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HIS IS TOTAL WAR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ETW: Academy 엠파이어 토탈워의 등장 세력인 러시아입니다.
타메를랑 추천 0 조회 3,804 08.12.10 12:14 댓글 3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12.10 12:19

    첫댓글 국기가 참 간지나네요 ㅇㅅㅇ저 독수리가 비잔틴 제국을 이어 받은 쌍두 독수리임?

  • 작성자 08.12.10 12:20

    네, 그렇다고 하네요.

  • 08.12.10 13:49

    이글헤드 중앙에는 모스크바 공국 문장도 있습죠

  • 작성자 08.12.10 14:17

    용을 죽이는 성기사 조지(게오로기스)라고 하더군요.

  • 08.12.10 12:23

    왜케 멋지죠??

  • 08.12.10 13:45

    우라!(러시아어로 만세)

  • 08.12.10 23:53

    오 러시아러까지 굿

  • 08.12.10 15:37

    하지만 현실은 사기최하와 최약체의 군대... 오로지 숫자와 물량뿐.. 유럽의 짱개라고 할수있죠 ㅋㅋ

  • 08.12.10 18:37

    짱개는 최소한 중화사상이란걸 만들만큼 강성하기라도 했죠.. 러시아는... ㅠㅠㅠ 지못미... 군복도 칙칙한 누더기 초록색 이더만 으흐흐흑 ㅠㅠ

  • 08.12.12 21:46

    유럽의 짱개는 프랑스 아닙니까?

  • 09.02.24 09:59

    유럽의 짱깨라하면 역시.. 프랑스..

  • 09.07.13 02:17

    러시아는 곰이죠. 불곰이든, 북극곰이든~

  • 08.12.10 18:24

    로마의케사르//1차대전과 헷갈리신건 아니신지?

  • 08.12.10 18:26

    1차대전후 적백내전에서도 물량으로 밀어붙었고 2차대전의 대조국전쟁에도 물량 우라 돌격으로 이겼지요

  • 08.12.10 18:39

    뭔소리세요...ㅋㅋ; 러시아의 군대의 위용은 크림전쟁, 나폴레옹 전쟁 등등 수없이 많죠 ㅋㅋ 대부분 러시아가 이긴 전쟁은 물량의 힘이죠.. 나폴레옹 전쟁도 물량으로 대폴란드 전쟁때도 물량으로..ㅋㅋ 솔직히 러시아의 영토가 독일정도만 됬어도 그저그런 약소국이였음은 확실햇을것... 다만 거대한 영토의 인구와 물량 때문에 승리 ㅋㅋ 대부분 러시아가 이긴 전투를 보면 러시아의 압도적인 군대 수 때문이죠..

  • 08.12.10 18:44

    가장 대표적으로 발라클라바 전투 때도 300명의 영국 기병대에게 4000명의 기병대가 휩쓸렸잖아요 ㅋㅋ 다만 그당시 영국군 카디건 경의 활약으로 이기긴 했지만요 ㅋㅋ

  • 08.12.10 23:54

    흠 전문적이네요 허샤 물량도 그리 많지는...현인구가 2억안대는디..

  • 09.03.22 23:13

    양은 곧 질이다 - 스탈린 - 너무나 러시아에게 어울리는 ㅋㅋ;

  • 08.12.10 19:39

    러시아육군의 최대강점이 물량인건 사실이나 사기최하와 최약체란건 어디서 근거하신건지? 러시아의 증기롤러라고 들어보셨는지 모르겠으나 러시아 육군이 당나라군대여서 보로디노에서 그러한 용전을 펼쳤나요? 더구나 대나폴레옹전쟁에서 러시아가 물량의 힘으로 이겼단건 무슨소린지 모르겠습니다. 프로이센 보병의 군기, 프랑스 보병의 백병전과 함께 높이 평가받는것이 러시아 보병의 인내였습니다.

  • 08.12.11 09:05

    러시아의 대나폴레옹전쟁에서 숫자에서 불리했던 적은 딱 한번밖에 없죠...나폴레옹의 러시아 원정때 말이에요.. 그것도 광활한 영토로 도망다니면서 게릴라전으로 이긴 전투고.. 나폴레옹 2차전쟁,3차전쟁,4차전쟁때 모두 러시아는 압도적인 숫자에도 불구하고 처참한 패배를 하고 말았죠...;

  • 08.12.11 09:17

    그리고 어느 나라 군대건 용맹했을 때가 있죠...; 심지어는 저 유명한 이탈리아의 군대도 레판토 해전에선 커다란 명성을 떨쳤잖습니까.. 그냥 평균적으로 러시아 군대의 전투가 대부분 졸전이였다 그런거죠.. 역대 러시아가 참전한 거대한 전쟁만 봐도...몽고의 점령,나폴레옹 전쟁 대부분의 전투 패배 결국 게릴라전으로 겨우 승리,크림전쟁 패배, 러일전쟁 패배, 1차세계 대전 패배만 계속하다 결국 혁명으로 몰락, 2차 세계 대전 전체 사망자의 절반을 차지하는 2000만명 희생자 배출 등....말이죠...; 세계 강대국으로 호령했던 영국,프랑스,미국,독일 등에 비하면 완전 최악의 군대이죠..

  • 08.12.11 09:21

    거의 이긴 전쟁들은 압도적인 숫자와 광활한 영토로 이긴 전쟁밖에... 만약 러시아가 시베리아에 깃발을 꼽고 다니지만 않았어도... 분명히 폴란드, 세르비아 등과 같은 약소국이 됬었을건 틀림없죠...

  • 08.12.10 21:52

    1차대전때 러시아군은 좀 엉망이었다지만 서부전선에 파견된 러시아군은 꽤 잘 싸웠다고 하네요 ㅋ; 그리고 그당시 러시아군의 문제는 무능했던 몇몇 지휘관들때문이 아닐까요? ^^;;; 1차대전 직전의 러시아 국방장관은 확실히 문제였지요;;;

  • 09.01.20 18:39

    러시아는 1차대전까지도 내전이 심했지요. 혁명이니 뭐니 했으며 그것보다 빈약한 보급품

  • 08.12.11 11:43

    로마의케사르//나폴레옹의 대육군을 상대로 졸전한건 러시아만 유일한것 마냥 말씀하시네요. 다른 유럽열강들은 나폴레옹으로부터 연전연승을 거뒀나 보지요? 상대가 몽고군이었던것과 1차대전등은 예외로 하겠으나 크림전쟁은 노,불,영 3국모두 민망한 싸움을 펼쳤으며 다만 오히려 러시아는 요새에 웅거한 농성에 있어서 세계최강으란 명성을 얻기에 충분하였습니다. 러일전쟁또한 전투의 내막을 살펴보면 본국에서 7000km가까이 떨어진 전장에서 매 회전마다 일본군에게 심대한 손실을 강요하였으며 흑구대에선 일본군을 붕괴직전까지 몰고간것이 그 실상입니다. 물론 그 승기를 매번 놓치게 된건 쿠로파트킨의 판단미스가 한몫 했지만요.

  • 08.12.11 11:50

    2차대전또한 서전의 대참패를 극복하고 세계최강이라 할만한 독일군을 실력으로 격파한것은 소련 아닌가요? 쪽수만 많았지 님의 말씀대로 사기최하에 최약체였으면 1차 대전꼴이 났을것 아닙니까? 하다 못해 거지군대라 할만한 1차대전에서도 오스트리아군을 붕괴시킨것은 러시아였습니다. 거듭 말하지만 러시아 육군의 강점이 쪽수인건 맞으나 그렇다고 허접군대는 아닙니다. 그리고 마지막줄의 쓸데없는 가정은 왜 하신건지 모르겠네요.

  • 08.12.11 21:03

    캡틴 하록님 왜이리 공격적이고 과민반응을 하시는지 이해할수없습니다. 눈을 찌푸리게되는군요

  • 08.12.11 21:04

    한가지 확실한건 2차대전의 구소련은 꽤나 활약을 펄쳤다는거죠..

  • 08.12.12 11:45

    원래 캐틴 하록님 같은 분들이 꼭 있음...; 무슨 말하면 열폭해가지고 신경질적으로 덤벼들고..;저번에도 무슨 글 올렸다가 열폭해가지고 거의 시비조로 말하는 인간 한명 있더군요..; 그냥 저런 네티즌 분들은 대답할 가치를 못느낌; 그냥 그러려니 합니다...;; (짜증이 머리끝까지 올라오지만 ...;)

  • 08.12.12 21:48

    동시에 일리있는 리플 내용도 있었죠. 솔직히 케사르님이 러시아를 너무 무시하시긴 한것같습니다만?

  • 09.10.11 14:31

    그 각자 호불호가 있기마련인데 뭣하러 중립인척하시며 먼저 선빵해놓고 빼시는지 모르겠네요. 인간이 되라라는말이 있지요 ㅋㅋㅋ 모르시겠다면 중립인척하는 쿨게이를 읽고오세요 ㅋㅋㅋ

  • 11.07.27 15:48

    케사르님도 만만치 않아보여요

  • 11.11.04 21:26

    저도 이해안가는게 케사르님이 ㅋㅋ 먼저신경 긁으셧네여 딱보니 ㅋㅋㅋㅋㅋㅋ

  • 08.12.12 12:20

    그런가요 ㅎㅎㅎ

  • 08.12.12 17:48

    이 때의 러시아 왕은 이반대제인가요? 아님 피터대제?

  • 작성자 08.12.12 19:05

    엠파이어 토탈워의 시작 시점이 1700년부터니까 이반 대제보다 훨씬 이후죠. 피터 대제 즈음이 아닐까요?

  • 08.12.13 23:39

    피터? 뾰뜨르?

  • 08.12.15 21:00

    네 표트르 대제입니다. 영어의 peter는 러시아어로 Пётр뾰뜨르 맞습니다

  • 09.02.24 19:06

    1차대전때 러시아 군대는 삼소노프와 레제노프 사령관의 과거 불화때문에 서로간의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아 꽤밀렸는데......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