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뿌리아름역사동아리
 
 
 
 
카페 게시글
[뿌리아름]인용자료 스크랩 제국은 화려하지 않다 (4): 고구려 제국의 비용
麗輝 추천 0 조회 39 13.04.30 23:23 댓글 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3.04.30 23:49

    첫댓글 고구려의 성들 중 의외로 토축이나 토석혼축인 성들이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토축은 석축에 비해 축조기간이 길고 동원인력이 많지만 그만큼 더 견고하고 보수비용이 적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고구려는 산지가 많은 지형적 특성상 석성을 선호한 것도 있지만 말이죠. 암튼, 이런 것들을 고려한다면 고구려의 축성 작업에 동원된 인원은 상대적으로 더 많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기중기나 녹로와 같은 기계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높으므로(이미 공성무기를 제작해서 사용했으니) 그만큼 인원이나 비용이 적게 들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에 축성작업에 소요된 인원 계산은 좀 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 13.05.08 16:43

    '판축'인가 뭔가가 만만한 공정이 아니었군요, 나는 토축이 석성보다 원시적인 것으로 알고 있었네요. -- 역사초보.
    그러고보니 고구려 선조들은 저 바빌로니아 쪽 애들과 달리 전투장면에 대한 벽화나 기록화 같은 것이 없군요. 그런게 있다면 참 흥미로울 텐데 말이죠. 그런데 공성무기를 제작했다는 기록도 있나요?

  • 작성자 13.05.10 14:11

    토축이야말로 정말 대규모 인원이 동원된 작업이죠. 그래서 이른 시기 확인되는 거대한 규모의 제방들이 조사되면 이슈화되는 것일 겁니다. 전쟁기록화(혹은 전쟁기록 기념비)가 한국사에 부재하는 것에 대해서는 저도 상당히 의문을 갖고 있는 부분인데, 아직까지는 이렇다할 답을 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그러고보면 중국에도 별로 없고, 동아시아는 중동이나 유럽과는 달랐던 것인지...ㅎ 그나저나 공성무기를 제작했다는 기록은 없지만 사용했다는 기록은 있습니다. 그런 걸 보면 제작을 했을텐데, 그렇게까지 구체적으로 밝힌 자료가 없으니 여러모로 아쉬울 따름입니다. ^^;; ㅎㅎ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