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상사목교육이란?
(CPE:Clinical Pastoral Education)
위기 상황에 있는 사람들을 전문적으로 사목하려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이다.
(영적돌봄 : Spiritual Care)
신학적 영성적으로 준비된 사람들이 전문 수퍼바이저의 지도를 받아 특별한 현장(병원, 군대, 감옥 등)에서 위기 상황에 있는 사람들을 만나는 것(경청의 방법)이 교육의 기본 틀이 된다.
교육 현장에서 동료들과 수퍼바이저의 피드백으로 자기 자신과 사람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얻게 된다. 사람이 처하게 되는 특별한 상황에 대한 신학적인 성찰은 사목적 돌봄에 대한 이해와 실천을 성장시킨다.
▣ 교육의 효과
위기 상황에 있는 사람들을 사목하는 전문 사목자의 양성이 주된 효과이다.
교육 과정 중에 발생하는 자기 치유의 효과는 성찰을 통해서 얻어지는 효과이다.
또한 전문가를 양성하는 수퍼바이저가 되도록 길을 열어준다.
▣ 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임상사목교육 프로그램은 교육생들이 탐구하고 평가하는 동료그룹 안에서 수퍼바이저의 사목적인 지도아래 경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배우게 됩니다.
ㆍ 개인적, 사목적 정체성
ㆍ 사목적 배려 차원에 대한 이해
ㆍ 사목적 기능
ㆍ 다른 전문직들과의 관계
ㆍ 자신의 경험에 대해 신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
ㆍ 자신의 신앙을 의미있게 의사소통하는 능력
ㆍ 개인 상호관계
ㆍ 성장하고, 배우고, 인간관계를 맺고, 의사소통하는 자신의 과정 및 태도와 가치
ㆍ 삶에 대한 자신의 근거없는 가정(假定)
ㆍ 자신의 경험과 인식을 자신과 다른사람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구조에 통합하는 능력
▣ 임상사목교육 대상자
원목자, 성직자, 수도자, 신학생 및 자격있는 평신도(의료분야전문가 혹은 서울대교구 일반병원사목부에서 실시하는 3단계의 원목봉사자 교육과정을 이수하였거나, 교리신학원 이상의 신학과정을 이수한 평신도)
▣ 임상사목교육의 학습과정
1. 환자방문과 축어록 보고서
임상사목교육 방법은“인간문헌 human documents”에 대한 연구를 활용하여, 사목(환자)방문 내용에 대해 기록한 것을 수퍼바이저에게 제출합니다. 이 보고서를 통해 수퍼바이저는 교육생과 “동반하고” 교육생의 사목적 만남들을 지도합니다. 교육생과 수퍼바이저는 축어록 보고서를 통해 사목적 만남의 다양한 역동을 발견하고 평가합니다.
2. 그룹지도
1주일에 1일(09:30-17:30) 혹은 1주일에 5일 (집중 CPE 과정 09:00-13:00) 그룹지도가 있습니다. 교육생들에게 그룹 상호작용과 인간관계는 이 프로그램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교육생들은 가능한 한 자유롭게,개방적으로,정직하게,적극적으로 그룹프로세스에 임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교육생들이 각자의 사목활동과 경험, 느낌, 깨달음을 나눌 때, 서로 알게 되고, 자기 자신을 더 잘 알게 되며, 서로에게서 배우고, 서로를 지도하게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3. 개별지도
수퍼바이저와 교육생의 개별지도는 2주 1회 혹은 1주 1회 (집중 CPE 과정)로 이루어집니다. 수퍼바이저는 이 개별지도에서 교육생들이 개인적 사목적 차원의 장점과 한계를 발견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임상사목교육 수퍼바이저 양성 과정
< 신청요건 >
임상사목교육을 최소한 4회 이상 수료한 자로 수퍼바이저 과정을 시작할 수 있는 준비와 열정을 지녔고 사목적 경험과 신학, 행동과학분야에서 석사학위 소지자 또는 이와 동등한 과정을 수료한 자
1) SIT: Supervisor In Training (훈련과정 수퍼바이저)
정 수퍼바이저(Full Supervisor)의 수퍼비전을 받으면서 정해진 소수인원에 대한 교육생을 지도합니다.
2) Assitant Supervisor (보조 수퍼바이저)
정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을 받으면서 CPE 그룹을 배정받 아 교육생을 지도합니다.
3) Acting Supervisor (부 수퍼바이저)
정 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이 필요없이 독립적으로 CPE 그룹을 배정받아 교육생을 지도합니다. 단, 수퍼바이저 양성 및 교육은 할 수 없습니다.
4) Full Supervisor (정 수퍼바이저)
독립적으로 CPE 교육을 시킬 뿐만 아니라 CPE 수퍼바이저 양성 및 교육을 할 수 있습니다.
▣ 원목자 자격증 취득
임상사목교육을 4회 이상 이수한 자로, 서울대교구 임상사목교육센터에 비치된‘자격증 면접을 위한 지원서류 목록’에 따라 작성하여 제출 후 서울대교구 임상사목교육센터‘원목자 자격 및 인준위원회’와 면접 후 취득여부가 결정됩니다.
▣ 서울대교구 임상사목교육센터 소개
서울대교구 임상사목교육센터는 병원사목을 하는 원목자들에 대한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 임상사목교육의 필요성의 요구가 대두됨에 따라 2007년 11월 17일에 서울대교구 특수사목 소속
으로 창립되었습니다.
서울대교구 임상사목교육센터는 서울대교구의 원목자들에게 임상사목교육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환자들을 돌보는 서울대교구의 원목자들의 사목적 역량을 질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서울대교구의 병원사목을 점진적으로 통합 발전시킬 뿐 아니라, 서울대교구에서 활동하는 성직자,수도자,신학생들에게도 임상사목교육을 확대 실시하여 사목자로서의 정체성을 더욱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평생교육기관입니다.
서울대교구 임상사목교육센터에서는 한국의 타 교구 원목자 및 사목자나 자격있는 평신도도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서울대교구 임상사목교육센터 수퍼바이저
이충희 신부, 서울대교구 - 임상사목교육센터 담당사제
최수복 수녀, RSCJ - 임상사목교육센터 사무총장
▣ 서울대교구 임상사목교육센터 전문가자문위원
한상우 교수 - 순천향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교육 신청 및 문의 사항
1) 교육신청서 교부 및 접수: 수시
2) 접수마감일: 각 교육 시작일 1개월 전
3) 접수방법: E-mail, 우편, 방문접수
4) 문 의: 서울대교구 임상사목교육센터 행정실
Tel. 02-727-2434, Fax. 02-776-8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