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 전체 메뉴
▼
최신글 보기
메뉴 그룹
▲
##카페/공지필독
[쉼터& 교류공간]
▲
가입인사
마음을 다스리는 글
우리들의 이야기들
보이차& 홍차 &백차
자사호외 다구등
[회원 정보 공유]
▲
@ 자연의 이야기 @
@ 산야초 이야기 @
@ 버섯의 이야기 @
질문& 의견& 토론
[백두산& 주변풍경]
▲
백두산 풍경등
백두산인근
백두산맥풍경
[ 본초 응용 ]
▲
@ 건강차 응용 @
@ 효소의 응용 @
@ 약술의 응용 @
@ [약용 담금주] @
[천종산삼/산삼/야생삼등]
▲
@ 산삼채심 영상 @
@ 천종 산삼 @
@ 산 삼 @
@ 수림삼&임하삼
[ 연 구/ 공 부 ]
▲
@질환/건강보조/우림차@
본초의 수치(修治)
@동의보감등/환/단/고@
@[연구/탕/ 환/ 단/고.]@
[ 장 터 /나 눔 ]
▲
@ 무료 나눔방 @
[@ 백본초 본초도감 @]
▲
@본초의 기본적이해@
@ 수부(水部) @
▼
@ 천수류(天水類) @
@ 지수류(地水類) @
@ 화부(火部) @
▼
火(불)
@ 토부(土部) @
▼
흙(土)
@ 금석부(金石部) @
▼
옥(玉)류
광물류
철물류
@ 초본류 @
▼
& 가래과 &
& 가지과 &
a 개구리밥과 a
& 갯질경이과 &
& 거머리말과 &
a 고란초과 a
a 고비고사리과 a
a 고비과 a
a 고사리과 a
a 고사리삼과 a
a 고리매과 a
a 고란초과 a
a 곡정초과 a
& 골풀과 &
& 괭이밥과&
& 국화과 &
a 꼬리고사리과 a
& 꼭두서니과 &
a 꽃고비과 a
& 꿀풀과 &
a 꿩고사리과 a
& 끈끈이귀개과 &
& 낙규과 &
& 난초과 &
& 남가새과 &
a 네가래과 a
a 넉줄고사리과 a
& 노루발과 &
& 능소화과 &
& 단향과 &
& 닭의장풀과 &
& 대극과 &
& 돌나물과 &
& 두릅나무과 &
& 마과 &
& 마디풀과 &
@ 마름과 @
& 마전과 &
& 마타리과 &
& 마편초과 &
& 마황과 &
& 매자나무과 &
& 메꽃과 &
a 면마과 a
& 명아주과 &
& 무환자나무과 &
a 물고사리과 a
& 물레나물과 &
& 물별과 &
& 물부추과 &
& 물옥잠과&
& 미나리아재비과 &
& 바늘꽃과 &
& 박과 &
& 박주가리과 &
& 방기과 &
a 백부과 a
& 번행초과 &
& 백합과 &
& 범의귀과 &
& 벼과 &
& 벽오동과 &
& 별이끼과 &
& 봉선화과 &
& 부들과 &
& 부처꽃과 &
& 부처손과 &
& 분꽃과 &
& 붓꽃과 &
& 붕어마름과 &
& 비름과 &
a 비고사리과 a
& 뽕나무과 &
[사고과(蛇菰科)]
a 사군자과 a
& 사초과 &
& 산토끼과 &
& 산형과 &
& 삼과 &
& 삼백초과 &
a 새깃아재비과 a
& 생강과 &
a 생이가래과 a
&석류풀과 &
& 석송과 &
& 석죽과 &
& 선인장과 &
[선태 식물]
a 속새과 a
& 쇄양과 &
a 쇠뜨기말풀과 a
& 쇠비름과 &
& 수련과 &
& 수선화과 &
a 실고사리과 a
& 십자화과 &
& 쐐기풀과 &
& 아마과 &
& 아욱과 &
& 앵초과 &
& 양귀비과 &
& 연류산호과 &
& 열당과 &
& 용담과 &
& 운향과 &
& 원지과 &
a 일엽아재비과 a
& 자라풀과 &
& 자라공과 &
& 작약과 &
a 잔고사리과 a
& 장미과 &
a 제비꽃과 a
& 조름나물과 &
& 쥐꼬리망초과 &
a 쥐방울덩굴과 a
& 쥐손이풀과 &
& 지모과 &
[지차과(地茶科)]
a 지채과 a
& 지치과 &
& 질경이과 &
& 참깨과 &
& 처녀이끼과 &
& 천남성과 &
& 초롱꽃과 &
a 층층나무과 a
& 콩과 &
a 택사과 a
& 통발과 &
& 파초과 &
& 팥꽃나무과 &
a 풀고사리과 a
& 피나무과 &
& 한련과 &
&[ 해조류] &
& 현삼과 &
a 현호색과 a
& 협죽도과 &
& 후추과 &
& 흑삼릉과 &
& 홀아비꽃대과 &
& 회양목과 &
@ 목본류 @
▼
@ 가래나무과 @
@ 가지과 @
@ 갈매나무과 @
@ 감나무과 @
@ 감람과 @
@ 감탕나무과 @
@ 개비자나무과 @
@ 겨우살이과 @
@ 계수나무과 @
@ 고추나무과 @
@ 괭이밥과 @
@ 꼭두서니과 @
@ 나도밤나무과 @
@ 나사시나무과 @
@ 낙우송과 @
@ 납매과 @
@ 노린재나무과 @
@ 노박덩굴과 @
@ 녹나무과 @
@ 느릅나무과@
@ 능소화과 @
@ 다래나무과 @
@ 단풍나무과 @
@ 단향과 @
@ 대극과 @
@ 도금양과 @
@ 돈나무과 @
@ 두릅나무과 @
@ 두 충 과 @
@ 때죽나무과 @
@ 마전과 @
@ 마편초과 @
@ 멀구슬나무과 @
@ 매자나무과 @
@ 메꽃과 @
@ 목련과 @
@ 목화나무과 @
@ 목마황과 @
@몰식자충과@
@무환자나무과@
@ 물레나물과 @
@ 물푸레나무과@
@ 박주가리과 @
@ 박쥐나무과 @
@ 백악수과 @
@ 백합과 @
@ 버즘나무과 @
@ 버드나무과 @
@ 범의귀과 @
@ 벼과 @
@ 벽오동과 @
@ 보리수나무과 @
@ 뽕나무과 @
@ 사군자과 @
@ 산수유과 @
@ 석류나무과 @
@ 소귀나무과 @
@ 소나무과 @
@ 소태나무과 @
@ 송라과 @
@ 아욱과 @
@ 야자나무과 @
@ 오미자과 @
@ 옻나무과 @
@ 용뇌향과 @
@ 운향과 @
@ 위성류과 @
@육두구과@
@ 으름덩굴과 @
@ 은행나무과 @
@ 이나무과 @
@ 인동과 @
@ 자금우과 @
@ 자작나무과 @
@ 장미과 @
@ 조록나무과 @
@ 주목과 @
@ 지치과 @
@ 진달래과 @
@ 차나무과 @
@ 참나무과 @
@ 측백나무과 @
@ 칠엽수과 @
@ 층층나무과 @
@ 콩과 @
@ 팥꽃나무과 @
@ 포도과 @
@ 피나무과 @
@ 현삼과 @
@ 협죽도과 @
@ 호초/백화채과 @
@ 홀아비꽃대과 @
@ 황양과(黃楊科) @
@ 회양목과 @
[[그외 본초]]
@ 버섯류 @
▼
갈적색털점균과
거미줄종지버섯과
고약버섯과
곰보버섯과
광대버섯과
구멍장이과
국수버섯과
굴뚝버섯과
귀버섯과
귀신그물버섯과
균핵버섯과
그물버섯과
깃싸리버섯과
깜부기병균과
꽃구름버섯과
꽃송이버섯과
꾀꼬리큰버섯과
꾀꼬리버섯과
끈적버섯과
난버섯과
느타리과
독청버섯과
동충하초과
두건버섯과
둘레그물버섯과
딸기점균과
마른버짐버섯과
말뚝버섯과
말불버섯과
@ 매각균과 @
먹물버섯과
먼지버섯과
멜랑코니스과
모래밭버섯과
목이과
못버섯과
무당버섯과
미분류과
바구니버섯과
바퀴버섯과
발사과
방귀버섯과
방망이싸리버섯과
방먼지과
방패버섯과
배꽃버섯과
버짐버섯과
벚꽃버섯과
불로초과
붉은목이과
산그물버섯과
산호점균과
살갗버섯과
소나무비늘버섯과
소똥버섯과
소혀버섯과
송이버섯과
수수깜부기병균과
술잔버섯과
싸리버섯과
아교버섯과
안장버섯과
알버섯과
어리알버섯과
연지버섯과
외대버섯과
우단버섯과
육좌균과
입술버섯과
자루먼지과
자주색솔점균과
잔나비버섯과
장내먼지과
좀목이과
좀주름찻잔버섯
주름버섯과
주발버섯과
찐빵버섯과
차거버섯
찻잔버섯과
창싸리버섯과
체먼지과
치마버섯과
컵버섯과
콩꼬투리버섯과
콩나물버섯과
턱수염버섯과
털고무버섯과
포자분말버섯과
활먼지과
흰목이과
@ 짐승류 @
▼
@ 개과 @
@ 고슴도치과 @
@ 고양이과 @
@ 곰과 @
@ 낙타과 @
@ 다람쥐과 @
@ 두더지과 @
@ 말과 @
@ 멧돼지과 @
@ 바다사자과 @
@ 박쥐과 @
@ 사슴과 @
@ 사향노루과 @
@ 소과 @
@ 원숭이과 @
@ 족제비과 @
@ 쥐과 @
@ 천산갑과 @
@ 청솔모과 @
@ 코끼리과 @
@ 토끼과 @
@ 곡식(穀部) @
▼
마맥도류(麻麥稻類)
양조류(釀造類)
@ 새(조류]) @
▼
@ 가마우지과 @
@ 가면올빼미과 @
@ 갈매기과 @
@ 검은머리물떼새과 @
@ 군함조과 @
@ 고양이과 @
@ 굴뚝새과 @
@ 긴꼬리딱새과 @
@ 까마귀과 @
@ 까치딱새과 @
@ 꼬리치레과 @
@ 꾀꼬리과 @
@ 꿩과 @
@ 나무발발이과 @
@ 납부리새과 @
@ 논병아리과 @
@ 느시과 @
@ 도둑갈매기과 @
@ 도요새과 @
@ 동고비과 @
@ 동박새과 @
@ 되새과 @
@ 두견이과 @
@ 두루미과 @
@ 딱새과 @
@ 딱다구리과 @
@ 때까치과 @
@ 뜸부기과 @
@ 매과 @
@ 멧닭과 @
@ 멧새과 @
@ 명매기과 @
@ 물까마귀과 @
@ 물꿩과 @
@ 물떼새과 @
@ 물총새과 @
@ 바다오리과 @
@ 바다제비과 @
@ 바람까마귀과 @
@ 바위종다리과 @
@ 박새과 @
@ 백로과 @
@ 비둘기과 @
@붉은머리오목눈이과@
@ 사다새과 @
@ 사막꿩과 @
@세가락메추라기과@
@ 수리과 @
@ 숲제비과 @
@스윈호오목눈이과@
@ 슴새과 @
@ 쏙독새과 @
@ 아비과 @
@ 알바트로스과 @
@ 얼가니과 @
@ 여새과 @
@ 오리과 @
@ 오목눈이과 @
@ 올빼미과 @
@ 장다리물떼새과 @
@ 저어새과 @
@ 제비과 @
@제비물떼새과@
@ 종다리과 @
@ 지빠귀과 @
@ 직박구리과 @
@ 찌르레기과 @
@ 참새과 @
@ 칼새과 @
@ 파랑새과 @
@ 팔색조과 @
@ 할미새사촌과 @
@ 호사도요과 @
@ 황새과 @
@ 후투티과 @
@ 휘파람새과 @
@ 양,파충류등 @
▼
@ 개구리과 @
@ 도마뱀과 @
@ 두꺼비과 @
@ 뱀과 @
@ 충부(蟲部) @
▼
난생류
꿀, 벌등
충류
@ 어류 @
▼
@ 거북이&자라과 @
@ 갑각류 @
@ 민물류 @
@ 바다류 @
@ 조개류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
[책(冊)]]상경(上經)
상경자료(上經資料)
[책(冊)]중경(中經)
중경자료(中經資料)
[책(冊)]하경(下經)
하경자료(下經(資料)
쉼 터
▼
채근담
소녀경 등...
명심보감
동의보감(東醫寶鑑)
▼
집례(集例)
역대의서(歷代醫書)
인용도서목록
@내경편 (內景篇)
▼
ㅡ신형(身形)
ㅡ정(精)
ㅡ기(氣)
ㅡ신(神)
ㅡ혈(血)
ㅡ 꿈[夢]
ㅡ목소리[聲音]
ㅡ언어(言語)
ㅡ진액[津液]
ㅡ담음(痰飮)
ㅡ5장(五臟)과 6부..
ㅡ간장(肝臟)
ㅡ심장(心臟)
ㅡ비장(脾臟)
ㅡ위부(胃腑)
ㅡ폐장(肺臟)
ㅡ신장(腎臟)
ㅡ담부(膽腑)
ㅡ소장부(小腸腑)
ㅡ대장부(大腸腑)
ㅡ방광부(膀胱腑)
ㅡ3초부(三焦腑)
ㅡ포(胞)
ㅡ충(蟲)
ㅡ오줌[小便]
ㅡ대변(大便)
@외형편(外形篇)
▼
머리[頭]
얼굴[面]
눈(眼)
귀[耳]
코[鼻]
입과 혀[口舌]
이빨[牙齒]
인후[咽喉]
목[頸項]
등[背]
가슴(胸)
젖(乳)
배(腹)
배꼽(臍)
허리(腰)
옆구리(脇)
피부(皮)
살(肉)
맥(脈)
힘줄(筋)
뼈(骨)
손(手)
발(足)
머리털(毛髮)
생식기(前陰)
항문(後陰)
@잡병편(雜病篇)
▼
천지운기(天地運氣)
병의 원인을 찾는 방법(審病)
병증을 가리는 방법(辨證)
맥을 보는 방법(診脈)
약을 쓰는 방법(用藥)
구토시키는 방법(吐)
땀을 내는 방법(汗)
설사시키는 방법(下)
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燥)
화(火)
곽란( 亂)
구토(嘔吐)
기침(咳嗽)
적취(積聚)
부종(浮腫)
창만(脹滿)
소갈(消渴)
황달(黃疸)
학질( 疾)
온역(瘟疫)
사수(邪수)
옹저(癰疽)
여러 가지 창종(諸瘡)
여러 가지 외상(諸傷)
해독(解毒)
구급(救急)
괴상한 병(怪疾)
잡방(雜方)
부인병(婦人)
어린이병(小兒)
@탕액편(湯液篇)
▼
탕액편 서문(湯液序例)
물(水部)
[도감(圖鑑)]등]
화부(火部)
[도감(圖鑑]등]
흙(土部)
[도감(圖鑑)]등]
곡식(穀部)
[도감(圖鑑)]등]
새(禽部)
[도감(圖鑑)]등]
짐승(獸部)
[도감(圖鑑)]등]
물고기(魚部)
[도감(圖鑑)]등]
벌레(蟲部)
[도감(圖鑑)]등]
과실(果部)
[도감(圖鑑)]등]
채소(菜部)
[도감(圖鑑)]등]
풀(草部)
[[도감(圖鑑)]등]
나무(木部)
[도감(圖鑑)]등]
[옥(玉)/개(介)[도감(圖鑑)]]
[도감(圖鑑)]등]
돌(石部)
[도감(圖鑑)]등]
쇠돌(金部)
[도감(圖鑑)]등]
인부(人部)
[도감(圖鑑)]등]
@침구편(鍼灸篇)@
▼
침과 뜸(鍼灸)
@ 대한민국약전등 @
▼
대한민국약전등
@ 본초정보 @
▼
개규약(開竅藥)
거풍습약(祛風濕藥)
공독살충지양약
구충약(驅蟲藥)
발독화부생기약
보허약(补虚药)
사하약(瀉下藥)
소식약(消食藥)
수삽약(收澁藥)
안신약(安神藥)
온리약(溫里藥)
용토약(涌吐藥)
이기약(理氣藥)
이수 삼습약
지혈약(止血藥)
청열약(淸熱藥)
평간 식풍약
해표약(解表藥)
화담지해평천약
화습약(化濕藥)
활혈화어약
그외....
@500종본초(현대)@
@ 본초 서적 @
▼
본초강목(本草綱目)
본초신편(本草新编)
본초숭원(本草崇原)
본초종신(本草從新)
본초촬요(本草撮要)
식감본초(食鑒本草)
신농본초경백종록
약정(藥征)
약정속편(藥征續編)
진주낭보유약성부
탕액본초(湯液本草)
@ 경락&경혈&한의학 @
▼
手太陰肺經
手陽明大腸經
手少陰心經
手太陽小腸經
手少陽三焦經
手厥陰心包經
足厥陰肝經
足少陽膽經
足太陰脾經
足陽明胃經
足少陰腎經
足太陽膀胱經
任脈
督脈
帶脈
衝脈
陰蹻脈
陽蹻脈
陰維脈
陽維脈
五輸穴
혈위&경락등
한의학
@ 중의정보 @
▼
기본이론지식
내과학(內科學)
중의기초이론
명의(明醫)
@ 황제내경, 난경 @
▼
황제내경. 소문(素問)
황제내경. 영추(靈樞)
소문현기원병식
소문병기기의보명집
소문식(素問識)
@ 방론(方論)/의론(醫論) @
▼
고대방중비방
박제방(博濟方)
보제본사방
보행결(輔行訣)
석실비록(石室秘錄)
섭천사의안정화
약증기의(藥證忌宜)
외과전생집(外科全生集)
의방고(医方考)
의원(醫原)
의방론 (醫方論)
의학종중록(醫學從眾錄)
의학충중참서록(醫學衷中參書錄)
유유집성(幼幼集成)
임증지남의안
장씨의통(張氏醫通)
중풍론(中風論)
천금요방(千金要方)
편작심서(扁鵲心書)
헌기구정론(軒岐救正論)
@ 그외...@
▼
만밀재(萬密齋)
여과보감(女科寶鑒)
여산당유변(侶山堂類辯)
온열론
의학계원(醫學啓源)
주량춘용약경험집
@ 방제 정보 @
▲
한방100방/고찰
[백두산 본초]
폰앨범
이미지 보기
동영상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