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① 한국철도 (영업, 정책) 생각 정선선 제3섹터 회사에 대한 생각
GRail 추천 2 조회 847 12.03.23 22:49 댓글 18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2.03.24 00:31

    첫댓글 .........뭐, 상상이실 테니까요.

  • 12.03.24 00:40

    단량 디젤동차에 좌석으로 가득 태워도 60명이나 될까요? 음...
    그 인원 태워서 청량리~아우라지까지 디젤 기름값만 해도~~ ㅎㄷㄷ

    제천~아우라지도 기름값 대비 승객 수와 수익성은...

    차라리 버스회사 운영하는것이 훨씬 운영비가 적게 들고 배차나 노선도 유연할것 같습니다.

  • 12.03.24 00:57

    그 '마개조'의 영역에 전기+디젤 혼합... 즉 하이브리드 기능 장착까지 가능하다면,

    증산 - 여량(옛 명칭이 더 입에 익어서 그런가... 이쪽으로 표기하게 되네요 ㅎㅎ;; 양해해주세요.)은 팬터그래프 내리고 디젤로 운행하다가도 제천 - 증산 구간은 전기로 운행하는 식이라면 어떨까요. 이건 개발비가 더 들어가려나;

    무엇보다 본문의 취소선 부분이 정말 의미심장하지 말입니다. ;)

  • 12.03.24 01:08

    정선선은 제3섹터고 뭐고 전혀 가망이 없고(차라리 지금처럼 코레일에 맹장처럼 딸려있는 편이 생명유지엔...) 경북선 정도에 시도해볼 만한 방법인 것 같습니다.

  • 12.03.24 01:57

    가망이 있다고 쳐도 정선군이 돈이 없어요. 강원랜드가 정선에 있어서 강원도 군단위 중에는 최고 높은데 그래봐야 재정자립도 22%

  • 작성자 12.03.24 02:05

    역시 뭐든지 돈이 문제입니다 ㅜㅜ

  • 12.03.24 09:26

    정선선은 강원도의 보조금을 받아 운행되고 있죠. 문제는 정선군이 인구도 무지 적은데 강원도서도 오지에 속하는 동네죠. 정선은 버스 굴리기도 머한게 정선 도로도 그닥이거든요. 이걸 3섹터화 한다 해도 하려 하지 않을께 뻔합니다. 그나마 태백선이 지나고 강원랜드에 가까운 사북과 고한은 나은편이지만 정선선이 지나는 정선은 정말이지...

  • 12.03.24 10:11

    정선선의 경우는 그냥 솔직히 증산-아우라지 완행 노선만 제대로 이 상태에서 CDC로 보충해 줬으면 좋겠네요.

  • 12.03.24 10:59

    제천에서 왔다갔다하는 정선선 꼬마열차도 텅텅비는데요.;; 급행까지 굴릴일은 평생가도 없을겁니다.

  • 12.03.24 20:21

    디젤동차 기름으로 달리니까 유류비 비싸서 적자면치 못하겠네요..

  • 12.03.24 22:56

    일종의 원맨카네요. 이런 계획은 어차피 강원도 산골에서 흑자내려고 하는게 아닌이상 나쁘지는 않다고 보지만.... 간단히 말해서 연료비가 너무 비싼게 문제라 봅니다.

  • 12.03.25 00:40

    비용도 그렇고, 운영방식도, 유동인구도 그렇고.. 복잡한 문제로군요.
    저는 적어도 지역 관광 철도 연계 시스템을 개선하고 실현하였으면 어느 정도
    효과가 있고 지역경제의 원동력이 될수 있다는 것으로 찬성하는 생각하였습니다.

  • 12.03.25 21:54

    일본이라고 해도 장사가 잘 되는 지역은 도쿄나 케이한신 등 인구가 몰려있는 도시지역, 통근노선일 뿐, 제3섹터 회사들 거의 대부분이 적자이거나 자본잠식이 상당히 진행되서 오늘내일하는 판입니다. 원래 선로상태나 주변 환경이 좋지 못했기 때문에 무작정 떠맡긴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죠. 철도는 물론이고 주변 환경을 재정비하여 수요를 만들 수 있는 정부차원의 복합적인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 제3섹터가 무슨 뜻 인가요?

  • 12.03.30 21:22

    다나카 전 일본 총리가 처음 만들어낸 개념이라고 들었는데, 일본에서는 널리 쓰이는 방식입니다. 이 개념을 설명해주는 단어가 반관반민이죠.

  • 12.03.31 19:09

    더 깊게 말하자면 중앙정부나 철도회사(그 지역의 JR 회사)가 장사안되는 노선을 지자체에게 떠넘긴 셈이죠. 간혹 그 지역에서 원해가지고 맡게 된 경우도 있지만, 그렇다 해도 원래 장사가 안 되던 건 매한가지인데다 설상가상으로 자동차보급, 인구감소까지 겹치며 그나마 얼마 안되던 수요도 없어지는 바람에 경영상태가 더욱 악화되는 곳이 많습니다.

  • 12.03.26 22:14

    무겁고 연료 많이 나가는 통상적인 철도 차량 말고, 바퀴부분을 궤도에 맞게 개조한 버스를 도입해서 운행 하는건 힘든가요?(회차지점에 회차시설을 설치한다는 가정하에..)

  • 12.03.31 19:11

    비슷한 개념으로 레일버스가 있긴 합니다만 이런 차를 도입한 노선중에는 그만큼 경영이 어려워서 파행운영중인 곳이 많죠.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