己 辛 丁 甲
亥 亥 卯 寅
丙 乙 甲 癸 壬 辛 庚 己 戊
子 亥 戌 酉 申 未 午 巳 辰
88 78 68 58 48 38 28 18 8.4
------------------------------------------------------
청운님의 자평진전적 관법에 의거하신 견해처럼,
이 사주가 食財가 重하여 殺印을 겸용하는 財用殺印格이라 한다면,
결국 화토가 용신(일반적 의미의 용신으로서 길신)이란 뜻 다름 아니지 않겠습니까?
그렇다면 지난 대운인, 戊辰.己巳.庚午까지는, 어찌했든 화토운이 지배적이니
저 명주에겐 지금까지 최상의 호운으로 달려 왔어야만 하리라 봅니다.
양보하여, 제 주장처럼 辰대운은 인묘진 방국의 영향을 받는다손 치더라도,
己巳대운은 주장하신 약한 화토용신운의 튼실한 뿌리가 될 것이며,
庚午대운도, 사주의 病으로 보신다는 甲목 재성을 갑경충거하고, 지지로는
오화가, 칠살 정화와 인성 기토를 아울러 생하기에 이르니
지금까지 명주가, 타 인생들보다 호사로운 운까지야 누리진 못했다하더라도
적어도 중류생활 정도는 영위했어야 했다고 보시지 않으신지요?
한데도, 명주께선 대체로 그토록 곤궁한 세월이었다고 하시니,
저로선, 이런 상황을 납득시키기 벅찬, 정격논리의 아이러니 때문에 종격의
존재의의가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기실, 어떤 명리관의 논리로든, 어느 사정을 이리저리 끼워 맞추면
좀 구차스럽긴 하겠지만, 그럴싸한 논리로 변통할 수는 있다고 봅니다.
물론 앞서의 제 경우도 예외는 아니겠지요.
그러나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명주의 실제 내력과 대체적인 운로 흐름의 희기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정미롭고 품격 높은 논리라 할지라도 별 효용가치가 없겠지요.
저도 변변찮으나마 역업에 종사하다 보니, 실상과 이론과의 괴리를 더러 보곤합니다.
제 자신이 기존이론의 원리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불민함도 있겠지만,
고전논리 몇백줄로 다양한 인생들을 망라하진 못한다고 보므로
틀에만 얽매어 끼워 맞추기로는 헛다리를 짚는 예가 왕왕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첫댓글 종재 드래곤님과 연관된 글은 수시로 클린 명리로 이동된 적이 있어서 댓글 달기도 겁납니다. 헌데 이번 글은 아주 정상적인 글같습니다. 그 논리가 정미롭고 맞춤법까지 신경쓴 흔적이 보입니다. 글이 정상적으로 보이니 스크랩도 3이나 있는 것같습니다. 아마도 오늘이 임진일이라서 몸상태가 정상으로 돌아온 듯합니다.(어제는 신미일이지만 기운이 해시부터 미리 들어오는 경향을 감안할 때)
묘월은 난초의 계절입니다. 辛금은 면도날입니다. 난초를 면도날로 자르는 형국이니 격신인 난초가 살려면 신금의 포화로부터 벗어나야 할 것입니다. 신약해서 종재격으로 보아 목이 용신인 것이 아니고 신강해서 정격으로 보아 목이 용신인 것입니다.
용신은 묘목이고 희신은 해중 임수로 생각되는데, 맞게 본 것인지 아닌지는 과거를 일일이 검증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제가 본 것이 맞다면 임신대운부터 대발할 것으로 봅니다.
만약 본명이 종재격이라면 경오대운에는 화왕한 운이니 대발하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제 관법으로는 이런 명조는 우선 정격 신강으로 보고 풀다가 손님 표정이 틀리다고 생각하는 듯하면 그때서야 다른 풀이법을 찾습니다. 뭔 말이고 하니 이런 형태의 명조는 당연히 신강한 정격이라는 것입니다.
신강이라니 더 이해가 안갑니다 뿌리가 없는데여
고전 논리 몇 백 줄로 다양한 인생들을 망라하진 못한다고 보므로, 틀에만 얽매어 끼워 맞추기로는 헛다리를 짚는 예가 왕왕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 글이 잘 나아가다가 이렇게 고전을 흠집내는 대목이 나오면 서운한 생각이 듭니다. 왜냐면 저같은 경우는 고전대로만 풀지만 별로 불편함을 느끼지 않기 때문입니다. 혹시라도 잘못 푸는 경우가 있다면 스스로 적당한 이론을 적용하지 못했는가 반성하는 편이지 고전을 흠잡지는 않습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저가 의리 정의파임다
雷山小過 로 지난날 알아차림을 주엿는데 궁금하니 이것또한 사주의 묘미인가합니다. 고래싸움에 새우터지는격이니 이싸움에서 살아나는 방도을 교훈적으로 알아차려 새우 스스로 이런 위험에서 벗어 나는 길을 깨닭고 큰 교훈을 얻는것이 최고인데 아직 미로을 찾는것인지 안타까운것 입니다. 십간론,묘월에 신금이 할일(제갈양님의 뿌린데로거둔다든지, 전쟁터에 보낸 대군이 전리품을 가지고 올지 죽음을당하고 올지 이런 마음이야 오즉하겠습니까? 신에게 진인사 대천명하는 마음으로 자신을 정화하고 생기을 받도록할일이지 ,그렇지 못하면 결과가 오기전에 자신의 기가 막혀 빧스에 고무줄 떨어지는 현상을 올지도 모름니다.)
할일을 알아차리고 문제가 될수있는 화대운에 매금현상, 경오대운에 내주변 사람이 복덕이 된현상, 목이강한현상 ,이런것을 제거하기에는 신금 스스로 해결되기보다 주변 환경의변화에 좌지우지 흘러가는경향, 이런 변화을 다양하게 고려하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것같습니다.격은 단지 소도구일뿐 이것으로 해결할려고 끝을볼려니 반드시 결과는볼것이지만 에너지 낭비는 자신의 것일 뿐입니다.
감사함님 방갑습니다 좋은글 감사한데 내용이 너무 어려워 항상 재대로 알지못하는 것이
죄송
제가 궁금한것은 왜 신강이면 재를 다스리기가 힘든지여 힘이 약하고정신기도 약하고 화운에 왜 좋지 못한가
목운신미대운이 되면 좋을것 같은데 어찌 생각하는지여 특히 미대운에 목운이 강한데 좋은가 의문
임수를 쓰기전에 목을 쓰는 것 같기도 하고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 제가 종격일수도 있는데 종재격은
어떤 환경이며 특이 사항은 무엇이며 종격의 삶이 궁금 가종일경우.내사주가 왜 중심이 없는지 궁금
지난날 극찬을 아끼지않던 님의 담백함이 새삼 떠오르는군요, 이른 측면을 고려 해야합니다. 신강도 종재도 아닌 것 1신금 근없어 미약 2 기토 화대운으로 무토 성향으로 강(매금, 기토가 금을 모두 생하는것이 아니라는것을 알아차림이 필요하고요) 3 갑목강 즉 신금은 相每 相母현상으로 인성과 재로 시련을 격는 나의 모습이 아닌가합니다. 또 십간의 辛-丁,辛-甲이 조화롭지 못합니다. 금 대운에는 자신의 역량이 확대되니 잘 활용하시는것이 좋을것입니다.
辛亥일주이면 寅卯재성이 공망입니다. 또한 재성을 生하는 상관亥는 해해刑殺로 온전하지 못하니, 어려움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힘들더라도 己편인을 잘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박재완 선생님의 명리요강에 亥는 "核이라 했는데, 만물의 一代는 끝났지만 그 일대의 씨앗이 收藏된 것을 뜻한다."고 정의되어 있으니, 하루일과를 마치고 그 날 있었던 지출을 가계부에 정리하는 것과 같은데, 亥가 두 개가 있으니 이는 부부가 각각 가계부가 있어 가끔 서로 누구 것이 더 정확한지 다툼이 있고 그 결과 내용을 조정 또는 수정하는 일이 발생하는 모양으로 보입니다.
아랫글 - 卯月辛亥 재화격 - 종재 드래곤 김삿갓 일대기(보완) - 을 중에, "현재 주식 경마 컨설팅을 하며 작전주나 작전마를 찾아내는데 전문가라고 합니다." 가 딱 맞는다는 생각이 듭니다. ①주식 경마 컨설팅을 하며 = 己편인의 형태로 나타나지만 실질적으로는 亥상관 / ②작전주나 작전마 = 寅卯재성 공망 / ③찾아내는데 = 亥亥형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