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양평땅과 전원주택
 
 
 
카페 게시글
―····건축/설계/조감도 스크랩 일본건축사(3) - 고대건축(平安時代)
하얀쪽배 추천 0 조회 206 09.06.08 16:15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일본건축사(3) - 고대건축(平安時代)

 

1. 平安時代(前期)

헤이안시대(平安時代, 794 - 1185/1192)는 794년에 칸무천황(桓武天皇)이 平安京(京都)에 도읍을 옮기고 부터, 鎌倉幕府가 성립할 때까지의 약390년간을 말한다. 헤이안으로의 환도는 전시대의 폐습을 일소하기 위함이라고 볼수있으며, 당시의 문물은 대부분 唐으로부터 들어왔다. 

또한 이 시대는 唐으로 부터 密敎가 들어와 새로운 불교문화를 꽃피웠으며 밀교사원이랑 신사건축이 건립되는 등, 일본불교가 나라중심의 불교에서 헤이안(平安)불교로 전환되는 시기이다.

당시에는 만다라(曼陀羅)와 밀교회화들이 많이 그려졌는데 이는 밀교미술이 보다 인간적인 감정이 내포되어 있어 서민들속에 쉽게 파고들었다. 

 

 1-1. 室生寺 金堂

무로우지(室生寺)는 험준한 산악지대에 있는산지가람이다. 이러한 지리적조건은 당시의 상황에서 밀교를 전파하기에 적합한 곳이었다. 室生寺 金堂은 너와로된 우진각 집이며, 堂은 단차가 있는 토지위에 세워져 있다. 건물의 전방부분은 사면에 돌출되어 누하주가 받치고 있다. 이런 건축방법은 주로 산악지대의 사원에서 주로 사용되는데 이를 일본에서는 ' 가케즈꾸리(懸造)'라고 한다.규모는 전면 5칸 측면 5칸.

 

 금당으로 올라가는 계단

 金堂

 

1-2. 醍?寺 五重塔

다이고지(醍?寺)는 다이고(醍?)천황의 명복을 빌기위해, 첫째 왕자인 수자쿠(朱雀)천황이 936년에 착공해, 둘째 왕자인 무라카미(村上)천황이 951년에 완성했다. 1층 내부에는 양계만다라(兩界曼茶羅)와 진언팔조(眞言八祖)가 그려져있어, 일본 밀교회화의 원류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높이는 38미터로, 탑 꼭대기위의 상륜(相輪)은 길이가 13미터로 탑 높이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五重塔

  

   五重塔의 1층

 

2 平安時代(後期)

원래 사원건축의 양식은 대륙에서 건너온 것이지만 , 문화의 면에서 대륙문화를 모방 ? 흡수하면서 소위 國風文化가 각분야에 출현하기 시작하면서 일본 나름대로의 문화에 익숙하기 시작했다.

대사원에서는 대규모의 불상도 있지만, 기둥을 가늘게 하고, 천정을 낮게해서 분위기를 온화하게 하는 주택풍의 불당도 만들었다.

鎌倉時代에 들어오면서 대륙으로 부터 들어온 새로운 양식과의 차이가 인식되기 시작함으로 인해 和樣이라는 단어가 탄생했다.

 

和樣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기둥상부의 도리방향의 가구재를 보강하기위하여 횡재인 나게지(長押)를 끼운다.

- 공포와 공포사이에 가에루마따(?股,蛙股)라는 장식용 화반을 놓는다.

- 기둥은 가늘고 천정이 낮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 툇마루를 만든다.

- 마루 밑에 둥굴게 가메바라(?腹)라고하는 토단을 쌓는다.

 

2-1. 平等院鳳凰堂(阿?陀堂)

당시의 권력자 ?白 후지와라노미찌나가(藤原道長)가 左大臣 미나모토시게노부(源重信)의 부인으로 부터 양수받은 별장을 그의 아들 요리미찌(?通)가 1052년에 이것을 절로 개조하면서 평등원(平等院)으로 칭하였다.

1052년은 末法初年(일본에서는, 헤이안말기에서 가마쿠라시대에 걸쳐서의 사회 혼란을 말법시 현상이라고 해석한 불교 사상)에 해당된다고 보는 末法思想이 귀족이나 승려들의 마음을 사로 잡아, 극락왕생을 비는 淨土信仰이 사회 각층으로 확산되었다. 그 다음해인 1053년에 평등원의 아미타堂(봉황당)이 낙경되어 당내에는 헤이안시대의 최고의  ?師定朝에 의해 제작된 요세기즈꾸리(寄木造)기법으로 제작한 丈六(석가의 키가 1장 6척이었다는 데서. 좌상()인 경우는 그 절반인 8척으로 만들지만, 이것 역시 장륙이라 하였음)의 阿?陀如?坐像이 안치되었다. 寄木造는 불상의 기본적인 부분을 2재이상의 복수재를 사용하여 접합하는 기술이다.

 

  

   平等院鳳凰堂

  

   平等院 中堂

  

 

 2-2. 中尊寺金色堂

쮸손지(中尊寺)金色堂은 中尊寺경내에 있는 불당이다. 1124年에 건립된 것으로 평등원봉황당과 함께 헤이안시대 정교 건축의 대표적인 예이다. ?代의 建築, 美術, 工芸의 집합체로서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金色堂은 覆堂으로 保護되어있다.

 

                          

                           金色堂 내진(이미지 : 金色堂HP)

                

                 卷柱(東北歷史博物館전시,replica)

  

2-3. 白水阿?陀堂

시라미즈아미다도오(白水阿?陀堂)는 헤이안시대末期 1160년에 건립되었다.

본당은 사방3칸의 단층4모지붕으로 너와를 얹었다. 堂?의 판벽에는 벽화의 흔적이 남아있다.

내부에는 아미타여래상을 중심으로 협시보살로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 그리고 지국천왕과 다문천왕의 2천왕 등 다섯 불상이 안치되어 있다.

 

       

 

2-4. 富貴寺大堂

후끼지오오도오(富貴寺大堂)는 헤이안 말기의 12세기 후반에 창건된 阿?陀堂形式인 和樣건축으로 큐우슈우지방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이다. 京都의 平等院鳳凰堂、이와데(岩手)의 中尊寺金色堂와 어깨를 겨누는 日本三大阿?陀堂으로 알려져있다.

본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4칸으로 정면보다 측면이 길다. 지붕은 4모지붕이며 기와를 얹었다.

 

    

    

         

          내부

 

2-5. ?殿造

신덴즈꾸리(?殿造)는 헤이안 시대의 귀족주택 양식이다. ?殿(正殿)이라 불리는 중심적인 건물이 남쪽의 정원에 접해있고, 동서에는 다이노야(?屋)라고 불리는 부속건물을 배치하고, 그 건물들을 회랑인 와다도노(渡殿)로 연결함과 동시에 동서로 마주보는 다이노야(?屋)로 부터 와다도노(渡殿)를 남쪽 연못까지 이어서 쯔리도노(釣殿)를 설치한다.

 

   ▼ 아래 이미지는 전형적인 침전조인 東三?殿 復元模型이다.京都文化博物館)  

     

             1. ?殿  2. 北? 3. 細殿  4. 東?  5. 東北?  6. 侍所  7. 渡殿  8. 中門廊  9. 釣殿

 

* 위 이미지의 일부는 フリ?百科事典『ウィキペディア(Wikipedia)』에서 발췌.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