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라이언쌤과 자격증 경영하기-회계,세무,ERP,물류,유통,아파트
 
 
 
카페 게시글
시험정보 자료실 스크랩 회계원리 입문
김윤수강사 추천 2 조회 1,717 17.12.31 01:06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회계란→ 기업들이 회계정보이용자에게 회사의 정보를 전달하는것

                 (주주,거래처,채권자,은행등) (유용한회계정보)(재무보고→재무재표)

*회계의 목적? 재무상태(재무재표), 경영성과(손익계산서)

 

*회계의 종류

⑴이용자의 영리성 유•무에 따른 분류

①영리부기: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에서사용, 복식회계사용

②비영리부기: 영기를 목적으로 하지않는 가계나 학교,관공서등, 단식회계사용

 

⑵기록•계산하는 방법에 따른 분류

①단식부기: 손익의 계산이 필요없는 곳에서 사용, 예)현금출납장

②복식부기: 대부부의 기업들이 적용하는 정규의 부기 방법 예)기업회계기준[서]

           *기업회계기준[서]:기업들이 회계처리를 할 때의 일정한 법

⑶정보이용자

①재무회계 :기업의 외부정보이용자 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계

②관리회계 :기업의 내부정보이용자 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회계

③세무회계 : 부가가치세,법인세,소득세등


*회계단위? (=회계주체) 장소적범위 예)회사명

*회계연도? (=회계기간) 기간적범위 예)2007년1월1일~2007년 12월31일

            상법상 회계연도는 1년을 초과하지 못한다.

               기초 : 회계연도가 처음 시작하는 날

               기말 : 회계연도가 끝나는 날

               전기 : 앞 회계연도

               당기 : 현재 회계연도

               차기 : 다음 회계연도

               전기이월 : 전기에서 당기로 넘어오다

               차기이월 : 당기에서 차리고 넘어가다  


        1/1(기초)---------상반기---------6/30--------하반기------------12/31(기말)

↤----|----↦

전기-----><------------------------당기(회계연도)----------------------><----차기




*회계의 목적

⑴기업의 재무상태 파악  자산, 부채, 자본   ⇨ 재무재표 (B/S)

⑵기업의 손익 계산 수익, 비용   ⇨ 손익계산서 (I/S, P/L)


차변

대변

자산

부채

 

자본

  자본등식 --- 자산-부채=자본

차변

대변

비용

수익

  재무상태표 등식 --- 자산=부채+자본

*대차평균의 원리 : 대변의 합과 차변의 합은 같다(복식회계의장점,저기검증기능)

  총비용+당기순이익=총수익

  총비용=총수익+당시순손실


⒈기업의 재무상태 파악

 

 

⑴자산

기업이 경영활동을 위하여 소유하고 있는 각종 재화(재산적 가치가있는 물건, 재물+화폐)나

채권(돈 받을 권리)


•유동자산 : 자산은 1년 기준으로 1년 이내의 자산

당좌자산 : 

재고자산 ⇒ ‘상품’ (판매목적으로구입)

•비유동자산 : 자산은 1년 기준으로 1년 이상의 자산

투자자산 :

유형자산 ⇒ ‘비품’ (영업목적으로 구입)

무형자산 :

기타비유동자산 :


*재고자산과 유형자산의 비교*

가구를 가구회사인(A회사)에서 구입할 경우 ⇒ ‘상품’ (판매를 목적으로 하므로)

가구를 일반사무실(B회사)에서 구입할 경우 ⇒ ‘비품’

땅을 부동산회사인(A회사)에서 구입할 경우 ⇒ ‘상품’ (판매를 목적으로 하므로)

땅을 일반회사(B회사)에서 건물신축으로 구입할 경우 ⇒ ‘토지’

자동차를 자동차영업소(A회사)에서 구입할 경우 ⇒ ‘상품’

자동차를 일반회사(B회사)에서 영업이용목적으로 구입할 경우 ⇒ ‘차량운반구’


*자산의 계정과목*

 

현금: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지폐(통화)와 주화, 통화대용증권(자기압수료등)

       자산 중 유동성(현금전환)이 제일 크고, 그만큼 분실위험도 크다

당좌예금: 목적?수표발행, 당좌예입하다

          예) 저축예입⇒‘저축예금’

              보통예입⇒‘보통예금’

          동점발행수표(타인,다른회사에서 받은 수표 ⇒계정과목‘현금’)

          당점발행수표(나,우리회사에서 발행한 수표 ⇒계정과목‘당좌예금’)

 

현금 및 현금성자산? 현금+당좌예금+요구불예금의 통합계정

*현금성자산? 취등당시 3개월 이내 정기예금,정기적금

예) 만기2개월 ⇒ ‘현금성자산’

      만기 6개월 ⇒ ‘단기금융상품‘

      만기 2년 ⇒ ‘장기금융상품’

*요구불예금? 만기가 없으면서 입출금이 바로 가능한 예금(보통예금,저축예금)

 

단기금융상품: 만기가 1년 이내의 은행에서 판매하는 정기예금,정기적금

단기매매증권(⇐유가증권:가치가있는증서)  회계상:주식,사채,국채,공채

: 1년이내 처분할 목적으로 주식,사채,국채,공채를 구입 투자(이익)목적으로 구입

단기투자자산? 단기금융상품+단기매매증권+단기대여금의 통합계정 (투자목적)

외상매출금: 상품을 매출하고 외상으로 한 경우

받을어음: 상품을 매출하고 약속어음으로 받은 경우

매출채권: 외상매출금+받을어음의 통합계정

미수금: 상품이 아닌물건(토지,건물등)을 매각처분하고 외상으로 한 경우

선급금: 상품을 매입하기로 하고 상품대금의 일부를 미리지급한 금액(자산)

상품: 판매를 목적으로 외부로부터 매입한 물품

재고자산: 판매를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제품

토지: 영업용으로 땅을 구입한 것

건물: 영업용으로 사무실, 창고 등을 구입한 것 (설비자산)

차량운반구: 영업으로 트럭, 승용차, 오토바이 등을 구입한 것

비품: 영업용으로 책상, 의자, 금고 등을 구입한 것


              <채권>-------------------------------------------<채무>

상품에          ┌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대한           │ 받을어음                                          지급어음│

외상거래        └ 미수금                                            미지급금┘

               ------------------------------------------------------

상품이 아닌 것에┌대여금   현금대여, 차입                              차입금┐

대한 외상거래  └선급금    계약금,착수금                              선수금┘


                         가구(상품)

         Ⓐ ⇄ Ⓑ

               외상시증서 ①차용증서,각서,신용카드 ②어음


①차용증서,각서,신용카드 ⇒ ‘외상매출금’, ‘외상매입금’

②어음 ⇒ ‘받을어음’, ‘지급어음’


⑵부채? 갚아야할 채무(빛)

 

•유 동 부 채: 1년기준 1년이내의 부채

•비유동부채: 1년기준 1년이상의 부채


*부채의 계정과목*

 

단기차입금: 단기간(1년이내) 현금을 빌릴 경우

외상매입금: 상품을 매입하고 외상으로 한 경우

지 금 어 음: 상품을 매입하고 약속어음으로 발행한 경우

매 입 채 무: 외상매입금+지급어음의 통합계정

미 지 급 금: 상품이 아닌물건을 구입하고 외상한 경우

선   수   금: 상품을 매출하고 상품대금의 일부를 미리 받은 금액(부채)

장기차입금: 장기간(1년이상) 현금을 빌릴 경우


⑶자본,  순자산,순자본

 

자본등식 ••••  자산 - 부채 = 자본


⑷재무상태표(S/F,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일정시점에서의 재무상태

재무상태표등식(=자산등식)  자산 = 부채 + 자본

대차평균의원리: 대변의 합과 차변의 합이 같다.


⑸당기순손익 계산

재산법 •••• 기말자본 - 기초자본 = (+)당기순이익

                                  (-)당기순손실



⒉기업의 손익계산


⑴수익, 자본의 증가


*수익의 계정과목*

 

상품매출이익: 상품을 원가 이상으로 매출하였을 때 생기는 이익

이자수익: 단기대여금, 은행예금에서 생기는 이자를 받을 때

임  대 료: 건물, 토지 등을 빌려주고, 집세 및 지대(토지사용료)를 받을 경우

수수료수익: 용역 등을 제공하거나 상품판매 중개 역활을 하고, 수수료를 받을 경우

(단기매매증권처분이익): 주식, 사채 등의 단기매매증권만을 원가 이상으로 처분하였을 때

단기투자자산처분이익

유형자산처분이익: 건물, 비품, 토지 등의 유형자산을 원가 이상으로 처분하였을때 생기는 이익 유형자산(고정자산:건물,토지,비품,차량운반구:영업목적)

잡이익: 영업활동 이외에서 생기는 금액이 적은 이익


⑷비용, 자본의 감소

 

*비용의 계정과목*

 

상품매출손실: 상품을 원가 이하로 매출하였을때 생기는 손실

이자비용: 단기차입금에 대한 이자를 지급한 경우

임  차 료: 건물, 토지 등을 빌리고 집세 및 지대(토지사용료)를 지급한 경우

수수료비용: 용역을 제공받고, 수수료를 지급한 경우

급      여: 종업원에서 월급을 지급한 경우 (생산직: 임금, 사무직: 급여)

여비교통비: 택시요금, 버스비, 시내출장비를 지급하는 경우

통  신  비: 전화요금, 우편(우표)요금, 인터넷 사용료 등

수도광열비: (수도+광열)수도,전기,가스 등에 사용되는 비용

소모품비: 사무용장부, 볼펜 등을 사용할 경우

          (자산처리⇒소모품(저장품), 비용처리⇒소모품비(저장품비)

세금과공과: 제산세,자동차세(세금), 상공회의소 회비,적십자 회비(공과금)을 지급할 경우

보험료: 화재 보험료 및 자동차 보험료 등을 지급할 경우

광고선전비: 상품 판매를 위하여 지급되는 TV,신문의 광고선전비용

운반비: 상품 매출시 발송비, 짐꾸리기 비용을 지급할 경우

수선비: 건물, 차량운반구, 기계장치 등의 수리비를 지급할 경우

잡비: 신문구독료, 잡지구입 대금을 지급할 경우(최근엔 도서인쇄비로 처리함), TV시청료

단기투자자산처분손실: 주식,사채 등의 단기매매증권만을 원가 이하로 처분하였을때                      생기는 손실

유형투자처분손실: 건물,비품,토지 등의 유형자산을 원가 이하로 처분하였을때 생기는 손실

잡손실: 영업활동과 관계없이 생기는 적은 손실(도난손실)

복리후생비: 우리회사직원들의 복리목적으로 지출 예)축의금,회식비등

접대비: 거래처 직원들을 위한 목적으로 지출

기부금: 무상으로 기부할 때 예)불우이웃돕기성금등


⑸손익계산서(I/S)


손익계산서등식 ••••  총비용+당기순이익=총수익

                    총비용=총수익+당기순손실

손익계산서방법 (손익법) ••••  총수익 - 총비용 = (+)당기순이익

                                               (-)당기순손실


*순손익의 계산방법 2가지

재산법 •••• 기말자본 - 기초자본 = (+)당기순이익

(재무상태표상)                     (-)당기순손실

손익법 ••••  총수익 - 총비용 = (+)당기순이익

(손익계산서상)                  (-)당기순손실


*당기순이익은 순익계산서의 차변(비용란)에 기입하고,

 당기순손실은 순익계산서의 대변(수익란)에 기입한다.


⒊거래

 

*거래란:  2인이상이 금전이나 물건을 교환하는 것

        ⇒자산,부채,자본,비용,수익에 변화를 가져올때

 

*거래의 종류

①회계상의 거래: 자산,부채,자본,비용,수익에 변화를 가져올때, 분개처리하며,

                 이익이나 손실이 발생한다. 예)건물화재손실,도난

②회계상의 거래가 아닌 경우: 자산,부채,자본,비용,수익에 변화가 없을 경우,

                            분개처리 하지않으며, 이익이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예)교환,주문,직원채용,계약,상품보관,담보설정등


차   변

대   변

자산의 증가

자산의 감소

부채의 감소

부채의 증가

자본의 감소

자본의 증가

비용의 발생

수익의 발생

              *거래의 8요소*


 

 

 

 

*거래의 이중성 ⇒ 차변과 대변의 동일한 금액이 발생한다.

*대차평균의 원리 ⇒ 차변의 합과 대변의 합은 같다

     대차평균의 원리 ⟩ 거래의 이중성


*거래의 종류

⑴손익에 따라

①교환거래 ⇒ 자산, 부채, 자본만 발생

②손익거래 ⇒ 차변 이나 대변중에 비용이나 수익 발생

③혼합거래 ⇒ 교환거래나 손익거래가 동시에 발생

⑵현금수지(수입과지출) 에 따라

①입금거래 ⇒ 현금이 들어왔을때 예) 현금XX /  ▭

②출금거래  ⇒ 현금이 나갔을때 예) ▭ / 현금XX

③대체(외상거래) ⇒ 현금이 없다 예)▭ / ▭


⒋ 계 정 (a/c account)


계정의 형식

 

 

                현     금 (계정과목)



          ↳  계정계좌, 계정 ↵


+ (잔액)

-

 

-

+ (잔액)

               자산,비용                                         부채,자본,수익

 

⒌ 분개와 전기

*분개: 계정과목 금액 / 계정과목 금액

 

*분개의 절차

①거래가 회계상의 거래인가를 확인

②현금거래일 경우 수입(현금xx/▭)

                  지출(▭/현금xx)

  외상거래일 경우 ⇒ 거래 8요소

③차대변요소에 구체적인 계정과목을 정한다

④각 계정에 기입될 금액을 결정한다.


*전기: 분개한것을 계정에 옮겨 적는 절차

 

*전기의 절차

①차대변에 분개된 금액을 기입하다

②날짜를 기입하다

③상대편 계정과목을 기입한다.(단, 상대편 계정과목이 둘 이상이면 ‘제좌’라고 기입한다)


*정기예금,정기적금

만기3개월이내 현금성자산

만기1년이내 단기금융상품

만기1년이상 장기금융상품

*출자하다 ⇒ ‘자본금‘

*수표를 받을때 ⇒ ‘현금’

수표를 발행할 때 ⇒ ‘다좌예금’

* 연속된 거래일경우 나중에 발생한 거래로 회계처리함

 

*외상대금(상품관련)

“지급” 외상매입금, “수취” 외상매출금

*신용카드로 결재하다 ⇒ 외상거래

*운임회계처리방법

①매입시⇒원가에 산입 (자산처리)

②매출시⇒운반비 처리 (비용처리)

 

*거래: 분개장에 계정과목과 금액을 기입한다.

       총계정원장(각계정의장부)에 계정과목별로 기입한다.

       시산표를 작상하며 총계정원장이 맞는지 확인한다.


⒍장 부

             분개      전기          결산

거래발생분개장총계정원장       재무상태표,손익계산서

                 ↳  주 요 부 ↵

           ↳   각 종 의  보 조 부   ↵


⒎시산표

 

시산표,  T/B 전기가 정확하게 되었는가를 검사하기 위하여 작성하는 계정 집계표

시산표의 종류 ①합계시산표: 각 계정의 차변합계액과 대변 합계액을 집계하여 작성

              ②잔액시산표: 원장 각 계정의 잔액을 산출하여 작성하는 시산표

               기말자산+총비용=기말부채+기초자본+총수익------시산표등식

차변

계정과목

대변

 

자산⇀부채⇀자본⇀수익⇀자본

 

....

합 계

...

                                T/B


 

 

        ↳         차변과 대변의 합계는 일치하여야 한다        ↵

 
다음검색
댓글
  •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8.02.03 22:01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