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상대적이고 절대적인 지식의 백과사전
 
 
 
 

친구 카페

 
 
카페 게시글
인문/사회- 상식 신라 - serica ? , sinarum ?
prism 추천 0 조회 230 06.07.26 12:48 댓글 1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6.07.26 12:36

    첫댓글 그림이 안보여요.

  • 작성자 06.07.26 12:50

    맨위 링크 걸려 있습니다.

  • 06.07.26 13:24

    아 이제 보이네요.

  • 06.07.26 13:28

    그런데 저글에서 어느부분에 주목하라고 올리신거죠? 저지도가 누가 그런건지 설명이 되있다면 좋겠지만 누가 그렸는지 저 그림의 출처가 어디인지 모르겠군요. 이탈리아쪽에서 나온 지도인거 같은데. 저런 이론도 있다는걸 알려주고 싶으신건지 아니면 님이 저 주장을 지지하신다는건지. 그림은 처음보지만 저 이론 자체는 예전부터 나오것이군요. 한동안 안보이길래 버로우했나 했더니만.

  • 작성자 06.07.26 13:35

    http://www.henry-davis.com/MAPS/Ancient%20Web%20Pages/AncientL.html 제 의견이 궁금하신 이유를 모르겠는데요.. 굳이 밝히자면 지지보다는 소개쪽이구요.. 다른 의견들이 듣고 싶어 올린겁니다.. 그런데 계속 같은 분들이 같은 내용의 의견들만 올리시니...

  • 06.07.26 13:43

    흠...그런거군요. 그림자체는 뭐라고 할말이 없고 처음본 그림인지라. 다만 조선이 대륙에 있었다는 설이나 신라가 삼국통일 이후 대륙남부를 흭득했다는 내용은 허무맹랑 까지는 그렇고 침소봉대한것이 아닌가 싶군요. 그리고 그림만 보고 판단한다는건 좀 그렇죠. 15~16세기 유럽이라면 조선이나 중국이 재대로 알려진 상태도 아니고 서양인들이 동양에 대한 막연한 상상에 빠져있을무렵이니. 실제 중국을 방문한 선교사들이 그린 그림과 전혀 틀리다는걸 감안해야 겠죠.

  • 작성자 06.07.26 14:03

    저는 두번째 그림이 굉장히 관심이 갑니다. 북경에서 고려와 몽고의 만남이라.. 더군다나 몽고가 신하의 예를 갖추고 있는... 그리고 china 라는 이름이 언제부터 지도에 표기가 되었는지도 궁금하네요..

  • 06.07.26 16:26

    뭐. 저 글을 쓰신분이 넘겨 집기가 너무 심한면도 있고 자기가 잘모르는것도 확신을 가지고 주장하고 있군요. 글 여기저기에 헛점이 너무 많이 보이는지라 신기하긴해도 신빙성이 가지는 않습니다. 팔기병의 무기가 협박이었다는 말은 정말 압권이군요.

  • 06.07.26 19:47

    Sera 라는 명칭을 두고 신라가 어쩌구 하는 부분도 참 재미있네요. 비단을 뜻하는 단어인 Serica, 이걸 생산하는 나라를 Sericum 이라고 부른데서 유래한거죠. 뜬금없이 신라는 왜 나옵니까? 그런 명칭들이 비롯된 로마제국 시절엔 중국을 명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지만, 나중에 비교적 명확하게 티나이란 이름으로 알려지게 됩니다. 하지만 세리카와 티나이가 다른 나라인 줄로 착각을 했고, 이게 마르코폴로 시절까지 이어집니다. 기욤 드 뤼브룩이 바로잡기 이전까지.

  • 06.07.26 17:18

    멀쩡한 사서들 내팽개치고, 15세기까지조차 세리카와 티나이를 다른 지역으로 알고 있던 수준이던 서양의 지리개념으로 만들어진 지도들을 근거로 대륙조선설을 주장하다니. 몽고황제, 고려황제 운운하는 부분에서는 더욱더 실소를 금할 수 없습니다. Peking 이란 명칭부터가 몽골제국 시절엔 대도란 명칭을 썼으므로 절대로 나올 수 없는 명칭입니다. 당연히 명대 이후에 만들어진 지도이고 PROVINCIA PRIMA 는 경사(京師) 정도로 해석하면 간단한 것을 PROVINCIA 의 의미에만 초점을 맞추어서 멋대로 곡해하고 있네요.

  • 06.07.26 19:48

    그리고 몽골복장이 어쩌고, 고려복장이 어쩌구.. 사람이 한 명이니 통치자를 상징적으로 나타낸 것이라느니 하는 부분의 그림부터가 적당히 이미지들을 집어넣을 뿐인 부분입니다. 세계지도를 그리면서는 모퉁이에 바람의 신을 그리거나 하는 식이죠. 궁금하면 sinarum 이란 검색어로 구글에서 이미지라도 찾아보지 그럽니까? 개중엔 좌상단에 인디언같이 생긴 사람들이 그려진 중국지도도 있군요. 인디언들이 카누타고 건너와 중국을 정복했다는 증거라도 됩니까? 아니, 그 이전에 게시물의 하단의 그림이 서양인인걸 보면 마카오를 기점으로 포르투갈인들이 중국 전역을 정복하기라도 했던 모양입니다.

  • 작성자 06.07.26 18:22

    그럼 sina 는 신라와 전혀 상관이 없는건가요? sinarum 은 또 어떤가요?

  • 06.07.26 19:37

    sina 란 말이 정확히 어디에서 기원했는지는 이런저런 말이 많죠. 200~300년 전의 지명만 해도 상고하기가 어려운게 있는데, 천년도 더 전에, 원래 쓰던 말이 여러 민족을 거쳐 닳고 닳아 도착한 발음이 원래 뭐였을지 정확히 추적하는게 그리 쉬운가요? 위에 쓴 Serica 의 경우엔 서방에서 비단을 칭하는 단어로, 그리스-로마 인들의 저작을 통해 명확히 남아있기에 확신할 수 있는 부분이지만.

  • 06.07.26 19:42

    뭐, 진(秦)에서 유래했다는 말이 가장 널리 퍼져있고, 인도어에서 나왔다는 주장도 있고 하여간 이런저런 말들이 있죠. 참고로 시나와 진을 처음으로 연관지은 사람은 17세기 중반 중국에 왔던 카톨릭 사제였습니다. 그리고 sinarum 은 sina 를 다른 단어에 수식하기 위해 변형된 형태로 보입니다. Regnum Francorum 이라고 하면 프랑크왕국이고, Imperium Romanum 이라고 하면 로마제국이 되는 것처럼.

  • 06.07.26 20:16

    그건 그렇고 첫번? 지도를 좀 더 디벼보면, SERICA 와 SINARUM REGIO 는 나라를 지칭하는게 아니라 지역명으로 보이는군요. 국경도 표시되어있지 않고, 지도의 다른 지역을 봐도 나라 이름이라곤 생각하기 힘든데 뭘 근거로 청, 명, 조선 운운하고 있는지 도통 모를 일입니다. 그렇게 치면 시베리아 전체를 아우르는 SCYTHIA 라는 제국이 있던 거네요? 일본은 규슈만 따로 독립해있고. Serica 와 Sina 가 따로 표기된 이유는 위에 이미 써놓았구요.(기욤 드 뤼브룩은 위 지도가 만들어지기 300년 전의 사람입니다만, 지도 제작자는 그 사실을 무시했거나 중국을 남북으로 나누어 두 명칭을 지역명에 붙인 것 같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