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초의 태극에서 음양이 분화됨니다 그 음양에서 각각 분화되니 이것이 목화토금수로 사상이 분화됩니다.
천간음양생사는 태초 태극에서 음양이 분화되어서 이 음양이 교접하여 오행인 木을 탄생시키는 태초를 설명하기 위한 것입니다.
陽은 氣를 의미하고 陰은 質을 의미합니다.
목으로 예를 들어서 논해봅니다.
質은 우리가 실제 인식하는 사물입니다. 즉 목으로 말하면 나무,풀입니다.
亥子丑寅卯辰巳午未. 申酉戌
甲은 陽인 氣로 해월에 탄생하여 묘월에 완전히 자라서 未월에 庫로 들어갑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삼합이되기도 합니다.
陽은 자라서 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인묘진사오미 이렇게 펴져서 마침내는 고로 들어감니다.
午未申酉戌亥子丑寅 卯辰巳
陰은 응축하는 것으로 즉 늙어가서 없어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午월에 나무가 다자라서 차츰 늙어가니 未申酉戌 月로 나아감이
양,태,절,이렇게 실제 초목들이 낙엽이 되어서 떨어 지는 것과 같이 나아감으로 되는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가 보는 나무의 이치는 이 陰(질)이 맞게 보여지는 것이 됩니다.
이렇게 음과 양이 흘러서 인월과 묘월에서 음양이 서로 만나니(갑목의 건록은 묘, 을의 건록은 인,) 목왕 절이 되는 봄이 탄생하는 것입니다.
즉 음양이 두루 서로 존재하여 진정한 목이 되는 봄이 된다는 것입니다.
즉 辰月에는 木의 陰이 木의 陽보다 강하다고 보아서 사주에 적용함이 올바른 적용방법입니다.
단건업의 맹파명리에는 12운성을 아래와 같이 보고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요. 또 채용 陰陽干 同生 同死 즉 甲乙이 같이 亥에서 生하고, 旺은 寅卯, 墓는 未, 死는 午, 絶은 申. 다른 천간도 이에 준하면 된다. 10천간의 기타 상태와 음양에 따라서 같지 않은 장생의 용법은 난도가 비교적 크다. 이 책에서는 논술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음간의 12운성을 별도로 보지 않고 양간과 동등하게 보면 된다는 것이고 초고수로 가면 음간도 참고해야 한다고 하는 것으로 이해 했는데, 실제 생각해보면 별도 구분없이 양간을 기준으로 12지지가 각각 해당 오행에 포함된 음의 양이 얼마인가를 가름하는 기준으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첫댓글 십이운성.. 관심이 많이 가네요 ...
좋습니다요~~~!!
십이운성만 보고 성격이 다 나온다는데..과연
단건업의 맹파명리에는 12운성을 아래와 같이 보고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요. 또 채용 陰陽干 同生 同死 즉 甲乙이 같이 亥에서 生하고, 旺은 寅卯, 墓는 未, 死는 午, 絶은 申. 다른 천간도 이에 준하면 된다. 10천간의 기타 상태와 음양에 따라서 같지 않은 장생의 용법은 난도가 비교적 크다. 이 책에서는 논술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음간의 12운성을 별도로 보지 않고 양간과 동등하게 보면 된다는 것이고 초고수로 가면 음간도 참고해야 한다고 하는 것으로 이해 했는데, 실제 생각해보면 별도 구분없이 양간을 기준으로 12지지가 각각 해당 오행에 포함된 음의 양이 얼마인가를 가름하는 기준으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양질의 정보 감사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