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Rail+ 철도동호회
 
 
 
카페 게시글
① 한국철도 (영업, 정책) 어제, 동북선경전철 사업설명회를 다녀왔는데요
따끈녹차 추천 0 조회 1,281 16.01.06 17:17 댓글 3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6.01.06 17:55

    첫댓글 경전철의 정비능력이 낮다니요...

  • 작성자 16.01.06 18:34

    눈살찌뿌리는 정보도 몇몇 있더라구요

  • 16.01.06 22:39

    @따끈녹차 허위 사실이면 이건 사기로 구속감이예요...;;

  • 삭제된 댓글 입니다.

  • 16.01.06 22:00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 16.01.07 20:47

    분당선 연장을 주장하는 이유로는 별내선과 8호선처럼 한노선으로 되듯이 동북선과 분당선이 한노선으로 만드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따라서 지역주민의 일부건의는 받아 들일수는 있습니다. 분당선과 별개노선으로 동북선을 건설 사용전압을 교류 25000V로 건설하면 됩니다.

  • 16.01.08 10:49

    @하남역 저분에게 아무리 이야기를 해봤자 소용없습니다... 입만 아파요 벽창호... 에혀..

  • 16.01.06 19:27

    물론 강북에서 강남 잇는 것은 좋다만은, 윗분 말씀대로 왕십리역에서 연장 어떻게 할 것인지의 문제도 있고 균형발전 운운하는데, 그럼 전국의 모든 시군에 다 KTX보내야 균형발전인 것도 아니고

  • 16.01.06 19:39

    엉터리 정보가 많네요. 10~15m 정도면 저심도에 해당되는데 중전철 하려고 정보 왜곡도 서슴치 않는 걸 보니 참 유감입니다. 수송력의 한계는 맞지만 편성도 최대 6량까지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5.5배는 아닙니다. 배차 간격도 중전철 보다 더 촘촘히 할 수 있습니다. 이럴꺼면 동북선 짓지 마요. 중전철 수요는 안 될 것 같은데 말이죠.

  • 16.01.08 11:00

    저들의 나불거림... 완전 시나리오 수준이니... 참 한심합니다~ 허위사실을 유포하면 처벌을 받지요...

  • 16.01.06 20:27

    김포 경전철도 9호선 끌어온답시고 헛짓거리 하다 사업이 5년 가까이 늦어졌죠. 안 되는 건 안 되는 거라고 끊고 가야 되는데 말입니다.

  • 16.01.06 20:39

    건설 비용 비교도 해줘야 하는데 그러지 않고 중전철 장점만 내세우고 있으니ㅌㅋㅋㅋ 왕십리역에서 분당선 연장하려면 그것만으로도 사업비가 엄청날텐데.

  • 16.01.08 11:03

    참으로 답답하고 한심 하기 짝이 없네요... 무슨 애들 떼쓰기 처럼~ 중전철 고집을... 그리고 분당선 연장....? 아이고... 미쳤네.. 저번에 모분이 한 말 진짜 어이가 없네요~

    다시 이 문제가 여기에서 뜨거운 감자가 되겠네요~

    또 열받을 것 같군요...

    헛짓거리하다 망하는 꼴 보구 싶으신가요??

    그리고 집권당 쪽에서 나오셨다니... 이건 선동할려고 나온듯 하네요... 거 정치적으로 이용마세요... 짜증납니다.

    정치인이 지역 발전 거하게 하려고 사탕발림으로 표얻는거... 성공못합니다... 해도 당선되면 할까말까할정도 인데... 맨 싸움질이나 늘어놓고 민생은 안챙기시는지.. 묻고 싶습니다.

  • 16.01.07 09:03

    동북선도 우이선 못지않게 중요한데 중전철은 좀 어려울 듯

  • 16.01.07 10:27

    신분당선은 하고 분당선은 못하고...모얏?

  • 16.01.07 20:33

    경전철도 무인운전만 하는 경전칠이 있지않고 기관사가 있는 경량전철도 있음(해외 사례)

  • 16.01.10 23:47

    하나는 분당선체계를 통해 본노선만 연장하는 것이 좋고, 따라서 직류로 다니는 경전철보다는 교류전철이 가장 운영면에서 비용절감이 됩니다. 시설비도 절감되고요. 일방적으로 중전철로 건설한다한다면 별개노선으로다 교류 25000V의 6량~8량의 중전철로 건설하면 됩니다.

  • 16.01.08 10:59

    ↑ 여기 찬성쪽 주장 하시는 분 계시네... 참 고집쎄시네... ㅡㅡ

    이봐요 김승진씨!!

    아주 시나리오를 쓰세요...

    위에 동북선 경전철 연선주민들의 분당선 연장 주장 하시는 분들 이랑 다를 바가 없네...?

    그런 이야기를 할거면..
    거액을 모아서 자비로 하세요... 빚져서 하시든지요...

    그러면 말리지 않겠습니다.

    분당선 연장 안된다고 몇번이나 말해야 알아듣나요? 왕십리에서 끝나서 연장 할 공간이 없다니까요..

    귀머거리예요? 말귀를 못알아들으시네?

    지상에서 끝났는데.. 또 지하로 들어가란 이야깁니까?

    더 연장 하려면 주변에 교통에 영향을 받을텐데요??

    그 연장할꺼라면 돈 더들텐데???

  • 16.01.11 20:20

    분당선이랑 동북선은 별개노선으로 건설 하도록 되어 있고 아무리 별개노선으로 건설한다해도 경전철에서 중전철로 변경하면 대형으로 6량이나 8량짜리에 열차를 운행하며 전압도 직류보다 운영비가 싼 교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보입니다.

  • 16.01.12 11:59

    @☆金勝進☆ 시끄럽네요... 별반 다를거 없는 똑같은 주장이라 듣기 싫습니다.

    그러실꺼면 돈 들여서 하시라니까요?

    안말려요...

  • 분당선연장은 힘들거같고요. 그냥 차라리 따로 중전철건설해서 방향을 응봉동쪽으로 간 다음 한강을 건너서 압구정, 역삼을 지나서 포이, 우면동을 지나서 선바위역까지 중전철 건설하는게 나을 것 같습니다. http://cafe.daum.net/kicha/ANo/23580 제가 제작한 노선도입니다.

  • 16.01.10 23:57

    그런식이라면 사용전압을 직류 1500V로 하는 것보다, 교류 25000V 60Hz로 하는 것이 더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됩니다.
    에초에 산업선을 교류전압을 사용한것은 경부선전철을 엄두 했었기에 그러한면에서 교류를 사용헸을거고, 한가지는 출력을 높이기위해서 사용 했을 것이므로, 교류전압을 사용할 경우 전기 시설면에서 비용이 직류보다는 적게 드는 이점이 있습니다.

  • 16.01.12 09:08

    @☆金勝進☆ 도시철도는 직류 1500v를 하는 게 법으로 정해져 있다는 건 생각 안하십니까?
    3호선이 왜 전구간 직류를 쓸까요?법원 최종판결까지 가서 나온 결과입니다.
    몰라서 그걸 안할까요?

  • 16.01.12 11:54

    @인천 1호선 저 작자는 아무리 이야기를 해봤자 소용없습니다~ 일방적 주장을 하니 듣기나 할까요... ㅡㅡ;/어차피 위의 글(본문)에서 허위사실(경전철에 대한 있지도 않는 사실 : 왜곡된 정보)이 드러나면 콩밥감이니까요...

  • 16.01.12 21:02

    @인천 1호선 도시철도가 법으로 직류를 사용한다고 정해졌다해도 예산및 시설사용등에서 교류를 사용할 수도 있다라는 것 모르나요. 사실로 철도가 교류전압을 사용한이유는 시설비 절감뿐만아니라 고출력기관차를 투입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런데서 시설비가 적게 나오는 이점등도 나오고요... 사실경전철이라는 것은 여러 형태에 교통수단 즉 노면전차라던지, AGT라던지 LIM등이 경전철로 분류 됩니다. 사실적으로 자기부상열차도 포함되고요... 그래도 모노래일이 경전철로 포함할 수있지만 가좌식 대형 모노레일에 경우에는 도시철도로 구분하는 것이 나을거라고 생각하는 바 입니다.

  • 16.01.12 21:06

    서명회를 보니 괴짜군요. AGT는 고무차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철재차륜도 있다는 것 모르면 안됩니다. 그레도 서울시가 경철을 요구 하는 입장이라면 고무차륜에서 철재차륜으로 변경후에 6량편성으로 고치고 운행하면 고무차륜보다는 혼잡도가 조금이나마 줄어 들것으로 보여집니다.

  • 16.01.12 22:39

    ↑ 뭔말이 맞는지 모르겠다;;;; 법으로 직류 1.5KV 정해짐 VS 교류 25KV 사용 가능...(예외)

    아... 머리야...

  • 16.01.15 21:17

    직류 1500V가 정해 졌어도 경전철이 들어 서면서 750V로 했지만 중전철로 변경 후에는 이점이 전혀 사용면에서 사용전압이 구분 없어지니 도시철도도 관련법상 전압만은 직류를 쓰지 않고 교류를 사용해도됩니다. 3레일 쓰는 노선은 1000V미만으로 해야 되니까 직류1500V를 사용한다쳐도 아무상관없이 전압을 설정해서 사용가능하죠... 그래서 교류 25000V도 가능합니다.(법원 소송시)

  • 16.01.17 12:20

    @☆金勝進☆ 법원소송시란 소리는 비용절감을 꼬투리잡고 현재규정은 신경 안쓰고 그냥 갈거란 소리군요.
    개인적인 얘기 잘 들었습니다. 허나 법이 생긴 뒤에 사례도 없고 건설비의 압박까지 이겨내면서 그게 추진이 가능할지요?
    동북선은 정치논리로 가면 100% 착공 무기한 연기됩니다. 님이 그런 얘기 하는 현실에 대한 귀를 닫고 하는 얘기로밖에 안들립니다.
    사업비는 그냥 나올까요?

  • 16.01.18 20:34

    법이란 100%되는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3레일로다 중전철을 건설하는 방법도 할수는 있습니다.

  • 16.01.21 08:54

    이제 아주 소설을 쓰시는군요.
    직류도 엄연히 장점이 있으니 도시철도에 쓰는 것인데 3궤조에 대형전철이라...
    전동차도 그에 맞춰 다시 개발해야 하는데 법도 그에 맞게 되어 있지도 않은데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립니까?
    뜯어 고치려고 해보시죠.
    그 과정이 더 번거로울 걸요?

  • 16.01.21 20:42

    @인천 1호선 기존법률에다 3궤조 중전철및 도시철도법률등을 개정및 추가로 더할수 있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