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청봉스님의 장군죽비
 
 
 
카페 게시글
금강경5가해 스크랩 75-1 금강경5가해 청봉선사강설 28. 法界通化分 第十九 (법계를 모두 교화함)
명심 추천 0 조회 17 14.04.24 13:26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금강경5가해75-1-1.zip

 

 

 

法界通化分 第十九 (법계를 모두 교화함)


 

 

圭峰:第十六斷福德例心顚倒疑니라 하되 向說心住顚倒되어 皆不可得이라하니 若如是이며 福德亦是顚倒이니 何名善法인가함을 斷之니라 文二이니 問福答福이라

규봉:16(疑斷) 복덕을 마음에 모두(例)하면 전도된다는 의심을 끊으신 것이다.

    論에 이르되 “앞에서 말씀한 마음이 뒤바뀌게 되면 이 모두 얻을 수 없다”고 하니 만약 이와 같으면 복덕도 또한 전도된 것이니 무엇을 이름하여 바른 법(善法)이라 하는가? 함을 끊어주신 것이다.

    글에 두 가지니 (1)은 복을 물으니 복으로써 답한 것이다.



須菩提於意云何인가 若有人滿三千大千世界七寶以用布施하면 是人以是因緣으로 得福多不하느냐 如是이니다 世尊이시여 此人以是因緣으로 得福甚多이니다.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보시한다면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써 얻는 복이 많다 하겠느냐?” “그렇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이 이 인연으로써 얻는 복이 매우 많사옵니다.”

 

淸峯:한계가 있는 유루의 복이므로 유상(有相)한 것이기 때문에 많다 한 것이다. 그러나 복이란 실다움이 없는 것으로 많다 하는 표현은 무한대의 사량할 수 없는 큼이 아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설명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체 법계 중생이 본래 무한량의 복덕을 구족하고 있으므로 범, 성의 분별마저 없는 것이다.


圭峰:以是離相無倒行施因緣으로 成無漏福하여 離於二障이니 旣非顚倒이니 故得福多니라 反釋順釋이라

규봉:相을 떠나므로 顚倒됨이 없는 보시를 행한 인연으로 샘이 없는 복을 이루어서 두 가지 장애를 떠나니 이미 거꾸로 뒤바뀐 것이 아니므로 복이 많다 하는 것이다. (2)는 반대로 해석하고 순리로 해석한 것이다.


須菩提若福德有實이라면 如來不說得福德多이나 以福德無故如來說得福德多하니라

“수보리야! 만약 복덕이 실다움이 있는 것이라면 여래가 그 얻은 복덕이 많다고 말하지 않았을 것이나 복덕이라는 것이 없는 것이므로써 여래가 복덕을 얻음이 많다고 말하는 것이니라.”

 

淸峯:칠보로 보시하여 얻은 복은 유루의 복이라 샘이 있어 다함이 있으니, 불과를 얻어 항상하고 상락아정하는 공덕과 비교도 도움도 되지 못하는 것이다.

  유상(有相)의 것은 주고 받음이 있으므로 많고 적음을 논할 수 있으나 무루의 공덕은 복으로 성취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덕이라면 많다는 말을 쓰지 않았을 것이다. 그러므로 반야바라밀을 행하여 번뇌 만상을 여의고 본성(本性)을 요달하여 갖추어진 것을 확인한 것일 뿐, 얻을 것은 유루의 복이요, 무루의 공덕은 얻을 것이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양무제의 지은 복을 달마가 “공덕이 하나도 없다” 한 뜻을 잘 알아야 하는 것이니, “무상주 보시가 아니기 때문이라”고 말에 쫓아 잘못 알지 말지니 양무제가 지은 유위의 복은 유루인 인과의 복이요, 부처를 이루는 무위의 공덕과는 같지 않기 때문이다. 공덕은 정혜를 닦아 증득하는 것을 일컫는 것이요, 이 공덕은 영원한 것이다. 그러므로 무루 공덕(새지 않는 공덕)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시로 얻은 인연복은 실다움이 없는 것이므로 허망한 인과의 복으로 윤회를 받는 것이다.   

 

만법의 실상이라 하는 것은 형상 있는 모습인 유상도 아니고 아예 없는 무상도 아닌,

논리적으로 유상 아님도 아니요 무상 아님도 아닌(四句非)

일체 차별적인 형상을 여읜 보편 평등한 일체법의 실체의 모습인 것이다.

따라서 일체의 있는 그대로의 실제 모습이므로 실다운 상(實相)이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것은 말로써 설명할 수 있음을 여읜 것이라는 것이다.

4구(四句:一,異,有,無)를 여의고(떠나고) 나면 그에 따르는 백가지 아님(百非)은 저절로 단절되는 것이다.

그 백가지 부정적 논리(일체논리의 부정)인 백비는 4구(네 가지)의 부정의 논리를 벗어난 것이 아닌 것이니,  사구비를 정리하면,

一(하나):비일(非一, 하나가 아니요)

  역일역비일(亦一亦非一, 또한 하나라는 것도 또한 하나가 아니요)

  비일비비일(非一非非一, 하나도 아니요 하나가 아닌 것도 아니요)

異(다름):비이(非異, 다른 것이 아니요)

  역이역비이(亦異亦非異, 또한 다른 것이라는 것도 또한 다른 것이 아니요)

  비이비비이(非異非非異, 다른 것도 아니요 다른 것 아닌 것도 아니요)

有(있음):비유(非有, 있음이 아니요)

  역유역비유(亦有亦非有, 또한 있는 것이라는 것도 또한 있는 것이 아니요)

  비유비비유(非有非非有, 있는 것도 아니요 있는 것 아닌 것도 아니요)

無(없음):비무(非無, 없는 것이 아니요)

  역무역비무(亦無亦非無, 또한 없는 것이라는 것도 또한 없는 것이 아니요)

  비무비비무(非無非非無, 없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 아닌 것도 아니요)

4×4=16×3세(과거,현재,미래)=48×2(已起,未起)=96+四句(일,이,유,무)=100非

  (100가지로 부정해도 定한 것이 아님)

 ◎ 사구(四句)는 정립(定立), 반정립(反定立), 긍정종합(肯定綜合), 부정종합(否定綜合)으로써,

만유 제법을 판정할 때,

제1구의 유(有)는 정립, 제2구의 이(異)는 반정립,

제3구의 역유역무(亦有亦無)는 긍정종합, 제4구의 비유비이(非有非異)는 부정종합이며,

처음 2구를 양단(兩單), 뒤의 2구를 구시구비(俱是俱非) 또는 쌍조쌍비(雙照雙非)라 하는것이올시다.

百(모든) 非(부정)로 부정을 거듭할 지라도 참으로 사물의 진상을 알 수 없으므로

이것을 써서 중생들이 유무(有無)의 견해에 치우친 변견에 걸림을 없애게 하는 변증법(辯證法)의 한 형식인 것이올시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