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풀빛
    2. 장군아
    3. 그란마
    4. 간장게장
    5. 달리아
    1. 진후
    2. 안경
    3. 최선
    4. 그짱
    5. 유니20
 
 
카페 게시글
백제 토론방 백제 역사의 왜곡 현장
청해 추천 0 조회 703 15.04.29 12:26 댓글 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15.04.29 12:28

    첫댓글 송파구 풍납동 미래마을 부지 발굴터에 공원을 조성하고 있는데 미래마을에서는 발굴되지도 않은 왕궁터를 상징하는 주춧돌, 그리고 또한 미래마을에서 발굴되지 않은 대형 항아리를 설치할 모양입니다.
    백제의 역사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발굴되지도 않은 것들을 공원에 설치함으로써 역사를 왜곡하는 현장으로 조성하는 문화재청 및 서울시, 송파구청의 역사왜곡 행태에 걱정이 앞섭니다.
    회원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15.04.29 15:07

    십년전에 미래마을 부지에서 십각초석 나온걸로 아는데요. 그리고 또 몇년전에는 높이 120짜리 대옹도 나온걸로 아는데요. 사진 보니 이것들을 본떠 만든것 같군요. 초석 놓인 자리도 적심시설이 있는 곳에 놓았을것 같고요.

    '왕궁터를 상징하는 주춧돌' 이 표현도 좀 오해의 소지가 있지 않나요. 초석이 곧 왕궁터를 말하는 것도 아니고 왕궁에만 쓰이는 정해진 초석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고...

  • 작성자 15.04.29 23:00

    http://cafe.daum.net/windcome/HSh9/2252
    이곳을 방문해 보시면 과연 그럴까 생각이 들겁니다.
    주춧돌이라기에는 조악하기 그지없습니다.
    문화재청에서 왕궁터건물 초석을 찾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다는 것을....

  • 15.04.29 23:30

    풍납토성에서 나온 초석이야 이미 오래전에 봐와서 알고는 있고요,

    '발굴되지도 않은 왕궁터를 상징하는 주춧돌' 이 말씀 참 애매하게 들리는군요. 미래마을부지에서 초석은 나왔으되 왕궁에 쓰일 초석은 아니라는 말씀이신것 같은데요, 처음에 하신 말씀은 '미래부지에서 나온 초석 없는데 왜 초석 놓느냐' 아닌지요.

    그리고 '주춧돌이 조악하다'라는게 무슨말인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초석이 어찌 생겨야 왕궁급이고 또 어찌 생겨야 조악한건가요? 공주와 부여에 왕궁터가 나와서 그와 비교하는 것도 아닐테고, 심지어 경주 월성도 아직 뚜렷하게 초석이 나온것도 아닌데요. 저는 백제와 신라에 왕궁급 초석 규격이란게 있는지 모르겠군요

  • 작성자 15.04.30 21:03

    @돌부처 http://durl.me/8rbzhi
    이곳을 추천합니다.

  • 15.05.03 21:39

    왕궁터임을 보여줄 주춧돌은 아직까지 풍납토성에서 나온 바 없습니다. 그런데 무리하게 마치 다 확인된 것처럼 저런 유적공원을 만드는 것은 문제입니다. 풍납토성의 신화에서 벗어나야 하는데, 지금 학계는 너무 깊이 들어와 버렸습니다.

  • 15.05.07 18:46

    동의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