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고전한문동락회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周易12~20卦(玄圃子 李相) 18괘 산풍고괘(山風蠱卦, ䷑ )10. 爻辭효사-上爻상효, 小象소상
이상숙 추천 0 조회 94 21.07.26 20:42 댓글 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1.07.26 21:44

    첫댓글 詩經시경 白駒백구 四章사장 章六句장육구 중

    4章.
    1) 皎皎白駒(교교백구): 깨끗하고 깨끗한 흰 망아지가
    2) 在彼空谷(재피공곡): 저 빈 골짝에 있으니
    3) 生芻一束(생추일속): 생 꼴 한 다발을 주니,
    4) 其人如玉(기인여옥): 그 사람이 옥과 같도다.
    5) 毋金玉爾音(무금옥이음): 그대의 음성을 금옥처럼 여겨서
    6) 而有遐心(이유하심): 멀리하는 마음을 두지 말지어다.

  • 작성자 21.07.26 21:45

    ○賦也라 賢者 必去而不可留矣하고 於是에 歎其乘白駒入空谷에 束生芻以秣之하니 而其人之德이 美如玉也라
    蓋已邈乎其不可親矣라 然이나 猶冀其相聞而無絶也라 故로 語之曰 無貴重爾之音聲하야 而有遠我之心也라 하니라 (白駒 四章)

    ○부라. 어진 자가 기필코 가서 가히 머무르지 않고 이에 그 흰 망아지를 타고 빈 골짝에 들어감에 (찾아가서)
    생 꼴 한 다발 묶어서 써 말에게 먹이니(먹이면서 보니) 그 사람의 덕이 옥과 같이 아름다움을 탄식하도다.
    대개 이미 멀리하여 그 가히 친하지 못함이라.

    그러나 오히려 그 서로 듣고(소문이라도 듣고) 끊어짐이 없음을 바램이라.
    그러므로 말하기를 그대의 음성만을 귀중히 여겨서 나를 멀리하는 마음을 두지 말지어다 하니라. 백구4장이라.
    * 秣 : 말 먹일 말.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