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예화플라워꽃배달
 
 
 
카페 게시글
플로리스트 강좌 스크랩 꽃꽂이의 경향및 분류
베리아 추천 0 조회 57 06.07.12 19:45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13. 꽃꽂이의 경향 및 분류

1) 사실 경향 : 식물 본태의 자연성과 개성을 되도록 그대로 살려 재현해 봄

2) 비사실 경향 : 식물의 자연성보다는 단지 하나의 소재로만 보고 처리하는 경향

3) 초현실 경향 : 보편적인 꽃꽂이의 개념에서 벗어나 그림이나 조각의 세계에 보다 가까워지려는 경향. 특징은 OBJECT를 사용

오브제 : 어떤 물체가 그 본래의 용도나 가치, 의미를 떠나서 우리들의 감각을 자극하여 잠재의식을 불러 일으켜 주는 물체로서 쓰이는 것

예) 고목, 뿌리, 돌맹이, 쇠붙이, 그 밖의 모든 이물질

* 비사실은 자체 내부에서 일어난 경향

* 초현실은 외부에서 일어난 경향

 

14. 꽃의 형태와 구성법

1) 꽃의 4가지 형태

① Line Flower

    선의 꽃을 말한다. 한 줄기에 여러 가지 꽃이 이삭 모양으로 된 것으로서 화형(Design)의

    골격이 되는 꽃이다.

② Mass Flower

    덩어리 꽃을 말한다. 여러 개의 꽃이 한 덩어리로 된 크고 둥근 형태의 꽃으로 Design 할

    때 라인과 Flower의 중간 역할

    예) 국화, 다알리아, 장미, 카네이션, 수국

③ Form Flower

    형태의 꽃을 말한다. 크고 개성적인 꽃으로 Design 할 때 눈에 잘 띄기 때문에 point 역할

    을 하는 꽃

④ Filler Flower

    자잘한 꽃을 말한다. 한줄기에 많은 꽃이 붙어 있는 것으로 선과 Mass의 공간을 매꿔 주

    거나 율동감이나 색감을 부드럽게 해 주는 역할

    예) 소국, 스타치스, 마가리트, 안개

2) 구성법

꽃은 4가지 형태를 사용하여 원칙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성한다.

① 라인 Flower로 조형의 Outline을 만들고

② 그 안쪽에 Mass Flower를 꽂는다.

③ 그 다음 Point에 From Flower를f 꽂고

④ 이들 꽃의 공간에 Filler Flower를 메워 완성한다.

 

15. 자유화란?

지금 내가 어떠한 것에 의해서 받은 감명을 자기 자신의 감각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주관에 바탕을 두고 만들어진 것

- 초목이외의 것도 소재로 하여 각 가지의 조형이 시도

    결론 : 현대에 완전 융화된 조형미로서 다양한 환경안에 살고 그리고 호소하는 영향주는 꽃꽂이로 꽂는 사람과 보는 사람과의 마음을 맺음으로서 인생의 삶과 시대사조에 밀착되어 발전.

- 자유화의 특징

창작성 즉, 꽂고자하는 꽃을 아무런 제약이나 구속없이 스스럼 없이 자유롭게 꽂을 수 있다는 점

(1) 형식을 가진 꽃꽂이 : 화재 자체의 아름다움이나 그 배후에서 보는 자연관이 표현의 중심

(2) 자유화 : 꽂는 사람의 마음이 중심, 표현도 가능, 화재는 작품구성의 주동적이 아니라 組材로써 그칠 수도 있다.

또 식물의 전체로 사용되는 경우와 부분으로 사용도 가능

- 제작상의 경향

(1) 생활 꽃꽂이 : 생활 환경적 경향

(2) 예술 꽃꽂이 : 조형 미술

1) 표현의 경향과 분류

① 자연적 표현

② 외장적 표현

③ 상징적 표현

④ 추상적 표현, 초현실적 표현

① 자연적 표현 : 사실적이라고도 함, 또는 형상적 표현, 자연의 생육질서에 기초하여 있는

    그대로의 아름다움 또는 그와 유사한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것(자연적인 미)

② 의장적 표현 : 흔히 형상 또는 외장이라는 말이 많이 쓰임. 장식적인 꽃꽂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자연의 미가 아닌 별개의 미(美)로 표현, 어떤 모습 형(形)이나 무늬, 그리고 색채등

    에 가공된 특수한 고안, 즉 디자인을 말하는 것.

    꽃에 의한 디자인이라고 볼 수 있다. 자연적인 미가 장식적인 미로 바꾸어 지는 것

③ 상징적 표현 : 자연적인 표현에 대응하는 표현으로 꽂아진 주제로 하여금 사물을 연상

    케함.

    예 : 비둘기가 평화를, 붉은 색이 정열을, 십자가가 그리스도를 상징

④ 추상적 표현 : 예술계의 추상이란 1910년경부터 일어난 예술사조로 자연적 형태의 유사

    (類似)나 모방은 예술의 본질이 아니라고 하여 추상적인 선, 빛깔, 면, 미들 구성, 즉 감각

    에 구성되는 표현. 스페인 화가 피카소는 "여러분은 새소리를 즐겁다고 느낄 것입니다.

    그렇다고 해서 그 새의 말을 아십니까? 말은 모르지만 그 지저귐의 즐거움만 알면 그것으

    로 만족합니다."라고

⑤ 초현실적 표현 : 추상적 표현과 만찬가지로 현실을 초월한 무의식의 세계나 현실과 비현

    실, 명상과 행위가 서로 교차하고 혼합하여 창조되는 표현, 즉 부분 부분은 사실적이면서

    도 그 결합에 있어서는 현실에 없는 것, 환상적 드릴.

    예 : 천당, 지옥 근대의 슐리어리스트(Surrealist) 표현으로 독톡한 소재의 결합에 의해서

    현실의 세계를 초월한 공상이나 환상을 표현하려는 것.

- 자유화의 아이디어

① 소재 : 현존하는 식물이어야 하며 그 미나 신기한 모습을 작품의 제작 동기로 한다.

② 화기 : 물을 담는 그릇으로 그치는 게 아니라 소재와 조화(調和)를

③ 환경 : 놓는 장소에 따라 달라야

④ 내용 : 이 작품으로 무엇을 주장할 것인가 또 어떻게 구상하고 표현하는가

2) 자유화의 기본형

자유화에도 어떤 미의 질서를 찾아볼 수 있으며 그 형이나 From이나 조형적인 Style의 원칙을 지니고 있다.

① 기본형

  * 벽면 이용 : 입체상적인 형태로 벽면의 입체로서의 Relie 혹은 base로 되는 종이나 골판

                      지 등에다 집착구성

  * 공간 이용 : 동(東)을 수반하는 mobil, 꼴라쥬(collage)

     - 수직 형태 : 상하로 방향성을 가진 직립하는 형태

     - 수평 형태 : 좌우로 방향을 잡는 형태

     - 경사 형태 : 경사된 상하로서의 방향을 잡는 형태

     - 수직, 수평, 경사, 복합형태

3) 자유화의 구성법

① 대칭적 구성 : 대칭적 구성은 좌우같은 형, 색 질감에 의해 구성, 움직임이 적어 정적이고

    엄숙한 느낌을 준다.

② 비대칭적 구성 : 비대칭적 구성은 좌우의 이질성을 선명하게 나타내는 구성, 좌우관계가

    대조(對照), 대립(對立), 대비(對比)의 contrast를 이룬다. 따라서 서로 부각(浮刻)되고 강

    조되는 것이다.

③ 병렬적 구성 : 소재를 병렬적으로 배치하는 구성인데 이 구성은 일정 방향으로 이행(移行)

   하기 때문에 단조로워서 한가함을 느끼게 하거나 리듬감이 나타나진다.

④ 구축적 구성 : 소재를 겹겹이 쌓아 올리거나 꾸며 낮추는 듯이 구성하지만 집적(集積)의 결

    과로 개개의 형이나 색은 전혀 다른 성질로 변하여 다양한 변화가 표현된다.(오아시스를

    중심으로 꽂는다.)

⑤ 방사적인 구성 : 중심부에서 바깥으로 향해 외측에로의 동세가 강하게 느껴진다.(자연의

    소재가 가진 확산적 성질)

⑥ 집중적 구성 : 중심부로 집중하는 구심적인 구성이다. 역감(力感) 응축감이 나타나기 때문

    에 참신한 미의 표현이 가능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