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간거리 줄이고, 벽 두께 얇게(?)해서
최대한 평수 많이 뽑아서 파는게
한국의 아파트다.
빌딩식, 기둥식, 배관노출식이 아니라
벽 안에 배관 매립하고, 그 벽이 아파트
하중을 지탱해준다.
아파트가 오래 갈래야 오래갈 수가 없다.
그저 한숨만 나온다.
출처 : 시사저널 2016년 11월 2일 http://www.sisapress.com/journal/articleb/159
"서울시가 2009년 건축조례를 개정하면서 동간 거리가 짧아졌다.
개정 이전에는 같은 대지에서 두 동 이상 건물이 서로 마주 볼 때
건축물 높이의 1배 이상 거리를 두고 배치해야 했다.
하지만 개정안은 0.8배로 하향 조정했다."
출처 : 조선비즈 2017년 3월 30일자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30/2017033000278.html#csidx212270ddb3f570cb6bf5b950ddb1898
80년 된 美빌딩은 멀쩡,
30년 된 한국 아파트는 재건축
장상진 기자 입력 : 2017.03.30 03:00
[노후 아파트 50만 가구] [下] 재건축만이 정답 아니다
- 30년만 돼도 급격한 노후화, 왜?
설계 수명 짧게 잡아 자재 쓰고 수도관·전선 내구성도 떨어져
미국 뉴욕의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은 1931년에 지어졌어도 아직도
멀쩡한데, 국내 아파트는 왜 30년만 돼도 급격히 노후화돼 재건축 대상이 될까.
전문가들은 우선 '재료'가 다르다고 말한다. 김수암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국내 아파트 건설용 철근콘크리트의 콘크리트 두께는
30㎜ 정도로, 예나 지금이나 큰 차이가 없다"며 "100년 가는 아파트라면
이 두께가 50㎜ 정도는 돼야 한다"고 말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국내 아파트는 설계 단계에서 설계수명을 40년 정도로 잡고 철근의 양과
콘크리트 강도 등도 거기에 맞춘다"고 말했다.
철근콘크리트 안에 묻힌 수도관과 전선(電線) 내구성이 문제라는 지적도 있다.
1990년대 이전에 지어진 아파트는 녹이 잘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강
(stain less steel)이 아닌 가격이 저렴한 아연도강관을 배관으로 사용해 녹물이
나오는 경우가 많다.
전명훈 LH(한국토지주택공사) 수석연구원은 "1970년대에 지어진 아파트도
심각한 부실이 아니라면 50년 정도는 버틸 수 있지만, 배선과 배관 노후화가
큰 문제"라고 말했다.
추신 : 상기기사의 "국내 아파트 건설용 철근콘크리트의 콘크리트
두께는" 에서 확인해본 결과 콘크리트 두께의 의미는
철근 피복두께를 말합니다. 30mm로 지어진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이 아니라 설계수명에 맞추어 그렇게 지어졌다는 것이고
두꺼울수록 수명이 오래간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벽이
두꺼워지면 평수가 줄어들고 벽식구조라 벽안에 배관등이
들어가 더욱 수명이 짧아집니다.
철근피복이란?-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있어서 철근의 표면에서 콘크리트 외면까지 콘크리트의 최단 거리.
철근의 보호와 부착력의 증가가 목적이다.
( 출처 : http://blog.naver.com/slow486/220902405783 )
첫댓글 판상형 아파트는 옛날 사회주의 국가에서 빨리 지어서 국민들에게 무상 공급하던 공법이라고 하던데 자본주의 국가에서는 비사게 사기쳐서 팔아 먹고 있죠?
네, 아파트의 본질은 땅 값 안드는 하늘로 쌓아 올려 값싸게 도시빈민들이 월세내고 사는 주거방식입니다. 이것이 한국에서는 판매용으로 전국적으로 대량으로 건설되어 집 한채가 전부인 중산층 서민들에게 아파트의 본질과 위험성에 대해 고지하거나 경고하지 않고 팔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고 인류역사에도 없는 일입니다.
출처 : 2017.03.30일자 조선비즈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30/2017033000292.html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30만 가구에 이르는 1기 신도시 노후화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규모"라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자리 잡을 수 있다"고 말했다. 30만가구가 문제가 아니라 그동안 지어진 수백만채가 문제가 될 겁니다.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고 인류역사에도 없는 일입니다. 그래서 혹자는 "대라신선이 와도 방법이 없다", "이민가는 수 밖에 없다"는 말씀들도 하십니다. 그래도 사회와 언론은 침묵만 하고 있습니다. 뜻 있는 애국지사들이 경고를 내고 있지만 이를 막을 힘이 없어 피눈물을 흘리고 있습니다.
90년대 지은 아파트들부터는 아직까지 살만 합니다. 진짜 문제가 되려면 지은지 40년 정도 된 이후가 될겁니다. 2030년 이후...아직도 멀었어요...단독주택이나 빌라는 머 튼튼하게 짓나요? ㅋ 어차피 고쳐가며 써야하는 건 똑같습니다. 다만 아파트는 노후화되면 수리가 문제가 되는거죠. 배선 이런건 아직 어쩔 수 없으니...
40년이 되든, 100년이 되든 후대에 감당 못 할 짓을 하면 안 됩니다. 단독이든 빌라든, 아파트든 썪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만 아파트는 초대형사기거품가격으로 팔아서 매몰시에는 감당하기가 힘들겁니다. 땅은 영구재이고 전세계에서 이 땅에 감가상각을 적용시키는 나라는 없습니다. 하지만 건물은 시간이 지나면 감가상각이 적용되어 제로가 되는게 아니라 철거하고 폐기하려면 오히려 마이너스가 됩니다. 송곳지분 다단계피라미드폰지사기도박썪다리공구리상품인 아파트를 짓는것은 망국으로 가는 길입니다.
동간거리는 인동거리라고하는데 비율이 낮을수록 거리가 짧다는 의미입니다.사업용지(대지)에서
건축물 높이는 용적율과 관계 있답니다.대지에 의한,도로에 의한,인동간 거리에 의한 사선제한이 있답니다.
아파트 구조체 형식은 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입니다.구조 형태에 따라 벽식구조,라멘구조를 주로 건축하는데
사회적 요구와 경제성,라이프싸이클에 의한 구조로 변해가고 있답니다.
현대는 핵가족 사회이며 주로 1~2인 가구 이용 추세가 증가 하기도 합니다.건축설계는 앞으로 철근콘크리트
라멘식 구조로 변화고 있으며, 이는 라이프싸이클에 따른 리모델링 등 사회적,경제적 가치 와 환경문제등,편리성
위주로 변하게 될 것입니
10년 후에는 지구가 멸망할지도 모르는데, 30년후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