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혹은 광주민중항쟁은 1980년 5월 18일부터 5월 27일까지 광주시민과 전라남도민이 중심이 되어, 조속한 민주 정부수립, 전두환 보안사령관을 비롯한 신군부 세력의 퇴진 및 계엄령 철폐 등을 요구하며 전개한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이다.
당시 광주시민은 신군부 세력이 집권 시나리오에 따라 실행한 5.17 비상계엄 전국확대 조치로 인해 발생한 헌정 파괴 민주화 역행에 항거했으며, 신군부는 사전에 시위 진압 훈련을 받은 공수부대를 투입해 이를 폭력적으로 진압하여 수많은 시민이 희생되었다.
이 사건을 모티브로 하여 만들어진 대표적인 영화로 <꽃잎>, <화려한 휴가>, <26년> 등이 있으며, 2011년 5월에는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정식으로 등재되었다.
전두환은 5·18 민주화 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한 후,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헌법을 개정하여 대통령이 되었습니다. 전두환 정권은 신문이나 방송 등 언론을 통제하였고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사람들을 탄압하였습니다. 그러나 4·19 혁명부터 5·18 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져 온 민주주의를 향한 국민의 바람을 바탕으로 민주화 운동은 날이 갈수록 활발해졌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87년 대통령 임기가 끝날 무렵, 또 다시 대통령 간선제를 통해 군인 출신 대통령이 당선될 것을 우려하여 대통령 직선제를 요구하는 시위가 일어났습니다. 이 과정에서 대학생 박종철 군이 경찰의 고문으로 죽음에 이르는 사건이 발생하고, 게다가 전두환은 대통령을 간접 선거로 뽑게 되어 있는 헌법을 개정하지 않고 유지 하겠다고 선언합니다. 이는 대통령 직선제를 바라던 국민들에게 큰 분노를 일으키게 하는 사건이었습니다.












이한열 열사
( 1966. 08. 29 ~ 1987. 07. 05 )

6월 항쟁의 도화선이 된 고(故) 이한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 여사가 9일 오후 서울 마포구 노고산동 이한열기념관에서
보존처리를 마치고 전시된 이한열 열사의 '마지막 티셔츠'를 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출처 - 구글 이미지, 위키 백과, 오늘의 유머, 에듀넷
첫댓글 잊지않겠습니다
마지막 저거 좋다 항상기억남을듯
내일 제주4.3사건.............제발 투표좀......
@하타케 카카시. ㄱㅆ 4.3사건 글 올렸어!
잊지 않겠습니다
ㅠㅠ
잊지않겠습니나
아 눈물 ㅠㅠ
감사합니다ㅠㅠ
삭제된 댓글 입니다.
한강-소년이온다 책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