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ak9Cafe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공룡님의 방 Jurassic Room 써본 애들 중 가장 좋았던 블레이드들
공룡 추천 0 조회 1,671 23.06.13 12:59 댓글 3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3.06.13 13:38

    첫댓글 역시 공룡님~~ 크레앙가카본과 아이스크림azxi가 어떤 점이 좋으셨는지 여쮜봐도 될까요? 전 크레앙가카본이 너무 딱딱하게 느껴져서 영~ 적응이 안더라고요.

  • 작성자 23.06.13 14:00

    제 취향이죠.^^
    크레앙가카본은 일단 멋있었고ㅋ
    프리모라츠카본 구조에 탐카5000 대신 ULC를 넣은 거라 전체적인 타구감이 부드럽고 컨트롤이 좋았습니다.
    히노끼카본으로서는요.^^
    아이스크림AZXi는 프로버전을 좋아하는데 파워손실 없이 부드럽게 휘청이며 잡아서 강하게 쏘아 던져주는 캐터펄트 파워가 일품이라서요.

  • 23.06.13 15:06

    1000종.... 하하 대단하시네요 지금 소장한 라켓은 몇종이나 될까요...???

  • 작성자 23.06.13 16:03

    저는 특별히 소장하는 걸 중요시 하진 않아서 그 때 그 때 다 팔거나 주고^^ 지금은 몇 십 자루 남아있네요.

  • 23.06.13 17:51

    혹시 이너alc 블레이드에 디그닉스 09c 붙여보셨나요?
    허리케인롱5 블레이드에 네오허3 붙인 것과 유사한 결과가 되는 건지는 모르겠지만요.

  • 작성자 23.06.13 18:07

    점착 쪽은 안 쓴 지 한 20년 된 것 같네요.^^
    힘이 딸려서리..ㅋ

  • 23.06.13 18:26

    @공룡 넵. 그 조합이 항상 궁금해서 여쭤봤습니다.

  • 손이 작은 저는 버터플라이 켄타 마츠다이라 ALC를 좋아합니다. 그것도 손잡이를 갈아서 좀 더 얇게 해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습니다만, 손재주가 없어서 (그리고 약간의 게으름때문에) 그냥 마음만...

  • 작성자 23.06.13 20:47

    국내에 계시면 제가 해드릴 텐데..
    굵은 사포를 띠처럼 길게 잘라서
    그립에 딱 맞게 감고 슥슥 돌리세요.
    아래위로 옮겨가면서 돌리면서 잡아보고 돌리면서 잡아보고.^^
    저는 줄로 슥슥 갈지만ㅎ 처음 하시는 분들은 이 방법이 좋습니다.^^

  • @공룡 아하! 그런 방법이 있군요. 7월에 여름 휴가 다녀와서 (또 게으름...) 사포 한 장 사서 해보겠습니다.

  • 23.06.13 22:43

    저는 처음 시작할때 사용한 안드로 키네틱 올+가 특히 기억에 남네요. 너무 콘트롤이 좋았던 기억이... 다시 사용해보고 싶지만 지금 기억엔 너무 안나갈거 같아서

  • 작성자 23.06.13 22:58

    좋았죠.^^
    지금 쓰기엔 안 나가겠지만
    또 얇은 오겹 아직 쓰는 사람도 꽤 있으니 러버 조합만 잘 하면 전진에서 쓰기엔 충분할 수도..ㅎ

  • 23.06.13 22:44

    지금 주력인 프리모락카본이 너무 마음에 듭니다. 벌써 1년 넘게 안바꾸고 사용중이네요

  • 작성자 23.06.13 23:00

    프카에 맛들이면 벗어나기 힘들죠.^^
    저도 아마 개체 수만 따지면 프카를 제일 많이 샀던 것 같네요.
    열 몇 자루는 더 산 것 같은데.^^
    제게는 애증의 목판입니다.ㅋ

  • 23.06.14 07:37

    공룡님~혹시 가레이디아(버터플라이)도 사용해보셨나요?! 아직 사용 전이라 궁금하네요~^^

  • 작성자 23.06.14 08:26

    그 시리즈는 써보지 않았습니다.^^
    슬슬 탐구열이 식어갈 때 출시된 애들이라..ㅋ

  • 23.06.14 09:18

    이글로 사이버 쉐이프에 도전하고 싶음이 ㅠ
    현재 프리모락 카본 사용중인데(라켓 94g/ 러버 양면 84g(킬러 익스트림/베가 코리아) 총 178g)
    사이버 쉐이프 무게를 러버 부착 고려시 몇그람을 하면 될까요?
    총 무게는 175g 정도로 맞출려고 합니다.

  • 작성자 23.06.14 09:46

    아마 80 중후반대로 하시면 될 거예요.
    86~88 사이 쯤.
    제가 비슷한 조합인데
    킬러프로 1.5와 파스탁C-1 특후를 사이버쉐이프 82그람 개체에 조합해서 168~9 나오거든요.

  • 23.06.14 10:29

    @공룡 네 감사합니다.~

  • 23.06.24 13:50

    중펜은 허하오2 ^^;;;

  • 작성자 23.06.24 13:55

  • 23.06.27 14:00

    제가 요즘 숏핌플 백핸드로 딱딱 때리는거에 맛 들리고 있습니다. 왠지 채찍같은 바이올린이랑 어울릴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셔요?

  • 작성자 23.06.27 15:02

    바이올린도 숏하고 잘 어울립니다.
    전체적으로 잘 잡아주고 단단한 화이트애쉬 표층에서 스피드와 타구감과 변화(깔림)을 생성하죠.

  • 23.08.24 23:17

    저도 얼른 공을 잘 죽여서
    사이버쉐이프전면에.롱을 붙일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 작성자 23.08.24 23:25

    공격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아니, 아예 공격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롱핌플이 몇 종 있습니다.
    지금 쓰시는 388D-1은 오래전 출시된 중국산 롱 중 올라운드 플레이가 비교적 잘 돼서 중국선수들이 쓰는 것 뿐이고(페인트를 일본과 우리나라 선수들이 쓰듯이요) 실제로는 공격에 그다지 썩 어울리진 않죠.^^
    공격용 올라운드로 제일 좋은 건 사우어앤트뢰거의 몽키인데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구할 수 없고..
    국내 구매가 가능한 애들 중에서는 스펙터가 제일 좋을 겁니다.
    그리고 리벨리온도 공격용으로 설계된 롱입니다.
    스펙터와 리벨리온은 리베로스포츠에서 구입하실 수 있어요.

  • 23.08.24 23:30

    @공룡 핌플종류가 너무 많아서요
    러버는 변경할 엄두도 못내고 있습니다^^;
    기본기술 먼저 익히는게 우선이니까요...

    지금 롱격수용 코르벨이랑 평면용 오스카클래식 둘다 왔다갔다 하는데요
    반발력차이가 너무나서 고민입니다^^;

  • 작성자 23.08.24 23:33

    @슈미아빠 jw 어차피 롱은 전혀 다른 기분과 기본기를 요하기 때문에 반발력 차이는 날 수록 좋아요.
    오히려 비슷한 게 헷갈리죠.^^
    그래서 롱 쓰는 사람들은 최대한 덜 나가는 걸 찾기도 합니다.

  • 작성자 23.08.24 23:33

    @슈미아빠 jw 스펀지 있는 게 쓰기 더 헷갈립니다.
    OX 쓰셔야 평면하고 더 많은 차이가 나서 덜 헷갈리세요.

  • 작성자 23.08.24 23:36

    @슈미아빠 jw 칭이라고 있어요.
    만원 짜리 중국제 롱.
    388보다 덜 나가고 컨트롤 쉽고 공격 더 잘 돼요.
    그거 쓰시면 훨씬 편하고 평면과도 덜 헷갈리실 겁니다.
    위에 말씀드린 스펙터나 리벨리온은 그래도 좀 비싸니까 시험용으로는 아깝고.ㅎ

  • 23.08.24 23:47

    @공룡 전면은 아주 새로워서 문제가 아닌데요
    이면사용이 문제네요^^
    388d-1은 0.5m라 이질감이 없는줄 알았는데 아닌가봐요.. 그래스디텍스ox도 있는데
    칭ox을 구매해야겠군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 작성자 23.08.25 00:26

    @슈미아빠 jw 아, 이면의 반발력 말씀이셨군요.^^
    그것까지 생각해서 조합하려면 또 얘기가 달라지는데..ㅋ
    롱핌플 쪽에서 복잡해지면 진짜 엄청난 용품방랑에 접어들게 됩니다.
    평면러버 유저들의 방랑은 비할 바가 못돼요.ㅎㅎ
    그냥 롱 전면에 우선 최대한 익숙해지셔서 아예 그쪽으로 전향하실 마음이 굳어지거나 할 때 이면 쪽 보완을 위한 조합을 추천드리지요.^^
    그런 날이 올지, 온다면 몇 달 몇 년 후일지 모르겠지만요.
    코르벨에도 러버만 잘 고르면 충분히 이면 파워 나올 조합이 있을 텐데요.

  • 작성자 23.08.25 00:45

    @슈미아빠 jw 그라스 디 텍스는.. 저는 큰 메리트가 없다고 봅니다.
    우선 공격을 하는 올라운드용으로 잘 쓰기가 많이 힘들구요, 그 훌륭한 변화능력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블록용도로 백핸드에 사용하고 있어서 너무나 노출이 되어있어요.
    웬만한 고수들은 그라스 디 텍스의 특성을 다 알고 대처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많이 쓰지 않는 생소한 롱이나 변화가 덜한 롱이 더 헷갈릴 수 있지요.
    변화가 심한 건 눈에 보이거든요.
    잘 보이지 않는 은근한 변화가 더 상대하기 까다롭기에 숏이나 롱이나 사용자가 쓰기 편한 게 우선이 되는 겁니다.
    상대 실책으로 한 점 따도 내 실책으로 두 점 잃으면 지니까요.
    은근한 변화가 살짝 들어간 공을 실수 없이 꾸준히 넘기는 게 핌플 유저의 선택이어야 합니다.
    강력한 목판에 변화 심한 핌플 가지고는 높은 레벨까지 바라볼 수가 없습니다.
    자기 범실이 최소한인 조합 중에서 최대한의 성능을 찾아야죠.

  • 작성자 23.08.25 00:51

    @슈미아빠 jw 사이버쉐이프에 롱은 쓰기 어려울 겁니다.
    페인트OX라면 쓸 수 있겠지만 그 정도 롱은 굳이 쓸 가치가 높지 않구요.
    선수급의 컨트롤 능력이 되거나 매일 여러 시간 연습할 수 있다면 혹 몰라도 보통 실력의 아마추어들은 훨씬 안정적인 목판에 쓰기 쉬운 핌플을 쓰는 게 여러 모로 좋습니다.
    선수들도 롱을 전면에 쓰기 위해 안정적인 5겹합판을 찾는 이유가 있지요.
    신통이도 런록스5 쓰는데 그건 아발록스의 P500과 같은 목판으로 코르벨보다도 덜 나가는 애니까요.
    우선 쓰시는 코르벨에 러버만 좀 더 편한 롱으로 조합해서 많이많이 익숙해지시길 권합니다.

  • 23.08.25 07:25

    @공룡 좋은조언감사드립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