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맹 규정(제2장 선수, 제9조 임의탈퇴선수)에 의거, 임의탈퇴 선수를 아래와 같이 공시합니다. ◇ 임의탈퇴 선수 공시 소속 : 수원삼성 성명 : 추평강 생년월일 : 1990. 04. 22 포지션 : FW 신장/체중 : 187/83 비고 : 계약상의 선수의무 불이행 |
J리그 팀에서 나온 이후 국내 팀으로 복귀하려 했으나, 임의탈퇴로 인해 1년간 사과를 하고 다닌 이천수
- 가장 이해 안되는 부분 : 선수가 어떤 이유를 가지고 FC서울에서 임의탈퇴 당했을 시, 선수는 FC 서울 뿐만이 아닌 K리그 클래식, K리그 챌린지, 심지어 내셔널리그에도 발을 들여 놓을 수 없음.
해당 팀에서 잘못을 저질렀으면 그 팀에서만 OUT 되야 하는게 상식이라고 생각하며, 해외 클럽에서도 선수가 구단에서 물의를 일으킨 경우 해당 팀에서만 방출되지, 타팀으로의 이적까지 막을 권리는 발생하는 경우가 없습니다.
임의탈퇴로 인해 타 팀, 국내 타리그로 이적을 원천 봉쇄하는 부분에서 반드시 없어져야 할 쓰레기 제도라고 생각됩니다.
2. FA 선수 제도
블랙 팬서님 글 中
'자유계약으로 공시된 선수'는 진짜 유럽의 FA 선수들과 같이 아무 조건 없이 국내외에서 팀을 찾을 수 있는 조건을 갖습니다.
하지만 FA 선수는 구단과 계약 기간이 끝났지만 여전히 원 소속 구단에 권리가 있습니다. 심지어 보상금도 발생합니다.
이 'FA 선수'들은 2월 28일까지 재계약을 하던가 타 팀으로 옮기던가 무조건 팀을 찾아야 합니다.
이 때까지 팀을 찾지 못하면 여름 이적 시장에서는 국내 어느팀으로도 이적할 수 없습니다.
'FA 선수'가 팀을 찾을 수 있는 기간은 이적 기간과 상관 없이 '1월 1일~2월 말일'까지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이죠.
2월 말일까지 팀을 못찾으면 해외 팀을 찾아봐야 되는데 3월엔 이적 시장을 연 해외 리그가 거의 없습니다.
그렇게 반 년을 무적 신세로 지내다가 여름 이적 시장에 폼이 망가져서 해외팀을 못찾으면 그냥 1년 쉬는 겁니다.
구단에 보상금 포기하고 자유계약으로 풀어달라고 빌던가요.
그럼 2월까지 새 팀을 찾으면 되는거 아니냐?
문제는 최대 3억의 보상금(2005년 이전 K리그 입단한 선수의 경우 그 이상의 이적료) 때문에 그 것도 선수 마음대로 하지 못합니다.
고액 연봉, 나이 많은 선수일수록 팀을 찾기가 힘듭니다.
황진성, 김은중 같은 선수들이 이 제도로 인해 국내에서 붕 뜬 상태로 지내다가 울며 겨자먹기로 해외로 이적한 바 있습니다.
- 가장 이해 안되는 부분 : 계약이 끝났음에도 원 소속 구단이 권리를 가지며, 보상금도 발생한다. 말만 FA지, 사실상 이적료가 발생하는 이적이라 여러모로 선수들이 계약을 끝내고 이적하기가 힘듬. 이적 못하면 선수만 x되는 쓰레기 제도입니다.
3. 양 구단 합의시 선수는 이적 선택권이 없음.
- 가장 이해 안되는 부분 : 위 FA제도와 비슷하게 선수만 엿먹이는 제도.
FM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해외에선 팀 간 합의가 있다 하더라도, 마지막엔 선수 본인이 이적을 선택하며, 개인 연봉도 협상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이 경우 선수는 선택권이 없습니다. 임의 탈퇴라는 또다른 쓰레기 제도가 함유되어있는 이해못하겠는 제도.
4.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5년 룰 제도
내용)
- 개정 이후 최초 프로계약을 해외 프로팀과 체결한 선수의 경우 (유인수 등) |
- 가장 이해 안되는 부분 : 위 두개 제도와 마찬가지로 선수 입장에서 여러모로 피 볼수 밖에 없는 제도.
일부 K리그 팬들이 반기는 부분은 그만큼 해외 진출에 대한 제한요소를 만들어 둔다는 점에 있지만, 이 제도의 존재 자체가 선수들의 미래를 막는 제도라고 생각됩니다. 그나마 최근에 개선된 부분은 긍정적
===================================
5. 번외 - 쓰레기 제도는 아니고 개인적으로 좀 다소 이해 못하겠는것들
(1) 현재 추진중인 다득점 제도
예시)
1위 전북 현대 모터스 승점 87점 득점 107 실점 95 (우승)
2위 FC 서울 승점 87점 득점 102 실점 70 (준우승)
득점을 많이 만들기 위한 방편이라는 그 마인드 자체는 좋으나..
득점을 많이 만들기 위한 원천적인 방편이 아닌 제도적으로 억지스럽게 득점을 만들어 내려고하는 제도라고 생각이 들어서 개인적으로 거부감이 좀 크네요.
(2) 알 수 없는 외국인 선수 등록명
우루과이 네스트로 파비안 등록명: 꼬레아 2000 전북, 2002, 전남 야리 다비스 실베라 등록명 샤리 2000,2001, 2003 부천sk
브라질 자시우 등록명: 짜시오 2014 부산아이파크 비니시우스 헤시 등록명: 리치 2014 전북현대 일리오나르 봉비냐 등록명: 엘리오 2011 인천유나이티드 호니엘리 등록명: 호니 2011, 2012 경남fc 바그네르 등록명: 박은호 2011 대전시티즌 2014 fc안양 펠리피뉴 등록명: 삥요 2011 제주유나이티드 제페르송 골라르트 등록명: 아트 2006 부산아이파크 조르지뉴 등록명: 조징요 2002 포항스틸러스
체코 페트르 고트왈드 등록명: 고티 1998 전북현대
잉글랜드 데일리언 앳킨슨 등록명: 아킨슨 2001 대전, 2001전북현대
우크라이나 아르템 야쉬킨 등록명: 아톰 2004 부천sk 세르히 코노발로프 등록명: 코놀 1997~1998 포항 스틸러스
알바니아 아드난 오첼리 등록명: 아디 1996 수원삼성블루윙즈
스페인 파비안 카바예로 등록명: 타이슨 2007 대전시티즌
세르비아 알렉산더 페르로비치 등록명: 알렉스 2008전북현대, 2009 전남드래곤즈 미오드라그 바실례비치 등록명: 미샤 2001 성남일화 졸탄 사보 등록명: 졸리 2000~2002 수원삼성블루윙즈 알렉산다르 블라호비치 등록명: 알렉스 1997 부산대우로얄즈 라드밀로 미하일로비치 등록명: 미하일 1997 포항스틸러스 사샤 페르토비치 등록명: 페트로 1996~1997 전남드래곤즈 젤코 시모비치 등록명: 젤리코1 1994 대우로얄즈 젤코 바이제타 등록명: 젤리코2 1994 안양LG 네보이자 막시모비치 등록명: 막스 1994 일화천마 조르제 바시치 등록명: 조제 1994 일화천마 알렉산다르 조제비치 등록명: 알렉스 1993년 대우로얄즈 네보이자 우치체비치 등록명: 우지체 1991~1993 대우로얄즈
크로아티아 제바드 투르코비치 등록명: 뚜레 1996~1997, 1999 부산대우ㅜ, 2000~2001 부산아이파크, 2001 성남일화 다르코 코르다스 등록명: 죠다쉬 2001 포항스틸러스 조스코 젤리치치 등록명: 옐라 2002 포항스틸러스 이반 메드비드 등록명: 메도 2002~2003 포하스틸러스 미로슬라프 오르시치 등록명: 오르샤 전남드래곤즈
보스니아 슬라비사 미트로비치 등록명:미트로 2002 수원삼성블루윙즈
몬테네그로 이반 부코비치 등록명: 기가 2013~2014 성남일화 보그단 밀리치 등록명: 복이 2012 광주fc, 2013 수원fc 필리프 카살리차 등록명: 카사 2014~2015 울산현대
마케도니아 스테비차 리스티치 등록명: 스테보 2007~2008 전북현대, 2008~2009 포항스틸러스, 2011~2013 수원삼성블루윙즈, 2014~ 전남드래곤즈 고란 페트레스키 등록명: 코난 2001~2004 포항스틸러스 자르코 사보프 등록명: 잔코 1995~1998 전북현대
루마니아 마리안 알리우챠 등록명: 알리 2005 전남드래곤즈 가브리엘 포페스쿠 등록명: 가비 2002~2004 수원삼성블루윙즈 코스민 올러로이우 등록명: 올리 1997~200 수원삼성블루윙즈 콘스탄틴 바르부 등록명: 지안 1997 수원삼성블루윙즈
러시아 안드레이 솔로마틴 등록명: 솔로 2004 성남일화 드미트리 카르자코프 등록명: 디마 1996 부천유공 미하일 솔로비요프 등록명: 솔로비 1992 성남일화
일본 오하시 마사히로 등록명: 마사 2009, 2011 강원fc 이에나가 아키히로 등록명: 아키 2012 울산현대
이라크 아바스 오베이드 등록명: 자심 1996~1997 안양LG, 1997~2001 포항스틸러스
호주 알렉산다르 요바노비치 등록명: 알렉스 2013수원fc, 2014~ 제주유나ㅣ이티드 로버트 콘스웨이드 등록명: 코니 2011~2014 전남 드래곤즈
|
왜 굳이 이름을 저렇게 표기할까? 그냥 원래 이름대로 부르면 되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호날두가 만약 무명이라면, 국내왔을때 '크리스'라는 등록명을 쓸거같다는 생각.
(3) 2부리그 기록을 1부리그 기록이랑 동급취급,
리그컵 기록을 리그기록에 포함시키는 이상한 기준의 기록들
예시1)
2부리그에서 1부리그의 기록을 갈아치울뻔한 대구FC
예시 2)
김병지는 1992년 현대에서 데뷔하여 그 해 한국프로축구대회(현 K리그)에 6회 출전하였다. 이후 순수 K리그 경기만(플레이오프 포함) 계산하면 2001년 포항으로 이적할 때까지 총 177경기에 출전하였고, 포항에서는 2005년까지 137경기에 출전하였다. 그리고 서울과 경남에서 180경기, 그리고 700경기를 달성한 26일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경기까지 현 소속팀인 전남 드래곤즈에서 95경기에 나섰다.
이를 모두 더하면 김병지는 도합 589경기에 출전하였다. 이는 연맹이 주장하는 'K리그 700경기 출전'이라는 기록에 비하면 한참 낮은 수치이다.
리그 589경기에 출전했음에도, 리그컵까지 더해 700경기로 취급한 김병지의 700경기
예시 3)
http://sports.news.naver.com/kfootball/news/read.nhn?oid=436&aid=0000018545
기록은 소중한 것이다. 축구는 기록 스포츠는 아니라지만, 선수는 은퇴해도 숫자는 남는다. 차범근의 현역시절을 보지 못한 이도 그의 A매치 출전기록과 골 기록을 보고 바로 위대함을 깨달을 수 있다. 그래서 더욱 엄격하고, 정밀한 기록 관리가 필요다.
그런 측면에서 봤을 때, 4일 도움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K리그 최다도움기록을 경신한 것은 되짚어 봐야 한다. 염기훈의 도움기록에는 11개의 챌린지 시절 기록이 들어가 있다. 챌린지도 엄연히 K리그 소속이기 때문에 염기훈이 K리그(혹은 한국프로축구연맹) 통산 71개의 도움을 기록했다는 표현은 무리가 없지만, 그게 신태용 올림픽대표팀 감독의 최다도움기록(68개)을 넘었다고 발표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2부리그에서 기록한 공격 포인트로 신태용의 기록을 넘긴 염기훈
잉글랜드로 치면 챔피언쉽 득점왕 밥먹듯이 한 선수가 앙리나 시어러를 넘을 수도 있다는 논리
그간 이해 안됐던 것들 몇개 적어봤습니다.
|
첫댓글 진짜 1~3은 선수인생은 안중에도 없는 핵폐기물같은 조항들.... 4번도 딱히 마음에 드는건 아니지만 1~3번에 비하면 덜 하다고 생각되네요... 이 조항들은 선수들이 진지빨고 직업선택의 자유 내걸고 소송걸면 1~4번 조항들은 바로 사라질 것 같긴 해요. 보스만 처럼..
4번은 아무래도 나름의 장점은 있어서 좋아하는 분들도 많고 저도 장점은 인정합니다.
하지만 선수의 진로결정에 제한을 둔다는거 자체가 상당히 싫은제도
@The Football World 그렇죠. 4번에 대해선 생각해 볼만한게 어느정도 있는거 같아서 섣부르게 판단하기가 쉽진 않더라구요 개인적으론요. 근데 1~3번은 그냥 극도로 혐오한다는 단어가 딱 맞는듯한 제도들... 어느분들이 만드셨는진 몰라도 이제는 없어져야 할 악법이죠.
삭제된 댓글 입니다.
바로 본문 추평강 같은경우가 남용된 사례..
정말 악법인
4번은 나름 리그 보호책이라고 생각해요
적당히 나가면 상관없는데 무턱대고 튀어나가서 실패하는게 부지기수고 K리그를 실패시 보험으로 생각하는 선수도 너무 많아서 개인적으로 호 입니다.
1. 임의탈퇴제도는 비단 K리그 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모든 프로스포츠가 같이 가지고 있는 제도죠.
2. 불합리하긴 한데 FA제도는 과거 계약금 있던 시절의 잔재였는데 이후에 또 생겼죠. 큰 구단들에서 작은 구단들의 선수를 빼가는걸 막고, 그럴 경우 원소속구단에 최소한의 보상을 해주기 위한 목적입니다.
3. 이건 동감. 단, 다른 나라의 경우는 어떤지 모르겠네요.
4. 현재로서는 기껏 키워났더니 외국으로 도망가는 선수들 막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는 제도라고 보입니다.
5. 개인적으로는 한번 해봐도 괜찮을 것 같음.
6. 그래도 요즘은 그런 경향은 줄어서 다행
7. 애초에 승강제 생길 때 기존 K리그는 그대로 두고, 그 위에 클래식이 생긴 시스템으로 갔기 때문에 기록 연속성은 어쩔 수 없습니다. EPL도 EPL 생기기 전의 개인기록이나 우승 기록 다 인정하고 있죠. '최상위리그' 기록으로 보느냐 'K리그 통산' 기록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관점이 달라집니다.
8. 많은 분들이 착각하시는 부분이 있는데, 옛날에는 한 해 경기수의 절반이 리그컵이었던 적도 있습니다. 리그컵 경기가 더 많았던 해도 있었구요. 지금 보기에 리그컵을 왜 넣냐고 하는데, 리그컵을 빼버리면 그 경기들 다 날아갑니다. 지금 보는 관점에서 생각하면 안됩니다.
@ilsocc... 의견 감사합니다.
하지만 1번과 3번에서 논리가 좀 이상하네요.
다른 스포츠도 갖고있음. 다른나라도 그럴지도 모름.
그런게 중요한가 싶네요. 그냥 잘못된 제도들이죠.
@ilsocc... 1.이유가 이상하네요. 우리나라 모든 프로스포츠가 갖고 있는 제도라 축구도 있어도 되는게 아니라 다같이 없애야할 제도죠.
2.목적은 단통법도 좋습니다. 그로 인해 희생이 발생되니 문제인 것이죠. 계약 기간 끝난 선수가 자유롭게 팀을 옮기는 것은 당연한 것인데 그걸 '선수를 빼간다'고 생각하는 것부터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4.키워놨더니 빼가는 걸 막는건 필요하지만 그건 준프로 계약 문제지 5년룰과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습니다. 규제를 하는 근시안적 대안보다 리그를 더 매력적으로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할듯합니다
5.실효성 불투명한 제도가 구단의 한해농사를 판가름할 수도 있는데 '한번해본다'라고 쉽게 생각해도 될일인지..
@ilsocc... 7.프리미어리그 출범 이전 기록과 프리미어리그 이전 기록을ㅡ 합산하는 것은 구성팀의 연속성, 국가의 최상위리그라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당연한 거고 그 것이 한국에서 2부리그 기록과 1부리그 기록을 합산하는 것과 큰 연관은 없어보입니다. 프리미어리그가 2부인 챔피언쉽리그 기록을 같이 계산하고 있다면 모를까.. 오히려 이전의 K리그 기록은 K리그 클래식 기록과만 합산되어야 한다는 것을 방증하는 예 같습니다만.
8.리그컵이 리그의 적은 경기수를 대체하거 위해 존재했다는건 다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것이 K리그와 동일시해야한다는 근거는 되지 못합니다. 다른 건 다른 거죠. 기록이라는 게 그렇습니다.
@ilsocc... 대회의 명분이 그렇다해도 같은 대회로 취급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블랙 팬서 전적으로 동의하는 바입니다.
아참, 블랙팬서님께 작성글 도용?의 허락을 구하지 못했었네요.
미리 양해 구하지 못한점 죄송하다는 말씀 드리고 싶고, 평소 양질의 글들 잘 보고있습니다.
특히나 제도 비판적인 글들이 제게 와닿았습니다.
그런게 쌓이고 쌓여서 이 글을 작성하기에 이르렀네요
@The Football World 음. 오해가 있으신 것 같은데요. 1, 3번은 그러니까 해야 한다는 뜻으로 적어놓은게 아닙니다. 그냥 왜 그 제도가 도입되었는지 설명을 한 것일 뿐입니다.
@블랙 팬서 1. 제 얘기는 다른 종목에도 임의탈퇴가 있는데 우리만 없애는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하니 모든 종목이 한꺼번에 없애야만 없어질 수 있다는 뜻이었습니다.
2. 는 현재는 선수를 파는 입장인 작은 구단들과 선수를 사는 입장인 빅클럽들이 모두 동의를 한 제도이기 때문에 한동안은 없애기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물론 기형적인 제도인건 확실합니다.
4.는 말씀하신대로 준프로 계약이 아마추어 엘리트 감독들의 반대로 도입이 안되고 있는 현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는 대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준프로계약이 제도화되면 자연스럽게 사라질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블랙 팬서 5. 실제 리그를 뛰는 당사자인 구단들이 동의한다면 뭐 굳이 나서서 반대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7. 현재도 K리그 클래식 기록과 챌린지 기록, 승강PO 기록은 별개로 통산기록이 계산되고 있고, 과거에서의 모든 프로 기록과 연계되어서도 기록되고 있습니다.
8. 다시한번 말씀드리지만 기록은 역사가 씌여질 당시의 관점에서 기록되어야지 지금 보기에 이상하다고 바꿀 수 있는게 아닙니다.
소송걸면 무조건 구단이 100 로 패소할 제도들
임의탈퇴는 이천수의 사례를 보면서 꼭 필요하다고 느꼈음.
이천수가 전남 구단에 잘못한거 맞죠. 근데 전남에서 타팀 이적까지 관여하는게 이해가 되세요?
임의 탈퇴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충격적인 의견이네요.
저게 필요한 이유란게 있나요?
잘못을 저질러서 팀에서 조치를 취하는데 그 조치가 타팀 및 타리그 이적까지 금지시키는게 말이된다고 보시는건가..
직장 잘리고 그 직장에서 다른데 취직못하게 만드는게 상식적으로 말이된다고 보시는건가요?
임탈은 필요한경우가 있다고 생각듬
이천수사건 전남때도 전남이지만 수원때도 임탈걸렷던걸로 암
전 승부조작범이나 범죄자 아니면 축구계에서 퇴출시켜야할 이유와 권리가 축구팀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The Football World 그때 이천수선수가 문민귀선수 폭행했다는 얘기가 있었죠 차붐도 그냥 손놧다는 얘기도있었고... 이런거면 필요하다 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그러게 말입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퍼온거라 제가작성한거 아닙니다
222 영국식으로 하면 아킨슨이 더 가까움
1 2 3 은 찬성이지만 나머지는 그다지 5년 룰은 유망주 유출 방지를 위해서고 5년룰 해도 빠져나가는 통에 그거라도 없으면 더 하겠죠
외국인 이름 같은 경우는 우리나라 정서상 부르기 어려워서 하는거고
바그너를 박은호, 광주에 복이 이딴 경우만 아니면 왠만한건 선수랑 협의해서 선수 별명 같은 걸로 이름 하는걸로 아는데 치차리토도 따지고보면 그런 같은 경우인디 하비에르 에르난데스인데 H.에르난데스 해야 맞는거임. 근데 별명인 치차리토를 이름으로 씀.
박은호 복이 이런건 진짜 슈렉 마인드이고, 예전에 경남에 있던 까보레나 인디오 뽀뽀 이런 애들은 다 자기 별명이나 집에서 부르는 애칭 같은걸로 알고있음
임탈은 말도 안되는 제도..사람을 때렸다든가 큰 죄를 저질렀으면 형벌을 가하면 되지..
박은호 ㅋㅋㅋㅋㅋ
이천수 사례가 임의탈퇴가 필요하다는 적절한 근거는 아니죠 10명의 범죄자를 놓치더라도 한명의 무고한 피해자를 없애는게 훨씬더 가치있는 일인데
3번 만안 쓰레기룰 없다고 생각합니다 ㅋㅋㅋ
바그너선수 ㅋㅋㅋㅋ큐ㅠㅠ 다들 바그너라고 부르긴했지만..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