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② 한국철도 (기술, 차량) 지하철 차량 반입 방법의 관한 정리(수정판)
reset 추천 0 조회 3,595 09.02.08 01:52 댓글 13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9.02.08 11:40

    첫댓글 5호선 강동기지 차량반입안 제2안에 대한 추가자료를 보내주세요^^ hse-10-sunset@daum.net

  • 작성자 09.02.08 15:18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관련 자료 메일로 보내드립니다. 사실 6년전에 쓴 글 그대로 옮긴거라서 왜 메일 주소 쓰시나 했는데 본문에 그렇게 써놨군요;;;

  • 09.02.08 22:18

    자료 보내주세요! 5345409한메일, 좋은 자료 잘봤습니다

  • 09.02.08 20:33

    좋은 정보 잘 봤습니다. 3호선에서 수직구로 들어내는 부분은 이해가 갔었는데, 다시 8호선으로 넣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되었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더 잘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8호선 가락시장 남서쪽 지하 터널 속을 보면 뭔가 공간이 보이는 것으로 기억되는데, 이부분이 연결선 부분이 아닌가도 싶습니다. 아울러 8호선 지하로 내려갔던 U-type은 나중에 어떻게 되었을지도 궁금하네요

  • 09.02.08 22:17

    7호선 반입선 일부는 한국에선 보기드문 풍경, 노면전차 선로같은 것도 있네요. 반입선로들을 없애지 않고 계획적으로 건설하고 조금더 연장해 노면전차선로 등으로 사용해도 좋았을건데 말입니다. 5-8호선 중정비연결선은 차라리 수서-가락시장-오금으로 건설했더라면 실용적으로 사용했을텐데 하는 아쉬움도 있네요.

  • 09.02.09 13:37

    9호선의 경우 비단 유지보수비 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의 반대도 반입선 건설에 걸림돌이 되었습니다. 때문에 트레일러를 통해 반입이 이루어졌고, 현재 전차량 반입 완료되었습니다.

  • 09.02.09 13:39

    여담이지만, 중랑천 횡단교량의 경우 상당히 오랜기간 남아있었습니다. 2000년대 초반까지도 동부간선도로 상에 궤도가 남아있던 기억이 있으니까요. 다만 어느새 철거해버리고 흔적조차 없어졌더군요.

  • 09.02.09 22:00

    좋은 글 잘 봤습니다.

  • 09.02.09 23:27

    인천시청연결선은 왜 임시 패쇄 되었죠?

  • 09.03.02 01:07

    인천시청연결선은 임시폐쇄를 한 것이 아니라 나중에 인천지하철 1호선의 또 다른 신조차량반입을 미리 대비하기 위해서 차량반입이 되는 기간이 되면 잠시만 개방하여 차량반입이 끝날 때까지 잠시만 개방한 후, 차량반입이 끝날 경우에는 반입시기가 다가오는 그 해까지 잠시만 임시로 닫아놓은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겠습니다.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09.03.02 01:08

    대전1호선뿐만 아니라 대구1호선과 대구2호선, 광주1호선과 부산1호선 일부차량들만 전부 트럭이 아닌 트레일러운송을 해서 차량기지까지 무사히 반입했던 것으로 추측되고 있습니다.

  • 09.02.10 21:32

    부산 1호선은 부산진역 연결선을 통해 입환반입이 가능하나, 2·3호선은 연결선이 없어서 트레일러로 반입해야 하죠. 참고로, 2·3호선 환승역인 수영역에 연결선이 있는데, 이는 3호선 차량을 2호선 호포기지로 회송하기 위해 설치했습니다. 호포기지에서 2·3호선 차량의 중정비를 맡고 있기 때문이지요.

  • 09.04.11 12:2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퍼갈게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