 우주만유가 갖추어져 있다는 것을 표현한 것. |
1.四悉檀(사실단)
사실단은 불의 설법을 4종류로 분류한 것으로 世界悉檀(세계실단)·爲人悉檀(위인실단)·對治悉檀(대치실단)·第一義悉檀(제일의실단)이다.
悉檀은 신역 悉曇(실담)과 같은 성취의 뜻으로 이 4법을 중생의 불도를 성취시키므로서 이름한 것.
南嶽(남악혜사)은 悉을 번역하여 보통의 뜻이라 하고, 檀은 범어 檀那(단나)의 명칭으로 施(시-베풀다)의 뜻이라고 함. 불이 이 4법으로 중생을 보시하므로 실단이라 함. 이 설은 천태대사가 남악혜사를 따른 것.
실단은 가르치는 法(법)·宗(종)의 정설이라는 의미이다. 그러므로 불은 이 방법으로써 중생으로 하여금 불도를 성취시킨다는 것이다.「法華玄義」
四悉檀(사실단) | ||
1 | 世界悉檀 | -佛이 중생의 뜻에 맞추어 세간적인 설법을 하여 심심을 일으키는 것을 말함. -세간에 맞추어 세간 일반의 사고방식과 명칭을 적응한 교설. |
2 | 爲人悉檀 | -佛이 중생의 소질의 얕고 깊음에 따라 각각의 사람들에게 상응한 법을 설하여 선을 행하게 하는 것. -佛이 설법할 적에 지혜가 얕고 깊은 것이나 과거의 선근 유무에 따라, 알맞게 하는 교법을 말함. 올바른 믿음을 내어서 선한 종자를 심게 하는 것. |
3 | 對治悉檀 | -상대방의 마음의 병에 따라 적당한 설법을 하는 것. -탐욕이 많은 중생에게는 不淨觀(부정관)을 설하고, 산란한 중생에게는 隨息觀(수식관)을 설하고, 어리석음이 많은 중생에게는 因緣觀(인연관)을 설해서 중생의 악병을 제거하는 것. |
4 | 第一義悉檀 | -중생을 깨달음에 들게 하는 최고의 진리, 구경의 진리를 설하여 중생을 깨달음에 들게 하는 것. -중생의 능력이 성숙한 때에 佛이 제법실상을 설하여 진실의 깨달음을 얻게 하는 것. |
2.사교(四敎)
천태학에서는 석존의 한 생애의 설교를 내용과 형식에 따라 4종으로 분류 함.
천태지의의 설에서 藏(장)·通(통)·別(별)·圓(원)의 化法四敎(화법사교)와, 頓(돈)·漸(점)·秘密(비밀)·不定(부정)의 化儀四敎(화의사교)가 있음.
化法四敎(화법사교) | ||
1 | 藏敎 | 소승의 가르침 |
2 | 通敎 | 제대중경의 통설 |
3 | 別敎 | 소승에서 통하지 않는 대승 특유의 가르침 |
4 | 圓敎 | 완전한 가르침. 화엄의 가르침을 말함. |
化法四敎(화법사교)는 불교사상의 내용을 분류한 것으로서 천태지의의 불교 분류론이며, 교리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이것은 공가중 삼관에 입각하여 불교사상을 종합한 것이다. 化法四敎는 설법의 내용을 4가지로 부류한 것으로서 얕은 곳으로부터 깊은 곳으로 순차로 배열하여 藏(장)·通(통)·別(별)·圓(원)의 4교로 한 것이다.
오시(오시)와 화의사교(화의사교)가 그 명칭을 다른 교판설로부터 영향을 받은데 반하여, 화법사교는 독창적인 지의의 교설로서 그 명칭과 내용 전부는 천태지의에서 비롯되었다.
화법사교의 경론적 근거를 구하면,「열반경」의 四佛可說(사불가설)과 四種四諦(사종사제),「법화경」의 三草二木(삼초이목)의 비유, 「중론」의 三諦偈(삼제게)이다.
化義四敎(화의사교) | ||
1 | 頓敎 | 佛의 깨달음을 그대로 설함. |
2 | 漸敎 | 佛께서 증득한 깨달음을 이해 못하는 자들에게 설하시는 방편시설. |
3 | 秘密敎 | 頓·漸 2가지의 방법을 동시에 병용하지만 청중들은 이 사실을 이해 못하는 방법. |
4 | 不定敎 | 秘密敎와 같으나 다만 서로 다른 청중이 있을 때 설하는 방법. |
불타 화도의 일체교를 형식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교육의 내용을 4가지로 분류한 것이라고 할 수 있고, 또 사상을 표현하는 4가지로 나눈 것이라고 도 할 수 있다.
化儀四敎(화의사교)는 頓(돈)·漸(점)·秘密(비밀)·不定(부정)의 4교로 한 것이다.
(1).化法四敎(화법사교)
化法四敎(화법사교) | ||
1 | 藏敎 | -경·율·논 3장의 가르침. 불교의 가르침 전체를 가리킴. -소승의 가르침으로 삼장교라고도 함. -석가세존의 사후 대가섭 등이 경·율·논의 3장을 결집하여 소승일체의 교리를 받아들였으므로 소승의 3장교라 함. 「사교의7권」 |
2 | 通敎 | -삼승(성문·연각·보살)에 통하는 가르침. -대승의 논문, 특히 반야사상(실상을 달관하는 지혜)을 가리켜 말함. -대승의 기본적 일반적인 가르침으로, 대승 가운데 초기의 것이라고 간주되는 가르침을 말함.「오교장」 |
3 | 別敎 | -4교중 전후 3교와 다른 가르침으로 앞의 장·통 뒤의 원교와도 다른 까닭에 별교라고 이름 짓는다. -空에서→ 假에로 나아가서,[현실의 무량의 상에 대한 확실히 바르고 자재한 대응을 설함] 그리고 다시 → 中으로 향한다. -일승의 초월적 방면을 말한 것으로 삼승과 절대적으로 차별되는 입장이다. 삼승보다 높은 일승의 별교일승이다. 그것은 최후의 돈교일승에 귀착함. 화엄경을 여기에 배치함. |
4 | 圓敎 | -불교중에서 가장 완전한 가르침. 가장 수승한 교설로 화엄의 가르침. -중국불교에서 여러 경론을 체계화하고, 비판분류할 때, 궁극적인 가르침을 원교라 함. -북위의 혜광(광통율사)는 점·돈·원의 3교를 나누어 화엄경을 원교라 하고, 천태지의는 장·통·별·원의 4교로 법화경 만이 원래 원교를 말하는 경이라고 함. |
(2).化儀四敎(화의사교)
化義四敎(화의사교) | ||
1 | 頓敎 | -頓은 직돈(直頓:조속·신속의 뜻)의 뜻으로, 일정한 차례에 의지하지 않고, 변칙적으로 한꺼번에 깨달아 해탈함을 얻는 교. -佛이 성도한 직후에 깨달은 화엄경을 말함. -5시의 제1 화엄시이다. |
2 | 漸敎 | -漸은 점진적인 뜻. 장기간의 수행에 의해 정측적으로 점점 차례를 밟아 설한 교. -아함→방등→반야→법화·열반에 이르는 교설을 말함. 아함·방등·반야의 3시가 모두 점교에 해당함. -5시의 제2 아함시(녹원시)를 말함. |
3 | 秘密敎 | -비밀·부정의 뜻으로, 돈·점 2가지 태도를 병용하는 설법이나 청중들은 이 사실을 모르는 방법이다. -불이 설법할 때, 근기가 수승한 자를 위해서는 돈교를 설하고, 근기가 하열한 자를 위해서는 점교를 설하나, 듣는 쪽에서는 이것을 알지 못하는 방법을 말한다. -비밀교의 설법은 어느 경우라도 설하기 때문에 일정한 시기도 없고, 일정한 장소도 없다. |
4 | 不定敎 | -顯了不定(현료부정)의 뜻으로, 돈·점 2가지 태도를 병용하는 설법이나 청중들은 다만, 다른것은 듣는 이가 서로 다른 청중이 있는 것을 알고 있는 것. -청중은 그 지식정도에 따라, 같은 설법을 가지가지로 알아듣고 있다는 교. -부정교의 설법은 어느 경우라도 설하기 때문에 일정한 시기도 없고, 일정한 장소도 없고, 일정한 경전도 없는 것이다. |
3.五味(오미)·五時(오시)
佛의 설법의 구경목적은 중생으로 하여금 佛智見(불지견)을 開·示·悟·入(개시오입)케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생의 능력에 따라 다른 교설을 설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경전의 성질이 여러 가지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은 見智(견지)에 의하여 일체의 경전을 5가지로 나누고, 차례로 붙인 것이 5시의 교판이다.
五時는 석존일대 49년 설법을 5단계로 나눈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불타설법의 취지 및 일체경의 종류와 성질을 개관할 수 있다.
5시의 교판은 일체경전을 분류하여 그 대표적인 것을 열거한 것으로서, 「열반경」에 의거하여 일체경전을 화엄경, 아함부경전, 방등부경전, 반야부경전, 법화·열반경으로 묶었다.
五味는 젖이 갖는 5가지 맛으로 때가 지나면 변화하여 맛이 짙어진다. 우유를 정제할 때, 경과하는 유미·낙미·생소미·숙소미·제호미라는 5가지 맛을 말하며, 천태종에서는 오미와 오시를 배대하여 오시교가 생겨(約數相生약수상생:오시교의 차례를 生에 비유함), 기가 점차 익는(約機濃淡약기농담:機의 차례를 淳熟(순숙)에 비유함)것에 비유 함.
(1).五時(오시)
五時(오시) | ||
1 | 華嚴時 화엄시 | -제1시의 화엄경을 설한 시기. -「열반경」의 五味에 배대하면 → 乳味(유미). -「화엄경」의 三照에 배대하면 → 高山(고산). -「법화경」<신해품>에 배대하면 →까무라침. -화엄시의 교설내용은 원교에다 별교를 겸한 것으로,
여래가 보리수 아래에서 정각을 이루고 삼칠일(21일)동안 대승을 설한 것을 화엄경이라고 한다. |
2 | 阿含時 아함시 | -제2시의 아함부 경전을 설한 시기. -「열반경」의 五味에 배대하면 → 酪味(낙미). -「화엄경」의 三照에 배대하면 → 幽谷(유곡). -「법화경」<신해품>에 배대하면 →분뇨치움. -화엄시의 교설내용은 오직 소승 삼장교만을 위해 설한 것으로,
귀머거리 같고 벙어리 같던 낮은 근기가, 이 설법을 듣고 감화를 받는 시기이다. 삼승(성문·연각·보살승)에게 각각 4제·12인연·6도 등의 설법하는 시기로서, 석존일대의 가르침 중 최하급의 내용이고, 낮은 근성을 인도하기 위한 방편이다. |
3 | 方等時 방등시 | -제3시의 방등부 경전을 설한 시기. -유마경·금광명경·승만경 등을 설해 대승의 세계로 들어가게 하는 시기이다. -「열반경」의 五味에 배대하면 → 生酥味(생소미). -「화엄경」의 三照에 배대하면 → 평지. 정오의 食時(식시). -「법화경」<신해품>에 배대하면 →마당청소. -방등시의 교설내용은 4교(장통별원)를 모두 설한 것으로,
소승과 대승을 비교하여 소승을 비판하고 대승을 찬탄함이 그 목적이다. |
4 | 般若時 반야시 | -제4시의 반야부 경전을 설한 시기. -「열반경」의 五味에 배대하면 → 熟酥味(숙소미). -「화엄경」의 삼조에 배대하면 → 평지. 정오의 正中(정중). -「법화경」<신해품>에 배대하면 →마루·방 청소 -반야시의 교설내용은 원교에다 별교와 통교를 아울러 설한 것으로,
대승과 소승은 다르다고 하는 편협한 감정을 도태시키는 시기로, 일체 공을 설하여, 공의 지혜로 편벽된 마음을 깨고 융통한 마음을 갖도록 한다. |
5 | 法華·涅槃時 법화·열반시 | -제5시의 법화·열반을 설한 시기. -「열반경」의 五味에 배대하면 → 醍醐味(제호미). -「화엄경」의 삼조에 배대하면 → 高山(고산). -「법화경」<신해품>에 배대하면 →가업의 양도·양수. -법화·열반시의 교설내용은 법화는 순수한 원교만을 설한 것이고, 열반은 4교(장통별원)를 모두 설한 것으로,
⑴「법화경」은 중생교화의 최후의 말씀이고, 여래가 세상에 나온 뜻이 무엇인가를 설한 경이다. 開權顯實(개권현실:방편을 열어 진실을 나타냄) · 會開蓮現(회개연현:꽃이 피어 연이 그대로 나타남) · 久遠實成(구원실성:석존이 이미 먼 옛날에 성불함)을 나타낸 것이다.
⑵「열반경」은 법화에서도 구제받지 못한 중생을 위해 최후로 열반경이 설해지는데, 그 중심내용은 [一切衆生悉有佛性(일체중생실유불성:모든 중생은 불성을 가지고 있다)]이다. |
(2).五味(오미)
五味(오미) | ||
1 | 乳味 유미 | -寅時(인시:3~5시) -금방 짜낸 우유의 맛. -소를 부처님께 비유 ⇛ 칠처팔회법문 -오미를 교법에 비유 ⇛ 화엄종 -성도후 최초에 설법한(화엄경) 비유 ⇛ 화엄경 |
2 | 酪味 낙미 | -卯時(묘시:5~7시) -녹원시 또는 녹야원시라 하고 녹야원에서 설한 경으로는 아함시라 한다. ⇛ 장교 -오미의 하나. 낙미의 낙은 우유를 발효시켜 먹기 좋게 만든 것이어서, 요즘의의 야쿠르트 같은 것. -【유에서 낙으로 들게 한다.】화엄시에 있던 중생을 녹원시에 들게 한다. ⇛ 아함경 4경(장아함, 중아함, 잡아함,아함) |
3 | 生酥味 생소미 | -辰時(진시:7~9시) -우유의 지방을 분리하여 적당히 발효시켜 소금으로 간을 맞춘 버터 ⇛ 방등시에 비유. -초보적 대승의 법인 유마경, 사익경, 금광명경, 해심밀경, 능가경, 수능엄경, 관경, 쌍관경, 미타경, 대일경. -욕계 색계의 2계의 중간 대보방에서 설함. 유마경, 승만경 등을 설해 소승은 부끄러워하고 대승을 사모하도록 유도하셨다. ⇛ 점교 |
4 | 熟酥味 숙소미 | -巳時(사시:9~11시) -생소를 더욱 숙성시킨 것 ⇛ 점교 -숙소미니 반야시에 비유 -반야시에서는 고도한 공의 도리를 설한 것. -장소(추봉산 백로지) ⇛ (사처)십육회설 ⇛ 마하반야, 광권반야, 금강반야의 경. |
5 | 醍醐味 제호미 | -午時(오시:11시~오후1시) -최고로 정제된 버터. 가장 맛이 좋은 유제품 -제호미라 하여 법화열반에 비유 -영추산(이처삼회설법) ⇛ 원교․돈교 |
(3).팔만대장경 五時八敎(오시팔교)의 비유
(묘법연화경 신해품 장자∙궁자의 비유-대반열반경 제14권 7성행품).
나무묘법연화경南無妙法蓮華經
na mo sad dharma pundarika sutra 나무 삽달마 푼다리카 슈드라
팔만사천대장경(묘법연화경 신해품 장자∙궁자의 비유-대반열반경 제14권 7성행품 【오미∙오시 비유】)
대방광불 화엄경(부) | 아함경 (부) | 방등경 (방등부) | 반야경 (반야부) | 묘법연화경 (법화부) | 대반열반경 (열반부) |
21일(30세) | 12년(30~42세) | 8년(42~50세) | 22년(50~72세) | 8년(72~80세) | 1일1야(24시간) |
권대승∙보살승 | 전부소승∙성문승∙연각승 | 소승∙권대승∙성문∙연각∙보살승 | 권대승∙보살승 | 실대승實大乘∙일불승一佛乘 | |
유미 | 낙미 | 생소미 | 숙소미 | 제호미醍醐味 | |
까무라침 | 천한일/분뇨 | 마당청소 | 마루∙방청소 | 불佛 / 양도∙양수 | |
막짠우유 | 요구르트 (우유를 발효시킴) | 버터 (소금으로 간을 맞춤) | 우유제품 (발효가 성숙한 것) | 일미一味(최고의 도로 정제된 버터) | |
연화장세계 적멸도량 보리수아래(7처9회)
실보무장애토-중도의 이치를 깨달은 보살이 사는 곳. | 파라나국(녹야원)
범성동거토-인천人天의 범부와 성문∙연각등의 성자가 동거하는 불토 | 욕계∙색계의 중간에있는 세계 대보방
방편유여토-견혹을 끊고 삼계의 생사를 뛰어 넘는 사람이 사는 곳 | 추봉산 백로지 (4처16회)
방편토∙실보토
| 영추산허공회 (2처3회) 상적광토-진리를 체득하여 일체의 번뇌를 끊고 진실한 지혜를 깨달은자=제불여래가 사는곳. | 쿠시나성 발제하의 강변 싸라쌍수의 사이
|
40권/60권/80권 10조9만5천4십8자 | 1483가지 경 | 600가지 경 | 23가지경 600권 60억 40만자 | 28품(7권) 6만9천3백8십4자 | 45품 전40권 |
대방광불화엄경 ①세주묘엄품 제1~5권 ②여래현상품 제6권 ③보현삼매품 제7권 ④세계성취품 ⑤화장세계품 제8~10권 ⑥비로자나품 제11권 ⑦여래명호품 제12권 ⑧사성제품 ⑨광명각품 제13권 ⑩보살문명품 ⑪정행품 ⑫현수품 제15권 ⑬승수미산정품 제16권 ⑭수미정상게찬품 ⑮십주품 ⑯범행품 제17권 ⑰초발심공덕품 ⑱명법품 제18권 ⑲승야마천품 제19권 ⑳야마천궁게찬품 ㉑십행품무착행 제20권 ㉒십무진장품 제21권 ㉓승도솔천궁품 제22권 ㉔도솔천궁게찬품 제23권 ㉕십회향품 제24~33권 ㉖십지품 제34~39권 ㉗십정품 제40~43권 ㉘십통품 제44권 ㉙십인품 ㉚아승지품 제45권 ㉛여래수량품 ㉜제보살주처품 ㉝불부사의해탈품 제46~47권 ㉞여래십신상해품제48권 ㉟여래수호광명공덕품 ㊱보현행품 제49권 ㊲여래출현품제50~52권 ㊳이세간품 제53~59권 ㊴입법계품 제60~80권
※결경 - 범망경 (대승보살계) | ⑴장아함경
(모든 외도․사견을 파하심) 대본경,유행경,선생경, 전륜성왕수행경,자환희경, 삼명경,사문과정,노차경, 세기경 등 30가지 경.
⑵중아함경
(적멸의 깊은 뜻을 밝힘) 선법경,성유경,수장자경, 계경,열반경,삽십이상경, 빈비사라왕염불경, 전륜왕경,구법경,청청경, 팔난경,교담미경,수달다경,구담미경,팔성경, 등 208가지경
⑶증일아함경
(人天의 인과를 설하심) 오계품,권청품,선지식품, 삼보품,성문품,청법품, 팔난품 등 52가지 경.
⑷잡아함경
(모든 선정을 밝히심) 무상경,정사유경,다문경, 십육비구경,바라문경, 불타경,장자경,불이경, 오락열반경,라후라경, 고집멸경,일체경,6상행경, 다문제자경,12인연경, 4제경,아라한경,벽지불경, 맹구경,설산경, 사문바라문경,아난소문경, 아육왕경,정념경,일체법경,바라제목차경,삼학경, 도솔천경,타화자재천경, 피안차안경,왕생경,칠왕경,가섭경, 등 1191가지 경.
⑸법구경
※결경 - 유교경 | 방등대집경
영락품,보녀품, 허공장보살품, 보계보살품, 시방보살품, 불순보살품, 해혜보살품, 불가섭보살품, 무진의보살품, 등 60권.
방등대집경개설
⑴미타정토삼부경 ①불설무량수경上 ②불설무량수경下 ③불설관무량수경 ④아미타경
⑵미륵정토삼부경 ①미륵상생경 ②미륵하생경 ③미륵성불경
⑶약사유리광본원 공덕경 ①유마경 ②승만경 ③지장경 ④원각경 ⑤금강정경 ⑥금강명경 ⑦금강정유가중략 출염송경 ⑧심밀경 ⑨능가경 ⑩능엄경 ⑪대일경 ⑫정명경 ⑬천수경
※결경 - 영락경 | 600부 대품반야 제1573권
제 1회 1품~79품 제 2회 1품~85품 제 3회 1품~31품 제 4회 1품~29품 제 5회 1품~24품 제 6회 1품~17품
속600부 대품반야경
제 7회 574~575권 제 8회 576권 제 9회 577권 제 10회 578권 제 11회 579~583권 제 12회 584~588권 제 13회 589권 제 14회 590권 제 15회 591~592권 제 16회 593~600권
비유와 비유설화 본생과 본생설화 인연과 인연설화
마하반야경 대품반야경 광찬반야경 금강반야경 천왕문반야경 능단금강반야경 소품반야경 방광반야경
※결경- 인왕반야경 | ※계경-무량의경
제1권 ⑴서품 ⑵방편품
제2권 ⑶비유품(화택유) ⑷신해품(장자․궁자유)
제3권 ⑸약초유품(약초․맹인유) ⑹수기품(왕선유) ⑺화성유품(화성유)
제4권 ⑻오백제자수기품(의주유) ⑼수학무학인기품 ⑽법사품(천정유) ⑾견보탑품 ⑿제바달다품 ⒀권지품
제5권 ⒁안락행품(계주유) ⒂종지용출품⇛僧 ⒃여래수량품(의자유)⇛佛 ⒄분별공덕품⇛法
제6권 ⒅수희공덕품⇛法 ⒆법사공덕품⇛法 ⒇상불경보살품⇛法 (21)여래신력품⇛佛 (22))촉루품⇛僧 (23)약왕보살본사품
제7권 (24)묘음보살품 (25)관세음보살보문품 (26)다라니품 (27)묘장엄왕본사품 (28)보현보살권발품
적문 1~14품:개권현실 본문15~28품:개근현원
※결경-불설관보현보살행법경 | 제 1권 1.수명품① 제 2권 1.수명품② 제 3권 1.수명품③ 2.금강신품 3.명자공덕품 제 4권 4.여래성품① 제 5권 4.여래성품② 제 6권 4.여래성품③ 제 7권 4.여래성품④ 제 8권 4.여래성품⑤ 제 9권 4.여래성품⑥ 제10권 4.여래성품⑦ 5.일체대중소문품 제11권 6.현병품 7.성행품① 제12권 7.성행품② 제13권 7.성행품③ 제14권 7.성행품④ 제15권 8.범행품① 제16권 8.범행품② 제17권 8.범행품③ 제18권 8.범행품④ 제19권 8.범행품⑤ 제20권 8.범행품⑥ 9.영아행품 제21권10.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품① 제22권10.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품② 제23권10.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품③ 제24권10.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품④ 제25권10.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품⑤ 제26권10.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품⑥ 제27권11.사자후보살품① 제28권11.사자후보살품② 제29권11.사자후보살품③ 제30권11.사자후보살품④ 제31권11.사자후보살품⑤ 제32권11.사자후보살품⑥ 제33권12.가섭보살품① 제34권12.가섭보살품② 제35권12.가섭보살품③ 제36권12.가섭보살품④ 제37권12.가섭보살품⑤ 제38권12.가섭보살품⑥ 제39권12.교진여품① 제40권12.교진여품②
※결경 - 상법결의경 묘법연화경의 유통분. |
화엄시 | 아함시(녹원시) | 방등시 | 반야시 | 법화시 | 열반시 |
인시(3~5시) | 묘시(5~7시) | 진시(7~9시) | 사시(9~11시) | 오시(11시~오후1시) | |
돈교 | 장교(점교) | 장∙통∙별∙원교 | 원교 | 원교 : 묘법연화경 | |
중국의 화엄종 | 중국의 구사/성실/율종 | 중국의/진종/선종/법상/정토/진언종 | 중국의 삼론종 | 중국의 천태종 | |
Made in sungbul 성불사 |
|
첫댓글 _()()()_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