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oyager program]
귀여운 보이저 1호..
보이저 2호
1. 시 작
: 보이저 프로그램, 즉 보이저계획은 1962년부터 미국이 이미 실시하고 있었던 매리너 계획에서 연계된 프로그램입니다.
1962년부터의 매리너 계획으로 미국은 수성, 금성과 화성의 탐사를 실패를 반복하다가, 결국 세 행성 모두 성공했습니다.
이 탐사라는 것이, 행성 바닥에 내려낮아 직접적으로 토질을 연구하는 등의 임무가 아니라,
최대한 가까이 접근해서 사진찍는게 전부인 임무였죠..
물론 당시 미국의 우주탐사 개발의지는 너무나 열정적이었고 확고한 상태였기에,
달에 인간을 보냈듯이, 기술이 없어서 내려앉지 않은건 아닌 것 같습니다.
이 매리너 계획은 10호까지 발사되었고,
그 후 11호부터 탐사하려는 행성을 늘리며 이름이 바뀌어 보이저 프로그램으로 시작하게 된 것입니다.
: 스윙-바이 항법의 발견
이 매리너 계획의 중요성은, 지금까지도 전 세계가 써먹는 행성간 항법기술을 미국이 개발해냈다는 것에 있습니다.
스윙-바이라고 하는 이 기술이 매리너 계획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되었는데,
1970년대 초반까지는 우주선의 자체 추진력에 의해서는 목성 이상의 탐사가 불가능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발견된 이 스윙-바이 항법을 간략하게 설명 드리자면,
태양계에 분포된 행성들은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고 있죠.
그리고 각 행성들엔 자기만의 중력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주선을 그 행성에 근접시킨다면, 그 우주선은 행성과 가까워질수록 중력에 의해 속도가 점점 빨라지죠.
그 때 어느 한 지점에서 그 우주선의 최고속도가 나올 것이고,
그 지점을 지나게 되면 다시 중력에 의해 잡아당겨지며 느려질 것입니다.
그렇죠?
이 방법을 이용해서, 우주선 자체 추진력의 한계 이상으로 우주선을 빨라지게 만들고,
공전을 하고 있는 행성의 궤도를 파악해서,
가장 빨라지는 시점을 지나자마자 그 가속을 지닌 채, 궤도를 수정하여 행성을 벗어나게끔 하는 것이죠.
이 방법을 쓰기 때문에,
먼 곳을 탐사하는 우주탐사선들은 그 행성의 방향으로 일직선이 되게 날라가지 않습니다.
화성을 빙그르르 돌고 가속력을 받아 그 엄청난 힘으로 날아가는 것입니다.
현재 보이저 1호는 목성에서 다시 스윙바이를 하여 토성을 향할 수 있었고,
토성에서 다시 스윙바이를 해서 태양계를 벗어나기 위해 가고 있는 것이죠.
대단하지 않습니까?
글로 쓰면서도 믿을 수가 없네요..흐흐..
또한 스윙바이 덕택에 이 방법을 이용하는 우주선은,
스윙바이를 할 때 궤도수정을 위해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만을 가지고 있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스윙바이가 주는 극대의 효율이죠.
이 방법을 이용하여 목성을 지나 토성,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까지 갈 수 있다고
자신감을 얻은 미국은,\ 정말이지 기나긴 여행을 위해 준비-설계된,
보이저 우주선 2대를 1977년에 발사하게 됩니다..
장소는 미국 플로리다 캐이프커네버럴 공군기지.
1962년부터 줄기차게 지속해온 매리너 계획이 1973년 매리너 10호에 의해 마감을 하고,
나사는 이 보이저 계획을 4년간 준비,
1977년 8월 20일에 보이저 2호를 발사하고,
1977년 9월 5일 보이저 1호가 발사하게 됩니다.
왜 2호가 먼저 발사가 되었냐고요?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그저 두 대를 동시에 제작했는데,
1호보다 2호가 발사준비가 먼저 끝났고, 당시 최적의 조건을 맞추다보니, 2호를 먼저 쏘아올린 것이죠.
1호가 며칠 늦게 쏘아지긴 했으나, 궤도상으로 1호가 2호를 추월하여 더욱 앞설 수 있게 되었고,
현재는 순서에 맞게 1호가 2호보다 훨씬 더 멀리 날아가고 있습니다.
이 보이저 형제는 타이탄3E 라는 로켓에 실려 날아갔습니다.
이 로켓은, 본래 사용용도로 보자면... 미국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ICBM) 용도..라고 알고 계시면 됩니다..
왜 당시 미국이 미친듯이 우주개발에 나섰는지.. 이런 기술들을 보면 대략 알 수 있죠..
유사시 핵탄두를 실어 소련으로 날려보낼 더 나은 기술의 미사일 개발을 위해서.. 무서운 넘들..
이후 횟수로 36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우주를 탐험하고 있는데, 지금은
헬리오시스(Heliosheath)라 불리는 태양계 가장자리를 탐험하고 있다고 합니다.
참고로 이 헬리오시스라는 지역은 태양계 최 가장자리 지역인데, 보이저1,2호가
있는 지점에선 그 거대한 태양도 희미한 점으로만 보인다는군요.
보이저 1,2호 수명은?
헬리오시스에서 헬리오포스(Heliopaus)라는 곳으로 향하고 있는
보이저 1,2호는 플루토늄 연료전지가 바닥나는 2030년까지 작동할 예정이고~
저 먼 거리에서도 아직 DSN운통신망을 통해서 계속 자료를 보네오고 있다고 합니다.
->Deep Space Network 통신망이란?
미국(켈리포니아), 스페인(마드리드), 호주(켄버라)에 설치된 심우주 통신망을 말하는데
아래와 같이 모든 방향으로부터 우주통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설치한 거대한 안테나 입니다.
화성에서 활동중인 큐리오시티보버의 신호도 저 심우주통신망을 이용해 정보를 받고있고,
태양계 밖을 향해하고 있는 보이저1,2호의 신호도 이 심우주통신망을 통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1. 보이저 1호
보이저 1호는 가장 멀리 여행을 떠나온인류의 피조물입니다
이는 빛의 속도로도 약 37시간을 달려야 하는 초장거리입니다.
오늘(2014년 5월 3일)이 지구를 떠난지 36년 3개월 28일째 되는,
지금 이 시각에도 지구와 최대한 멀어지는 단 하나의 임무를 수행중인,
인간이 만든 인위적 개체 중 가장 멀리 떠나고 있는 탐사선입니다..
보이저 1호에 쓰인 기술은 컴퓨터 공학에서는 원시수준입니다
지금 여러분의 손에 들려있는 스마트폰 성능의 약 30만분의 1정도로 미약합니다.
보이저 1호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은 60년전에 최초로 개발되었습니다
- 보이저 1호는, 미항공우주국 나사에서 만든 722kg짜리 우주탐사선으로써,
태양과 점점 멀어지는 미션으로 인해 태양광 발전에만 의존할 수 없어,
플루토늄을 이용한 핵연료를 기반으로 오랜기간 지구와
지속적인 쌍방향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 목성과 토성을 근접 탐사하는 것이 첫번째 임무었고,
그 후 태양계 행성공전 궤도와 다른 수직적 방향으로 태양계의 끝을 만나는게 두번째 임무,
그리고 나서, 아예 태양계를 벗어나 외우주라 불리는 곳에 성간물질이 존재하는 곳으로 떠나는게 마지막 임무입니다.
그 후에는 지구와의 통신이 단절되기에,
보이저가 최종 도착하는 곳은 지구에서 파악할 수 없으며,
단지 통신을 위해서만 존재할,
아껴아껴쓴 나머지 핵연료가 다하는 약 2030년에 보이저와의 통신이 두절될 것이라 예상하고,
이 외롭고도 외로운 보이저 1호는 그 임무를 공식적으로 마치게 될 것입니다..
2. 미션의 배경
- 미국은 1960년대 우주 외부행성을 연구할 목적으로, 그랜드 투어 계획을 수립합니다.
1970년대 이르러 더욱 깊어져만 가는 냉전체제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정부는 미사일 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이 계획을 받아들이고,
점차 급진적으로 개발되어가는 미사일 실험도 할겸 우주로 우주로 무언가를 쏘아 올리게 됩니다.
그리하여, 미국의 천재적인 우주과학 기술자들도 미사일 기술개발에 힘입어,
이번 기회에 아예 우주를 더욱 더 탐사하기로 결정하게 된 것이고,
이미 파이오니아 10호가 목성을 탐사하여 어느 정도의 정보를 나사에 던져주고,
거기에 더해 매리너 계획에 의해 외부 행성까지의 항법도 새로이 개발되는 그 시점,
170년만에 한 번 온다는 각 행성들의 공전궤도와 행성들의 위치가 일직선으로 일치(그랜드 투어)한다고 하여,
이런 더없을 좋은 기회에 일직선으로 있을 외부행성들을 한꺼번에 탐사하는 것은 너무나 효율적이라고 판단,
급기야 보이저 프로그램으로 이름을 바꾸고 당시 모든 기술들을 집약하여 보이저 1호를 만들어 냅니다.
그러나, 10회에 걸쳐 30%의 실패율을 보유한 매리너 계획 때문에,
원래 매리너 11호로 명명된 보이저 계획은 일단 예산이 대폭으로 삭감되면서,
목성과 토성의 근접저공 탐사비행으로 임무를 단순화 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리곤 임무완료 후 외부로 날려보내어, 언제일지 모를 연료가 다 떨어질 때 까지만 통신을 하기로 했습니다.
그 예상은 1989년이었는데,
지금까지 이렇게 오래동안 생존해서 통신이 될줄은 그 때는 예상하지 못했었죠..
- 보이저 1호의 특이한 점은,
지구의 목소리를 담은 골든 레코드디스크를 본체 외부에 부착했다는 것이죠.
아마 많은 분들이 이건 기억하고 계실겁니다.
50여개국의 인사말과 태양계의 모습, 그 안에서의 지구의 위치, 지구에 사는 생명체 사진과 설명,
미국 대통령과 유엔사무총장의 인사말, 고래 울음소리, 아기 울음소리, 파도소리, 심장박동소리, 인간의 뇌파,
그리고 베토벤과 모차르트 등 클래식 음악과 동서양의 고전 등..
만약 저 멀리 어느 문명체가 이 디스크를 발견하고 해독할 수 있을정도의 기술이라면,
어렵지 않게 지구에 대해 이해할 수 있을 전반적인 내용을 거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만, 그 지능형 생명체가 무조건 선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에 보내어진 것이라,
당시에는 이 디스크 부착의 문제를 두고 반발도 심했었죠.
만약 이걸 본 악한 외계인이 우주전함이라도 끌고 지구를 찾아온다면,
고작 지구는 우주로 나갈 수만 있는 몇 대의 비행선만을 가지곤 대응도할 수 없이 멸명의 길을 갈 수도 있으니까요.
어느 날, 배틀크루져 몇 대가 하늘에 떠 있다면, 아 이 보이저란 놈이 제대로 일을 했구나..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것은, 칼 세이건이 미국 대통령 레이건에게 제안하여 받아 들여진 것이라고 합니다..
이 보이저는 아주 단순히 생겼습니다.
우선 태양전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탐사선에서 흔히 보이는 태양전지판이 없어서 좀 외소해 보이기도 하죠..
저런 형태의 비행체가 어떻게 날아갈까..싶기도 한데,
뭐 공기저항이 없는 우주에서의 비행에는 생김새가 어찌되었건, 자유로운 유영엔 아무런 영향을 주진 않습니다.
보시다시피, 3.7m 직경의 둥근 접시는 지구와의 통신을 위한 접시 안테나이며,
나머지는 뭐 보시면 아실겁니다.
카메라가 달려있고, 길쭉한 안테나도 있고, 적외선측정기, 분광기, 전하입자검출기, 우주선(Cosmic ray) 검출기 등등..
여러 탐사에 필요하고 그 결과물을 보낼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들로만 구성되어졌죠..
보이저는 굉장히 멀리서 전파를 보내오기 때문에,
우주에 떠도는 다른 탐사선의 안테나를 고의적으로 거쳐서(중계기역할) 지구로 전파가 도달하게 됩니다.
그게 워낙 멀어서, 현재 그 위치에서 보이저가 데이터를 송신한다면, 지구엔 대략 17시간 후에 도착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눈여겨 볼 부분은, 당시 과학자들의 예상을 뛰어넘고 아직까지도 그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는 핵연료 전지입니다.
이 '방사선동위원소 열전자 발전기'는,
플루토늄238 산화물로 구성되어, 화학반응으로 열을 뿜어내어 그 열을 전기에너지로 바뀌게 하여 전력으로 이용하는 겁니다.
이 핵연료는 반감기가 87년이고, 1년에 0.78%씩 연료가 줄어듭니다.
그러나 연료가 줄어들면 들수록, 발생하는 열전자 또한 줄어들어 시간이 갈수록 전력은 가속을 붙어 약해지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녀석 덕분에 여태껏 아주 미약하지만 꾸준히 일정한 정보(데이터)를 지구로 보낼 수 있는 힘이 되는 것이죠.
이 녀석의 데이터 송출량은 1회 고작 20byte가 전부입니다..
또한 6kb에 불과한 저장공간에,
지구에서 내리는 어떠한 전파를 '받아서 분석하여 처리하고 결과를 송출' 할 수 있는,
탐사선이 갖춰야할 전반적인 관리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건 마치, 최신 게임의 최적화가 아주 잘 진행되어 고물컴퓨터에서 최상옵으로 구동이 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 핵연료를 사용하여 필요할 때마다 궤도를 바꿔가면서 스윙바이를 했고,
연료가 점검 더 고갈되어 2010년엔 자외선 관찰측정이 중지,
그리고 2015년엔 디지털 기록기의 작동이 중지,
또한 2016년엔 평행유지 자이로 장비가 중지,
그리고 2020년에는 최소한의 전력으로 장비들간의 전력 공유가 이뤄지고,
마지막으로 2025-30년 사이에는 모든 전력이 중단되어 더이상 지구와의 통신이 두절되게 됩니다..
3. 보이저 1호의 궤도
- 보이저 1호와 2호는 각각 목성과 토성을 거쳤습니다.
위 그림에서 보다시피,
보이저 1호와 2호는 태양계 행성의 공전궤도와 평행되는 위치로 날아가는게 아니라,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위/아래 갈라져 날아갑니다.
1호는 토성 관찰이 끝난 후 바로 방향을 틀어 태양계 공전궤도의 윗쪽으로 출발했고,
2호는 천왕성, 해왕성을 관찰한 후에 아래쪽으로 방향을 잡고 날아가는 것이죠.
2호가 천왕성, 해왕성을 위해 좀 더 평행을 유지하며 날아갔기에,
1호가 현재 지구에서 가장 먼 개체로 인식되는 것입니다.
2013년 9월 13일, 나사는 보이저 1호가 성간공간(Interstellar Space)으로 진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인간이 만든 물체가 거기 도달함이 밝혀졌지만,
인류 중 아무도 도달해 보지 못한 그 알 수 없는 공간은, 여전히 상상외에 미지의 공간일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보이저는 거의 수직으로 날아갈 수 있었기 때문에,
60억km를 날아간 보이저 1호가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며 태양계 행성의 공전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었고,
이렇게 보면 대략 위에 모자이크 사진이 어떤 형상인지 이해가 되실겁니다.
이 사진을 찍고, 아주 조그맣고도 창백한 푸른 점(pale blue dot)으로 찍힌 지구에 너무 감동을 받은 칼 세이건은,
Look again at that dot. That's here. That's home. That's us.
On it everyone you love, everyone you know, everyone you ever heard of, every human being who ever was,
lived out their lives. The aggregate of our joy and suffering, thousands of confident religions, ideologies, and economic doctrines,
every hunter and forager, every hero and coward, every creator and destroyer of civilization, every king and peasant,
every young couple in love, every mother and father, hopeful child, inventor and explorer, every teacher of morals,
every corrupt politician, every "superstar," every "supreme leader," every saint and sinner in the history of our species lived there
- on a mote of dust suspended in a sunbeam.
저 점을 다시 보자. 여기 있다. 저것이 우리의 고향이다. 저것이 우리다.
우리가 사랑하는 모든 이들,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사람들, 당신이 들어봤을 모든 사람들,
존재했던 모든 사람들이 그곳에서 삶을 영위했다.
우리의 기쁨과 고통이 총합, 확신에 찬 수많은 종교, 이데올로기들, 경제적 독트린들, 모든 사냥꾼과 약탈자,
모든 영웅과 비겁자, 문명의 창조자와 파괴자, 왕과 농부, 사랑에 빠진 젊은 연인들, 모든 아버지와 어머니, 희망에 찬 아이들,
발명가와 탐험가, 모든 도덕의 교사들, 모든 타락한 정치인들, 모든 슈퍼스타, 모든 최고의 지도자들,
인간 역사 속의 모든 성인과 죄인들이 저기 - 태양 빛 속에 부유하는 먼지의 티끌 위-에서 살았던 것이다.
- 칼 세이건 -
쌍둥이 우주선 보이저1,2호 모습
위 사진은 보이저호의 간략한 구성 사진인데.
지구로 사진을 찍어 보네는 데 필요한 카메라와 분광기(Camera and spectrometer)
행성과 우주에서 나오는 각종 우주선 감별을 위한 감별기(Cosmic ray detector)
특정 위성과 통신하기 위한 고대역 안테나(High gain antenna)
심우주 통신망과 통신하는 데 필요한 저대역 안테나(Low gain antenna)
행성의 자기력을 측정하는데 필요한 자기력계(Magnetometer)
보이저호에 전력을 공급하는 원자로(Radioisotope generators)
등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보이저의 원자로 Voyager RTG[Radioisotope Thermoelectric Generator]
스페이스 시뮬레이터 속의 보이저(Voyager in the 25 foot Space Simulator)
열 진공 챔버로 이동시키고 있는 보이저호
(Voyager transporting to solar thermal vacuum chamber in Airlock 150 in the Environmental Test Lab)
케네디 스페이스 센터 SAEF 2 지역에 있는 보이저호
(Voyager in SAEF II at Kennedy Space Flight Center)
골든 레코드 (Golden Record.)
보이저 호는 행성탐사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스페이스 크레프트이며,
대부분의 무인 우주선처럼 지구로의 귀환을 목적으로 하지 않은 우주선입니다.
전력이 끊기면 영원히 우주를 떠돌아 나닐 수 밖에 없는데
혹시나 모를 지적생명체와의 조우를 고려해 보이저호를 발사한
지구의 정보를 기록해 놓은 도금한 구리 레코드 판을 같이 실어 보냈습니다.
이 12인치(약 30Cm)의 레코드 판에는 115장의 다양한 이미지와 파도 바람, 번개, 새소리,
고래소리, 등등의 지구의 소리와 동물들의 소리를 담아놨고, 55개국의 인사말과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등의 음악과 미국의 팝가수 척 베리 등의 노래를 담아 놨다고 합니다.
골든 레코드에 담은 115장의 이미지 모음영상
골든레코드에 담긴 55개국어 인사말입니다.
한국어 인사는 2:19초
0:00 Sumerian(수메르어) 0:04 Ancient Greek(고대 그리스어) 0:11 Portuguese(포루투갈어)
0:14 Cantonese(광둥어) 0:19 Akkadian (아카드어) 0:22 Russian (러시아어) 0:25 Thai (태국)
0:32 Arabic (아랍어) 0:38 Romanian (루마니아어) 0:42 French (프랑스어) 0:45 Burmese(버마어)
0:48 Hebrew(히브루어) 0:50 Spanish (스페인어) 0:54 Indonesian (인도네시아어) 0:59 Kechua(케추아어)
1:04 Punjabi(펀자브어) 1:07 Hittite (히타이트어) 1:08 Bengali (벵골어) 1:11 Latin(라틴어) 1:19 Aramaic(아람어)
1:22 Dutch(네덜란드어) 1:24 German(독일어) 1:27 Urdu(우르드어) 1:37 Vietnamese(베트남어)
1:40 Turkish(터키어) 1:45 Japanese(일본어) 1:48 Hindi(힌두어) 1:51 Welsh(웨일스어) 1:54 Italian(이탈리아어)
1:57 Sinhalese(신할라어) 2:00 Nguni(응구니어) 2:05 Sotho(소토어) 2:08 Wu(우어) 2:12 Armenian(아르메니아어)
2:16 Esperanto(에스페란토) 2:19 Korean(한국어) 2:22 Polish(폴란드어) 2:25 Nepali(네팔어)
2:29 Mandarin(중국어) 2:35 Ila(일라어) 2:38 Swedish(스웨덴어) 2:45 Nyanja(난자어) 2:48 Gujarati(구자라티어)
3:03 Ukrainian(우크라이나어) 3:09 Persian(페르시아어) 3:22 Serbian(세르비아어) 3:25 Oriya(오리아어)
3:34 Ganda(간다어) 3:38 Marathi(마라티어) 3:47 Amoy(아모이어) 3:55 Hungarian(헝가리어)
4:01 Telugu(텔구르어) 4:05 Czech(체코어) 4:08 Kannada(칸나다어)
4:12 Rajasthani(라자스타니어) 4:18 English(영어)
각 언어의 내용
|
|
골든 레코드는 사실 인류의 유언이었습니다
3. 탐사 및 미션 수행
: 저 위 궤도 그림에서도 보듯이,
보이저 2호는 - 목성, 토성을 탐사하고 천왕성 해왕성을 위해 날아가고,
보이저 1호는 - 2호보다 늦게 떳지만 더 빠른 궤도로 2호보다 먼저 목성과 토성을 지나서
결국 태양계를 벗어나는 성간임무를 위해 곧장 날아갑니다..
<보이저 1호 미션 일지>
- 1977년 9월 5일, 미국 플로리다 캐이프 커네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
- 1977년 12월 10일, 화성을 지나 행성간 벨트에 진입
(실제 화성과 목성 사이는 태양에서 화성까지의 거리보다 더 멀기 때문에
중간에 엄청난 공간이 있음, 이 곳을 말합니다.)
- 1977년 12월 19일, 보이저 2호 추월
- 1978년 9월 8일, 행성간 벨트를 거의 벗어남
- 1979년 1월 6일, 목성 관측 시작
- 1980년 8월 22일, 토성 관측 시작
- 1980년 12월 14일, 행성관찰 임무 종료 후 미션 확장 - 태양계를 벗어나라
- 2013년 8월 기준, 태양으로부터 125AU 거리 기록(1AU = 태양과 지구의 거리, 약 1억 5천만km)
대략 파악 가능한 보이저 1호 위치, 현재는 이보다 좀 더 나갔을 듯..
<보이저 2호 미션 일지>
- 1977년 8월 20일, 미국 플로리다 캐이프 커네버럴 공군기지에서 1호보다 먼저 발사
- 1977년 12월 10일, 화성을 지나 행성간 벨트에 진입(1호와 동일)
- 1977년 12월 19일, 1호에게 추월당함
- 1978년 10월 21일, 행성간 벨트를 거의 벗어남
- 1979년 4월 25일 , 목성 관측 시작
- 1981년 6월 5일, 토성 관측 시작
- 1985년 11월 4일 , 천왕성 관측 시작
- 1989년 6월 5일, 해왕성 관측 시작
- 1989년 10월 2일, 행성관찰 임무 종료 후 미션 확장 - 1호와 같은 운명이 되라
- 2012년 10월 기준, 태양으로부터 100AU 거리 기록
보이저 2호의 대략적인 위치
- 태양계를 덮고 있는 공간인 헬리오시스를 거의 벗어났습니다..
먼저 보이저 1호에 대해 알아볼게요.
보이저 1,2호는 태양과 지구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을까?(3월 17일 기준)
보이저 1호는 2013년 03월 17일 기준으로
지구로부터 18,475,425,426KM
태양으로 부턴 18,498,637,854KM
태양에서 빛의 속도로 17시간 7분을
달려야 하는 거리에 있습니다.
| ||
보이저 2호는 지구로부터 15,182,541,492KM
태양으로부터 15,,333,498,742KM
태양에서 빛의 속도로 14시간 4분 정도
달려야 하는 거리에 있습니다.
|
참고로 보이저1호의 속도가 초당 17Km고 보이저 2호가 초당 16Km이니까..
지금 이순간에도 분당 각각 약 1020, 960킬로씩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으니
매초마다 지구에서 가장 멀리 비행한 우주선라는 신 기록을 세우고 있습니다.
보이저 1,2호의 이동 궤도
보이저1,2호 타임라인
1977년 08월 20일 케네디 스페이스 센터에서 보이저 2호 발사
->본래 같은날 발사 예정이였으나 보이저1호의 결함으로 1호만 2주 연기됨
1979년 03월 05일 보이저1호 목성에 접근
1979년 07월 09일 보이저2호 목성에 접근
1980년 11월 01일 보이저1호 토성을 지나서 태양계 밖을 향함
1981년 08월 25일 보이저2호 토성을 지남
1986년 01월 24일 보이저2호 최초로 천황성 근처에 도달
1987년 보이저2호 Supernova 1987A 관측
Supernova 1987A
1988년 보이저 2호 최초로 해왕성의 칼라사진을 지구로 전송함
1989년 08월 25일 보이저2호 최초로 해왕성 관측
보이저2호 태양계 밖 탐사 시작
1990년 01월 25일 보이저 1,2호 Interstellar Mission 시작
1990년 02월 14일 보이저호 Portrait of the Solar System라는 마지막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
1998년 02월 17일 보이저1호 파이니어 10호(1972년에 발사된 우주선)의 기록을 넘어
인간이 만든 비행체 중 가장 멀리 비행한 우주선이 됨
2004년 12월 15일 보이저1호 Termination Shock 지역을 지남
2007년 09월 05일 보이저2호 Termination Shock 지역을 지남
2007년~ 현재 보이저호 헬리오시스 탐사중
4. 보이저 1호 미션 일지
시간에 따른 보이저 1호의 행적을 따라가 보겠습니다.
- 1977년 9월 5일, 미국 플로리다 캐이프 커네버럴 공군기지에서 발사
- 1977년 12월 10일, 화성을 지나 행성간 벨트에 진입
(실제 화성과 목성 사이는 태양에서 화성까지의 거리보다 더 멀기 때문에 중간에 엄청난 공간이 있음, 이 곳을 말합니다.)
위 그림에 보이는 하얀점들이 있는 공간입니다.
저 점들이 모두 소행성들이라 생각하면 됩니다.
태양계에는 우리가 알고있는 몇개의 행성만 존재하는게 아니라,
갖가지 크고 작은 운석덩어리(소행성)들이 무쟈게 많이 포진되어 있겠지요.
- 1977년 12월 19일, 보이저 2호 추월
이렇게 19-21일 사이에 1호가 2호를 추월을 하게 됩니다.
- 1978년 9월 8일, 행성간 벨트를 거의 벗어남
- 1979년 1월 6일, 목성 관측 시작
드디어 목성에 근접했네요.
1월에 근접은 했지만 무려 2개월을 더 날아가 목성과 40만km 부근까지 근접하게 됩니다.
목성도 기체 행성답게 고리가 있는데, 먼저 그 고리에 있는 '아말테아'라는 위성의 사진을 찍어 보내왔습니다.
그리곤 본격적인 목성 탐사 시작.
보다 더 가까운 근접촬영이기에, 해상도 좋은 사진을 건질 수 있었죠.
목성과 두개의 위성(Jupiter and two moons.)
목성의 일부분과 두 위성(Portion of Jupiter and moons.)
목성의 고리(Jupiter's ring)
1979년 보이저 1호가 목성의 이 사진을 보네오기전 까진. 목성엔 고리가 없는 걸로 알고 있었죠.
이 사진을 보이저가 찍어 보냄으로서. 목성에도 희미한 고리가 존재한다는 걸 발견하였습니다.
목성의 위성 이오의 화산활동(Jupiter's moon Io with active volcanoes)
퍼렇게 빛나는게.. 이오가 뿜어네는 볼케이노입니다.
목성의 위성 칼리스토(Jupiter's moon Callisto)
"그래도 지구는 돈다"란 말을 남긴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발견한 목성의 위성 칼리스토입니다.
목성의 거대한 대적반(Jupiter's Great Red Spot)
보이저가 찍은 목성의 대적반입니다. 크기가 지구의 3배가 넘는 가스폭풍인데..
1664년 영국의 과학자가 처음 발견한 이후 지금까지 계속 관찰되고 있습니다.
목성과 같이 수소와 헬륨으로 이뤄진 행성은 한번 태풍이 불면 수백년동안 지속된다 합니다.
수백년간 지구보다 큰 태풍.. 정말 대단합니다ㅎ
목성의 대적반 확대사진(Closeup of Jupiter's Great Red Spot)
여기서 부턴 토성(Saturn)사진
토성으로부터 350만km까지 근접하여 찍은 너무나도 아름다운 사진.
누구나 이 토성에 대한 막연한 동경같은건 있을 겁니다.
우주의 '별'이라면 응당 갖춰야 할 고리라는 엄청난 외모에 대한 버프(고리빨?)로,
다른 모든 행성을 제치고 당당히 태양계 최고의 얼짱 행성으로 자리잡고 있죠..
실제 보이저가 이 사진을 이렇게 예쁘게 찍을 줄은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기울기도 환상..
참고로, 이 고리는 1610년 갈릴레이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지나,
당시엔 이게 고리인 줄 모르고, '얘는 귀가 있네..'정도로 마무리 했습니다..
보이저 2호가 찍은 토성사진(Saturn by Voyager2.)
토성의 전체 모습(Larger version of Saturn.)
적외선 촬영한 토성 (False-color view of Saturn.)
보이저1호가 찍은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 (Voyager image of Saturn moon Enceladus.)
토성과 토성의 위성들 테티스 디온 레아의 사진( Saturn and three moons. Tethys.
Dion and Rhea. Aug. 4, 1982. 13 million miles.)
위 사진은 보이저 2호가 82년 8월 4일 토성으로부터 천삼백만 마일(2천만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달과 지구의 38만킬로미터인데, 지구와 달 거리보다 50배나 더 떨어진 곳에서
찍은 토성의 사진이 저렇게 크군요.
이건 토성과 지구 크기 비교 사진. 지름이 지구보다 9배 정도 크다고 합니다.
보이저 1호가 찍은 토성과 테티스 디온, 고리와 고리의 그림자. 80년11월03일 천삼백만 킬로미터 떨어진 곳이서 촬영
(Saturn. Moons Tethys. Dione. Shadows, rings and moons on Saturn. Photo Nov. 3. 1980. Range 13 million km.)
토성의 북반구 확대 사진
(Saturn's Northern Hemisphere. Aug. 19, 1981. Range 4.4 million miles.)
토성의 구름
(Enhanced image. Saturn's clouds. Photo Nov. 5, 1980. Range 8 million km.)
토성의 C,B고리와 작은 고리들
(Saturn C-ring and B-ring with many ringlets. False-color image. Aug. 23, 1981.)
토성에는 여러 겹의 고리가 있는데.. 각 고리마다 구성 성분도 다르고 속도도 다르다고 합니다.
토성의 화려한 고리
(Saturn rings. Color variations indicate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
토성과 B링
(Saturn rings with "spoke" features in B-ring. Aug. 22, 1981. 2.5 million miles.)
토성의 위성 테티스
(Saturn Moon Tethys. Note huge canyon system.)
토성의 위성 디온
(Moon Dione. Many impact craters. Photo Nov. 12, 1980. )
토성의 위성 엔켈라투스
(Saturn's Moon Enceladus. 310 miles in diameter. Aug. 25, 1982. 74,000 miles.)
보이저 1호가 토성을 탐사하면서,
토성의 고리가 얼음덩이리들로 구성됨을 처음 알았고,
토성과 타이탄의 실질적인 대기조사도 처음 했습니다.
보이저 1호는 이 토성의 위성인 타이탄의 관찰을 마지막으로, 실질적으로 주어진 행성관찰 임무를 종료했습니다.
그리곤 다시 토성을 스윙바이하여, 머나먼 대장정에 돌입하게 된 것입니다..
- 1980년 12월 14일, 행성관찰 임무 종료 후 미션 확장 - 태양계를 벗어나라
- 2013년 8월 기준, 태양으로부터 125AU 거리 기록(1AU = 태양과 지구의 거리, 약 1억 5천만km)
5. 보이저 1호의 미래
- 보이저 1호는 현재 성간공간에 진입했다고는 알려져 있습니다.
위 그림을 보자면, 태양에서의 거리가 고작 그것밖에 안되는 것처럼 보이나,
아래 숫자를 보시면 1-10-100으로 늘어나죠.
즉, 1-10까지 거리의 10배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없어, 거리를 단순화한 그림에 불과합니다.
감안하여 본다면, 현재 이 보이저가 얼마나 멀리 날아가고 있는지 대략 짐작이 가실겁니다.
그리하여, 드디어 이론만으로 가능한 공간인 성간물질공간으로 진입했다고 나사가 발표했죠..
대체, 보이저의 카메라엔 뭐가 보일까요.. 뭐라도 보이긴 할까요..?
위에 보이는 오르트 구름까지 도달하려면 300년 정도가 걸릴 것이고,
그 구름을 지나려면 대략 4만년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빛의 속도로도 1.6광년..
(뭐, 그림상으론 아닌 것 같으나, 그렇다고는 하네요.. 이정도 시공간 개념에선 얼마나 걸리는지가 중요한게 아님..)
보이저 1호는 우리가 보는 저 먼곳에 은하수를 오늘도 혼자 방황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래도 보이저 1호는 마지막까지 힘을 다해 인류에게 전달할,
너무도 미약하지만 소중한 신호를 오늘도 전달하려 할 것입니다.
현재 보이저 1호가 향하는 목적지는 기린 별자리 방향, 알파 센타우리라는 별.
지구에서 바라본 하늘에서 4번째로 밝은 별..
1.6광년을 가는데 4만년의 시간이라는데, 이 별은 그나마 가까이 있다는 거리인, 4.3광년..
어쩌면 인류가 멸망한 뒤, 도착할지도 모르는 기나긴 여행입니다..
언제나 끊임없는 호기심으로 가득찬 인류의 마지막 희망.
이 보이저 형제들 중 1호가 주는 이 희망은,
고작 100년남짓 살수 밖에 없는 우주의 티끌의 티끌과 같은 존재인 인류에게도,
영원불멸이라는 기대를 주기에 충분합니다.
읽으시느라 고생했어요~! 2호로 그럼 바로 넘어가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