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아미타파 (광명의 물결)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신행문답 / 열린토론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인가? ---종교포럼---
正牧 추천 1 조회 475 15.03.02 17:58 댓글 36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5.03.02 18:59

    첫댓글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_()()()_

  • 15.03.02 19:33

    자각의 종교이냐 무지의 종교이냐의 차이가 아닌가 합니다.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 15.03.02 22:02

    감사합니다.고맙습니다.나무아미타불 ()()()

  • 15.03.02 22:31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인 것이다. (원효 일심정토 사상)

    일심 광명 화신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15.03.02 22:36

    감사합니다.

    일심 광명 화신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 15.03.02 23:05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15.03.02 23:55

    불교는 깨달음의 종교인가?...
    불교는 부처님의 지혜를 믿고 안심을 얻어
    세계와 인간의 존재방식과 근본을 이해하고
    위로 지혜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교화하며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 동체대비를 구현하여
    사상의 자유와 삶의 자유를 얻는 종교다

    일체경계 본래일심
    일체 인연에 감사드립니다
    감사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15.03.03 04:36

    일심 광명 화신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아미타파

  • 15.03.03 07:20

    이 세상에서 깨달으신 분은 오직 위대하신 부처님 한 분 뿐이십니다.
    불교는 불법을 바르게 배워서, 바르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실천 하면서,
    나와 남에게 이익이 되고 더 나아가서는 모든이에게 보살행을 실천하는거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수행법으로든지 참된 진리의 말씀을 조금이라도 깨달았다면 몸소 실천하여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한국불교에서는 출가스님들께 그다지 큰걸 요구하지 않습니다.
    세속은 말 그대로 수행의 현장입니다.
    출가를 해야만 수행이 되는건 아닙니다.
    세속에서의 수행이 더 힘들수도 있습니다.
    훌륭하신 스승님께 바르게 배워 바르게 살아간다면
    언제 어디서나, 사상과 삶의 자유를 얻을수 있습니다. _()()()_

  • 15.03.03 07:16

    불교는 부처님의 지혜를 믿고 안심을 얻어
    세계와 인간의 존재방식과 근본을 이해하고
    위로 지헤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교화하며
    일심의 근원에 돌아가 동체대비를 구현하여
    사상의 자유와 삶의 자유를 얻는 종교다.

    일심 광명 화신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

  • 15.03.03 07:49

    일심 광명 화신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15.03.03 08:13

    감사합니다.

    일심 광명 화신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 15.03.03 08:49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 15.03.03 09:50

    감사합니다
    아미타 아미타 아미타 ()()()

  • 15.03.03 10:17

    감사합니다.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15.03.03 10:28

    진여의 체험인데, 그것이 밖으로 드러낼때, 스님마다 다르니, 주관성이 농후하죠 ,주관성울 객관적으로 논하기도 모호하죠 ,나오는 거룩한 행으로 짐작할수 밖에요 아미타불

  • 15.03.03 10:36

    일심 광명 화신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15.03.03 10:52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15.03.03 11:46

    일심 광명 화신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아미타불 아미타 아미타파_()()()_

  • 15.03.03 12:23

    길지 않은 내용속에서,종교.<불교<깨달음의 정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잘 표현해주신거 같습니다,
    재가자로서 불교를 어떻게 학문적으로 보고 ,또 실용적이면서도 종교의 본질을 퇴색하지 않을수 있는지에 대해서
    집약적인 설명도 좋았습니다.


    보리분법(菩提分法, ssk. bodhipak?a dharma) .--깨달음의 정점뿐 아니라 수행의 전 과정
    한국 불교가 반드시 재고할 부분입니다.
    수행(과정)이 깨달음의 실현에 필수적인 조건이라는 대목은 -돈오에서 점차적으로...
    재가자의 일차적 목표 -정정취에서 초지보살에도 도전하는...결국은 생산적인 道이어야함을..
    조목 조목 짚은 내용을 함께 생각할 수 있게 글을 올려주신 스님께 감사드립니다,

  • 15.03.03 12:53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 15.03.03 13:15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 15.03.03 13:51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15.03.03 13:56

    깨달음이란 언어 자체가 우리에게 범접할수 없는의미로 다가오며
    불교를 어렵게 이해하게 했습니다.
    큰스님의 호칭과 함께 따라다니는그분들의 깨달음은
    우리와는 전혀 다른곳의 정신세계로
    알아들을수 없는자신들만의 특권인 깨달음으로 불교를 만들어 버린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시대의 깨달음을 가지신분은
    우리들의 근기와 시대흐름에 맞는 가르침으로 인도하시는 분이실것입니다.
    불교는 분명 부처님의 지혜를 믿고 안심을 얻어
    사상의 자유 삶의 자유를 얻어야하는 깨달음의 종교가 맞습니다.
    스님의 가르침을 받아 불교를 바르게 공부하고 있음에 감사드립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 15.03.03 15:31

    조성택 교수가 발표한 오만과 편견: 불교는 께달음의 종교인가? 강연 전문을 읽고

    정목 스님께서는 부처님의 지혜 총지를 이해시키고 교학을 중심으로 신행 체계를 통해 신심 안심 발심으로
    부처님의 지혜를 깨닫는 근기에 맞는 방편이 지관을 통해 통찰의 힘을 얻어 범부각 상사각 수분각 구경각(부처의 경지) 정정취, 초지 보살, 팔지 보살 부처의 경지, 무분별지 공 무상 비유비무 지혜로 깨달음을 증득하여 일체 경계는 본래 일심의 일심 사상 삼신의 지혜 불교는 인식을 초월하지 않고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다며 깨달음의 경계를 말로 표현하여 설하신다. 범부도 관심만 가지면 이해를 한다. 서구의 오리엔탈리즘도 불식시킬 수 있다.

  • 15.03.03 15:21

    물은 얼마든지 분석해서 과학적으로 물리적으로 분석할 때까지 분석하여 물에 관해서 설명할 수 있고 이해시킬 수 있으나 물맛을 아는 것은 말로 되는 것이 아니라고 하며 깨달음의 경계는 어떤 현상이 일어난다. 삼매가 깊어졌을 때 어떤 현상이 일어난다고는 말로 다 할 수 있는 것이며 말로 할 수 없는 것을 부처님이 어떻게 일체중생을 제도 할 수 있겠습니까. 인식과 상식을 벗어나지 않는다고 쉽게 예를 들어 설명하시는 정목 스님 자연히 예배드립니다.
    조성택 교수님의 오만과 편견의 염려는 가득하지만, 대안은 요원하다.
    부처님 총지를 이해하여 일체 경계 본래 일심인 일심 사상의 삼신의 지혜로 정토와 사상의 자유와 삶의 자유다

  • 15.03.03 14:41

    깨달음이 불교를 알든 모르든 근기가 낮던 높던 이 모든 사람들에게 멀리 있는것이라면 그것은 오직 그 개인의 깨달음일뿐이다 깨달은이가 있다면 그 누구를 막론하고 소통이 되야한다고 본다
    그런데 한편에서는 깨달음을 포장하거나 범부가 근접하기 어려운 위치에 올려놓고 현실과 먼 세계의 말만 늘어 놓는다
    종교란 우리의 정신적 의지처라 본다 그러니 우리 삶에 함께 할 수 있는 실질적이고 이해 가능한영역으로 들어와야한다
    깨달음이란 저 멀리 있는게 아니라 부처님 지혜를 배워나가는과정에서 내 삶가운데 크게 작게 알게 모르게 나와 함께 하고 있는것이다
    깨달음을 확대해서 너무 크게 멀게 놓고 본다면 요원한게 아닌가 ?

  • 15.03.03 14:57

    일심 정토사상은 이런 면에서 깨달음의 세계를 끌어다 우리의 현실가운데 함께 살아가게 하니 살아 숨쉬는 부처님의 가르침이라 본다
    불교의 궁극의 가르침인 일심사상을 통해서만이 서로가 서로를 배려하고 이해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세상을 만들거라 본다
    이 일심 정토사상을 함께 할 수 있으니 참으로 묘하고 감사할 일이다
    우리에게 원효 성사의 사상이 있고 정목스님이 계심에 큰 힘을 얻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일심광명화신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 15.03.03 19:36

    감사합니다
    일심광명화신아미타아미타아미타()()()

  • 15.03.03 20:11

    일체경계는 본래일심이다.
    일심을 미혹하여 모든 물결을 일으키고 육도에 유전한다.
    육도의 물결을 일으키지만 일심의 바다를 벗어나지 않는다.
    일심을 믿고 알아 일심으로 향해가고,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 동체대비를 구현하여,
    일심정토를 이루는 것이 불교의 진실한 뜻이다. (白松 正牧스님)

    일심.광명.화신.아미타!
    모든 인연의 은혜에 감사하고 보은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 15.03.04 04:13

    < 무상정등각의 깨달음에서부터 대승보살의 서원인 ‘발보리심’(發菩提心, ssk. bodhicittotpada)으로서의 '‘깨달음’ 그리고 『대승기신론』에서와 같이 시각(始覺)의 네 단계로서 범부각(凡夫覺), 상사각(相似覺), 수분각(隨分覺), 구경각(究竟覺)과 같은 수행과정의 단계적 깨달음이 있다. 열반 혹은 해탈도 일종의 깨달음. 최종적인보리분법(菩提分法, ssk. bodhipak?a dharma) 즉 깨달음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설명하고 있다. 보리분법의 깨달음이란 수행의 최종적 정점만이 아니라 수행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것이다. > 바른 불교의 방향을 위해 분투하는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일심광명화신나무아미타()

  • 15.03.04 05:24

    일심 광명 화신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아미타불 아미타 아미타파 ()()()

  • 15.03.04 12:18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

  • 15.03.04 12:37

    일심광명화신
    감사합니다아미타아미타아미타아미타아미타아미타아미타

  • 15.03.04 16:26

    감사드립니다.

    일심광명.
    아미타 아미타 아미타..()()()

  • 15.03.13 12:44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