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장경악 장개빈 통일자 경악전서 유경 유경도익 유경부익 질의록
 
 
 
카페 게시글
잡증모03 (16-18) 02. 증(證)을 논(論)하다
코코람보01 추천 0 조회 5 23.12.29 19:45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3.12.30 13:53

    첫댓글 모든 음식(飮食)으로 인하여 비(脾)를 상(傷)한 증(證)에는 한상(寒傷) 열상(熱傷)이 있고, 잠병(暫病) 구병(久病)이 있으며, 허증(虛證) 실증(實證)이 있다.
    열상(熱) 잠병(暫) 실증(實)의 경우는 사람들이 모두 쉽게 알 수 있지만,
    한상(寒) 구병(久) 허증(虛)의 경우는 사람들이 대부분 알지 못한다.

  • 작성자 23.12.30 13:55

    생랭(生冷)이나 과과(瓜果)로 위기(胃氣)를 상(傷)하여 사(瀉)나 이(痢)나 통(痛)의 류(類)가 되는데, 이를 화증(火證)으로 보고 한량(寒凉)으로 치료(治)하는 것은 한증(寒證)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우연히 정체(停滯)로 인하여 창(脹)이나 통(痛)이 되면, 사람들이 실(實)이라는 것은 모두 아느니라. 그런데 비위(脾胃)가 강장(强壯)한 자는 체(滯)하여도 쉽게 화(化)한다.
    화(化)할 수 없는 경우는 중(中)이 허(虛)한 증(證)이 매우 많으니, 따라서 먹지(:食) 않으면 배고픔(:饑)은 알지만 조금만 먹어도(:少食) 바로 창(脹)이 되거나, 혹 기(饑)하지도 포(飽)하지도 않아 전혀 음식(飮食) 생각이 나지 않거나, 혹 위(胃)가 허(虛)하여 구(嘔)를 겸하면서 복만(腹滿)하여 팽팽(膨膨)하거나, 혹 화(火)가 토(土)를 생(生)하지 못하여 시(時)로 식(食)하고 시(時)로 토(吐)하게 된다. 간혹 중기(中氣)의 불화(不化)로 흉후(胸喉)가 마치 막힌(:哽) 듯하니, 이는 본래 음식(飮食)의 체(滯)가 아니다. 또 간혹 병(病)으로 인하여 위기(胃氣)를 상(傷)하므로 오래도록 음식(食)에 대한 생각을 하지 않으니, 이는 중만(中滿)이 아니다.

  • 작성자 23.12.30 13:55

    위병(胃病)이 잠(暫: 잠시)하면 대부분 실(實)이고,
    비병(脾病)이 구(久: 오래)하면 대부분 허(虛)이다.

    시의(時醫)들은 사정(邪正)의 구(久)와 잠(暫)을 논(論)하지도 않고 개위(開胃) 소도(消導)하는 등의 방제(劑)를 쓰지(:用) 않는 경우가 드무니, 이는 허증(虛證)을 모르기 때문이다.
    비위(脾胃)의 직(職)은 원래 음식(食)을 소화(化)시키는 능력(能)이니, 지금 식(食)을 화(化)하지 못하면 그 능력(能)은 병(病)든 것이다. 그런데 오히려 극벌(剋伐)에만 전념(:專意)하여, 그 능력(能)을 해(害)하는 것인가?

  • 작성자 23.12.30 13:55

    병(病)을 치료(治)하려면 반드시 먼저 위기(胃氣)를 빌려야(:藉) 하니, 이는 약(藥)을 행(行)하는 주(主)가 되기 때문이다.
    만약 위기(胃氣)가 실(實)한데 그것을 공(攻)하면 거(去)하여 질(疾)이 늘 쉽게 나으니, 이는 위기(胃氣)가 강(强)하여 약력(藥力)을 쉽게 행(行)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위기(胃氣)가 허(虛)하면 그것을 공(攻)하여도 거(去)하지 않으니, 이는 약(藥)이 병(病)을 거(去)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위(胃)의 허(虛)로 근본(本)이 약(弱)한데 그것을 공(攻)하면 더욱 약(弱)하게 되어 약력(藥力)을 더욱 행(行)할 수 없기 때문이다.
    만약 구(久)하도록 그것을 공(攻)한다면 약(藥)을 행(行)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반드시 원기(元氣)가 더욱 상(傷)하여 병(病)은 반드시 더욱 심(甚)하게 되고, 그 기능(能)마저 전부 거(去)하여 반드시 죽게 된다.

  • 작성자 23.12.30 13:55

    체질(體質)과 귀천(貴賤)에도 특히 부동(不同)함이 있다.
    대개 여곽(藜藿 여곽: 명아주 잎과 콩잎. 곧 거친 음식.
    : 거친 음식)을 먹는 장부(壯夫)나 신폭(新暴)한 병(病)에는 마땅히 소벌(消伐)하여야 하니, 오직 속히 거(去)하는 것이 최선(善)이다.
    만약 약질(弱質)과 약병(弱病)의 경우에, 허실(虛實)을 고려(顧)하지 않고 대개(槪)로 속(速)히 공(攻)하는 치법(治法)을 시행(施)한다면 위(危)하지 않을 수가 없다.

  • 작성자 23.12.30 13:56

    一. 식(食)에 상(傷)하면 반드시 식(食)을 싫어한다.

    一. 평소(平素) 냉(冷)한 식(食)을 좋아하였으면 내(內)에 반드시 열(熱)이 많고, 평소(平素) 열(熱)한 식(食)을 좋아하였으면 내(內)에 반드시 한(寒)이 많다. 따라서 내(內)가 한(寒)하면 한(寒)을 좋아하지 않고 내(內)가 열(熱)하면 열(熱)을 좋아하지 않는다.
    그래서 열(熱)한 자는 한(寒)한 것을 즐기니(:嗜) 중한(中寒)이 자주 생(生)하고, 한(寒)한 자는 열(熱)한 것을 즐기니 내열(內熱)이 자주 생(生)한다.

  • 작성자 23.12.30 13:56

    一. 음식(飮食)으로 병(病)이 될 때, 대개 열(熱)에 상(傷)하면 대부분 화증(火證)이 되면서 정체(停滯)하는 것이 적고, 한(寒)에 상(傷)하면 정체(停滯)하는 것이 많으므로, 이는 전적(全)으로 화증(火證)이 아니다.
    대체(:大都)로 음식(飮食)의 상(傷)은 반드시 한(寒)한 음식물(物)로 인한 것이 대부분(:居多)이고, 온평(溫平)한 것이 그 다음이며, 열(熱)한 것이 또 그 다음이다. 따라서 이를 치료(治)하려면 그 원인(因)을 살피지 않을 수 없다.

  • 작성자 23.12.30 13:57

    병(病)이 이르는 것은 노권(勞倦)으로 인하거나 혹 풍한(風寒)으로 인하거나 혹 칠정(七情)으로 인하니, 병(病)의 발(發)은 예측(測)할 수 없다. 또한 창(脹)이 없고 체(滯)가 없는데 어찌 식(食)이 간섭(干)한 것이겠는가?

  • 작성자 23.12.31 06:33

    요약
    1. 비상증에는 한열 구잠 허실을 잘 분별해야 한다.
    2. 위기의 허를 잘 살펴라
    3. 체질과 귀천도 살펴라
    4. 음식상은 한 > 온평 > 열 음식물의 순서로 상하게 한다.
    5. 음식상은 노권 풍한 칠정으로 인한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