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은 지식이 쌓이는 것 같아서 좋구 소설은 어휘력이나 스트레스 해소에 좋은 것 같아!! 소설 책 읽는 데 무슨 도움이 되냐고 하겠지만,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서 다른 것 같아. 추리소설이라도 많이 읽으면 몰랐던 맞춤법도 자연스레 알게되고, 연애소설이라도 모르는 단어 흘려 읽지않고 뜻 찾아보며 읽어가면 그게 다 내 지식이고 공부인듯...!!!
지식을 인터넷으로 찾는 것과 책을 읽고 쌓아가는 것은 큰 차이가 있어 ㅋㅋ 허지웅 말 완전 공감! 예를 들어 철학에서 어떤 단어에 대해 알고싶어서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바로 뜻이 나오는데 당장 과제한다던지 할 땐 도움이 되겠지만 결국엔 별 도움이 안 됨 ㅋㅋ 그 개념이 도대체 어떻게 나온건지도 알 수 없고 연결이 안되거덩 ㅋㅋ 공감공감왕공감!
하상욱 왜 저래.... 어릴 때 책 좀 읽은 사람이랑 아닌 사람이랑 차이가 엄청 드러나 되/돼 않/안 ~대다를 ~되다로 쓰는 거 기본적인 맞춤법 틀리는 거 다 책 안 읽어서야 나이 든 어른들은 제외하고 누가 맞춤법을 학교 공부하듯 공부해 자연스럽게 익히는거지 문장력, 어휘구사력부터가 차이가 나는데 쯧
그리고 하상욱이 책 쓰는 사람 아니지 않아? 하상욱은 시대 흐름 잘 타고 sns잘 이용한 제 2의 귀여니라고 생각 허지웅 말 틀린 거 없음 요새 책 안 읽다보니 어휘력 퇴화된 거 느껴져 쩐다, 멘붕 이런 말 없을때 뭐라고 표현했나 기억도 안 나고 문장력이 형편없어진 듯한 느낌
나는 책은 피드백이 안돼서 별로라고 생각하고있어. 여시들이 다 싫어하는 아프니까 청춘이다도 책이잖아. 물은 답을 알고있다도 책이고... 요즘은 책이 좋은것만 있는건 아니고 책으로 정보를 얻고싶어도 내기준 도움이 안되는 책이 더 많은거같아. 난 어렸을때 책 엄청 읽었지만 요즘 책읽는것에 회의감이들어. 차라리 인터넷에서 사람들끼리 토론하는거 읽는게 훨씬 도움되는거같아. 여러가지 생각을 볼수있잖아. 요즘처럼 책 말고도 정보를 얻을수있는 매체가 많은데 책이 제일이라는것은 종이사전이 좋으니 종이사전보라는거랑 신문이좋으니 신문을 고집하는거랑 같은소리라고생각해
허지웅말이 맞음 책은 읽어야대 나두 어릴땐 책엄청읽엇는데 고3때공부하면서 책안읽기시작해서 지금까지도 안읽게됏는데 똥멍청이가되가는걸느껴 어휘력이나 문장구사력도 차원이다루고
인문학은 지식이 쌓이는 것 같아서 좋구
소설은 어휘력이나 스트레스 해소에 좋은 것 같아!!
소설 책 읽는 데 무슨 도움이 되냐고 하겠지만,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서 다른 것 같아.
추리소설이라도 많이 읽으면 몰랐던 맞춤법도 자연스레 알게되고, 연애소설이라도 모르는 단어 흘려 읽지않고 뜻 찾아보며 읽어가면 그게 다 내 지식이고 공부인듯...!!!
윗댓글 보니까 책 읽는게 진짜 중요하다고 하는 여시들 많은데 스스로 책 읽어서 어휘력이나 문장력이 괜찮다고 생각하는 여시들은 어떤 책을 얼마나 자주읽어??
허지웅!! 말에 격하게 공감... 하상욱 저건 ...아닌거같
허지웅은 그냥 책을 읽자는 의도인데 ㅋㅋ 책을 안 읽는 사람이라서 맥락을 못짚는건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오 이거 공감된닼ㅋㅋㅋㅋㅋㅋㅋㅋ
근데 뭐 딱히 하상욱이 유식한 캐릭터는 아니니까.. 식자층도 아니고, 시인도 아니고. 걍 엔터테이너가 저런 말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 난~
하상욱은 뭐......이젠 뭔말하는지도 모르겠음ㅋㅋ 암튼 허지웅은 공감 ㅠㅠ 책 진짜 하루에 다섯권씩 읽던 시절이 있었는데... 요즘은 끽해야 일주일에 한권? 확실히 책 많이 안읽으니까 머리가 굳어 ㅠㅠ 쓰던 어휘도 줄어들도 ㅠㅠ..
하상욱 개별로....... 점점..... 흠
하상욱 저 트윗은 진짜 별로다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글쓰는 사람이 왜 저런 생각을 가지고 있을까 궁금..
올해 목표잡고 책 많이 읽는중인데 왜 그 전엔 안 읽었나 생각도들고 확실히 지식도 보는눈도 생각하는거나 말하는것도 조금씩 달라지는거느껴져ㅠㅜ 책읽다 위로도 많이받고
나는 이런생각도 드네.. 허지웅이 하고있는 방송이 몇갠데..?
다 티비아닌가.... 티비보단 책을 읽자 할거면....방송활동보단 책을 더 많이 쓰던가...
좋은말이긴 한데 허지웅이 할말인가 싶은데
대형연어긴한데..직업이랑 독서 장려랑 무슨 ..상관이야? 독서 장려하려면 작가여야 되는거야?본인도 짬내서라도 책 읽는다고 써두었고..
티비보단 책읽자가 아니고 티비'만' 보는거에 대한 단점과 그걸 채워줄 수 있는게 책이란거같은데..
책좀읽어야지...머리굳겠어ㅜㅜ
책 많이 읽어야겠다..ㅠㅠ
책을 많이 잃어야 되는데.. ㅠㅠ 어느새 책 읽는 시간을 정해두고 읽고 있더라..ㅋㅋ 그냥 책을 한권한권 독파한다는느낌이 들때가 있음...
지식을 인터넷으로 찾는 것과 책을 읽고 쌓아가는 것은 큰 차이가 있어 ㅋㅋ 허지웅 말 완전 공감! 예를 들어 철학에서 어떤 단어에 대해 알고싶어서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바로 뜻이 나오는데 당장 과제한다던지 할 땐 도움이 되겠지만 결국엔 별 도움이 안 됨 ㅋㅋ 그 개념이 도대체 어떻게 나온건지도 알 수 없고 연결이 안되거덩 ㅋㅋ 공감공감왕공감!
하상욱 예민보스;ㅁ;
하상욱 왜 저래....
어릴 때 책 좀 읽은 사람이랑 아닌 사람이랑 차이가 엄청 드러나
되/돼 않/안 ~대다를 ~되다로 쓰는 거
기본적인 맞춤법 틀리는 거 다 책 안 읽어서야
나이 든 어른들은 제외하고
누가 맞춤법을 학교 공부하듯 공부해 자연스럽게 익히는거지
문장력, 어휘구사력부터가 차이가 나는데 쯧
그리고 하상욱이 책 쓰는 사람 아니지 않아? 하상욱은 시대 흐름 잘 타고 sns잘 이용한 제 2의 귀여니라고 생각
허지웅 말 틀린 거 없음
요새 책 안 읽다보니 어휘력 퇴화된 거 느껴져
쩐다, 멘붕 이런 말 없을때 뭐라고 표현했나 기억도 안 나고 문장력이 형편없어진 듯한 느낌
하상욱 갈수록 실망이다.. ㅋㅋ 독서 장려하는게 그렇게 아니꼬울 일인가? 난 허지웅말 공감이고 하상욱 저 트윗은 되게 없어보임
이 트윗만 봐도 책을 많이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나 저 트윗 보고 언팔함ㅎㅎ
하상욱 언젠가부터 공감 안 돼서 언팔한지 꽤 됐음..
학창시절에 닥치는대로 읽고 대학와선 책 진짜 안읽는데...읽어야댐 책읽엇던 사람은 책읽어야하는 필요성을 알거임..평생 안읽엇던 사람응 그걸 모르겟징
ㅌ책은 많이 읽는게 좋지 ㅜㅜ
나는 책은 피드백이 안돼서 별로라고 생각하고있어. 여시들이 다 싫어하는 아프니까 청춘이다도 책이잖아. 물은 답을 알고있다도 책이고... 요즘은 책이 좋은것만 있는건 아니고 책으로 정보를 얻고싶어도 내기준 도움이 안되는 책이 더 많은거같아. 난 어렸을때 책 엄청 읽었지만 요즘 책읽는것에 회의감이들어. 차라리 인터넷에서 사람들끼리 토론하는거 읽는게 훨씬 도움되는거같아. 여러가지 생각을 볼수있잖아. 요즘처럼 책 말고도 정보를 얻을수있는 매체가 많은데 책이 제일이라는것은 종이사전이 좋으니 종이사전보라는거랑 신문이좋으니 신문을 고집하는거랑 같은소리라고생각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