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나무 심을 철이라서, 나무 심을 사람 많을 텐데요.
혹시 도움이 될까 싶어 제 평소 생각을 말해 봅니다.
먼저,
요런 과수는 심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아요.
(N1)
심기 쉬운 것(아무 땅에서나 잘 자라는 것)은 너도 나도 많이 심으니까 가격 폭락으로 재미가 없습니다.
그런 과수로
매실과 감(대봉, 단감)을 들 수 있습니다.
매실은 지난 10년간 가격이 좋은 때가 없었던 것 같고 (비싸봐야 kg당 3~4천원, 쌀 때는 2천원; 이러면 수확시 인건비도 안 나옴)
감은 생산량에 따라 매년 가격차가 꽤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론 가격 하락세가 체감됩니다.
전남의 어느 군('금정'이라던가?) 에서 엄청 식재한 모양이에요.
(N2)
재배하기 쉬운 것은 아니나 너무 많이 식재되어 가격이 좋지 않은 과수로는
배를 지적해야 할 것 같네요.
배가 옛날에는 전남 나주쪽에서 많이 생산되었는데 요즘엔 경기쪽으로 많이 북상했고,
영남지역에서도 생산되어 생산과잉인 것 같아요.
생산비도 엄청 많이 들고(매출액 대비 40~60%쯤 되는 것 같음),
봉지 씌워줘야 하기 때문에 힘이 들고,
소독도 엄청 자주 해야 해서 농약값도 많이 들고,
태풍에 낙과 피해도 엄청나고..
하여튼 고생이란 고생은 다 하는데 노력의 댓가를 못 얻습니다.
10여년 전엔 안 그랬거든요.
배 농사 짓는 사람 부자였어요.
배나무 한 그루에서의 수입이 80kg 쌀 여러 가마와 맞먹었어요.
그런데 서서히 수입이 줄면서 최근엔 아주 고전하는 것 같아요.
나무는 한번 식재하면 수종변경이 쉽지 않아요.
뽑아내는데 돈이 들고, 다른 나무 심을려면 돈이 들고,
그 나무가 클 동안 아무 수입이 없고..
반면,
(Y1)
전망이 좀 괜찮은 과수로 저는 자두와 살구를 추천하고 싶네요.
(자두는 확실한데 살구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하지만요.
이유는 자두는 과피가 두꺼워 보관성/수송성이 괜찮은데, 살구는 [복숭아처럼] 그렇지 않아서요.)
자두는 품종에 따라 6~9월 사이에 나오는데, 6월에 나오는 조생종 - 대석조생/로얄대석/정상 - 은 본격적인 여름 과일(예: 수박)이 나오기 전에 나와서 경합되는 과일이 적어 괜찮고요,
만생종인 추희 역시 여름과일은 끝날 때이고 아직 가을과일(예: 사과, 배, 감 등)은 나오기 전에 나오는 거라 틈새자리를 차지할 수 있지요.
다른 괜찮은 과수로
(Y2)
호두, 아몬드, 피칸, 헤이즐너트 등의 견과류를 들 수 있는데 호두는 식재후 첫 수확까지 기다려야 하는 기간이 길고, 나머지 과수는 그렇게 길지는 않은데 조금은 두고 봐야 할 점이 있긴 있어요.
첫댓글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맞는말씀 같읍니다 감사합니다
작년에 감농가가 고생많으셨죠. 좋은정보입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작년에 제가아는분은
단감을 반만 수확했네요
따는인건비가 안나와서
포기했다네요 ~~^^
블루베리, 아로니아도 올려주심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입니다.
좋은 하루입니다.
좋은정보글 잘보았습니다
공감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는 자두농사를 하는데 생각보다 수입이 없습니다.나무에 치는 약값에 비하면 수입제로입니다.
좋은 말씀입니다.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박식하시네요~정보 감사합니다!
좋은정보네요^^ 참고하겠습니다
의성에서 자두농사 하구 있는데요.쉽지 않아요.
올해 5년차인데요.품값도 안나와요
그래서 요즘대세는 대추나무라고 하네요.. 연락주시면 묘목부터.시설까지 상담하여 드립니다.(010-5467-2969)
매실 하루종일 따면 150키로 따고 밤새 선별하면 10키로 15박스인데 키로당 2천원 받으면 30만원이네요.
이거 뭐 인건비 싸움이고요.
선별기 없으면 일이 힘들어 그것도 못해요. 선별하다보면 날밤 깝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