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HIS IS TOTAL WAR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서양사 중세 유럽 서로마 제국 멸망의 진상
마법의활 추천 0 조회 1,733 08.02.22 12:03 댓글 14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02.22 15:13

    첫댓글 글쓰느라 수고하셨습니다!!

  • 08.02.22 18:22

    태어날 때를 잘못탄 황제탓 그리고 로마는 건국부터 멸망때 까지 청동기?

  • 작성자 08.02.23 10:49

    로마 건국이 거의 초기 철기 시대고 망한 때가 1453년인데 왠 청동기입니까....;;

  • 08.02.22 19:02

    근데 로마군이 섬처럼 군데군데 살아남았다는거는 무슨 말씀인가요? 브리타니아의 경우는 조금 이해가 갑니다만 이베리아 반도나 프랑스의 경우는 이해가 안 되네요... 그들은 6세기가 되기 전에 이미 프랑크족이나 서고트족에게 망한거 아닌가요?

  • 08.02.23 17:03

    갈리아의 경우 갈리아 내 로마세력이 수아송 왕국이라는 자체 세력을 구축, 제법 오래 살아남았지만 클로비스에게 멸망합니다. 이후 클로비스가 카톨릭으로 개종하면서 로마세력이 거의 흡수되죠.

  • 작성자 08.02.22 19:49

    롱기누스// 그렇지 않습니다. 여전히 구 로마군 장교들은 이제는 지방 실력자가 되어 나름의 세력을 유지했고, 명분이 필요했겠지만 여하튼 모두 프랑크 족장이나 서고트 족장들에게의 충성 맹세를 거부했습니다. 클로비스가 가톨릭으로 개종했을 때 이 로마군의 유장들이 클로비스에게 쏠리게 됩니다. 그럼으로써 클로비스가 경쟁자를 완전히 굴복시킬 여력이 생긴거죠. 유스티니아누스가 프랑크 왕국에게 공식적으로 갈리아 지방 통치권을 이양한 것도 사실은 그 이유때문입니다.

  • 08.02.22 20:22

    로마붕괴의 숨은 주역은 알란인의 습격

  • 작성자 08.02.23 10:49

    거의 영향을 끼친 바 없습니다. 대부분은 성공적으로 격퇴되었습니다.

  • 08.02.22 20:51

    문명의 붕괴를 쓴 유명한 서구 작가도 <- 설마 제레널 다이아몬드 말씀하시는 건가요? 그 책 개념책이던데 서로마 동로마에 대한 언급이 있었나? 못 본 걸로 기억하는 데..

  • 08.02.22 23:34

    영국의 조지프 A. 테인터가 쓴 문명의 붕괴도 있습니다. 이책에 로마 제국의 붕괴 원인도 나오지요. 다이아몬드 씨도 이 책을 언급한 걸로 봐서 이 분야에서는 꽤 유명한듯.

  • 08.02.22 23:15

    뒷부분은 이해가 안가네요.;;;; 김종필씨에 관한 애기부터 모르겠어요.

  • 08.02.23 12:50

    꽤나 공감이 가는 이야기입니다. 누가 되었든 로마제국의 체제의 시스템과 연속성을 계속 이어받았다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특히 그 시스템이 너무나도 아깝습니다. 전 자신의 제국에 도로망을 깔고 사회기반시설을 갖출 생각을 했다는 점 하나만으로도 로마제국은 찬탄받을만한 제국이라고 생각합니다.

  • 08.02.23 18:20

    제국들의 공통점이야 빠르게 도로 깔고 시설 갖추고 질서 확립 전문가 양성 등등...[이런 이건 완전히 문명4고수 플레이랑 똑같잖아 OTL]다 마찬가지지만 로마가 좀 오래가는 편쪽에 속해서 찬탄 받는 다는 게 더 맞는 말인 거 같군요.

  • 08.02.24 16:25

    단순히 도로와 사회기반시설이 있었느냐보다 로마제국만큼 현대에 못지 않는 촘촘한 도로망과 상하수도 시스템을 갖춘 국가는 거의 없었기에 찬탄받을만 하다고 생각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