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 < 창 세 기 >
( Level 1-입문서)
1. 고든 웬함, <성경 전체를 여는 창세기 1-11장 다시 읽기>, 차준희역, 새물결플러스(2020)
2. E.J. YOUNG, <창세기 1.2.3장 강의>, 서세일역, 한국로고스연구원(1985)
3. E.J. YOUNG, <창세기 1장 연구>, 이정남역, 성광문화사(1982)
4. E.J. YOUNG, <창세기 3장 연구>, 정성숙 역, 엠마오서적(1979)
5. 트럼퍼 롱맨 3세, <어떻게 창세기를 읽을 것인가>, 전의우역, IVP(2006)
( Level 2- 주로 창세기 원역사와 관련된 책들)
1.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중 12장-13장, CLC(김광채역), 경세원(성염역), 대한기독교서회(선한용역), 바오로딸(최민순역), CH북스(박문재역), 서광사(강영계역), 익투스(조동선역) 등
2. 아우구스티누스, <하나님의 도성(신국론)>중 11권-12권, 아우룸(김광채역), 분도출판사(성염역), CH북스(조호연/김종흡역) 등과 김회권, 김광채, 문시영, 선한용, 피터 브라운 등 관련도서들.
3. T.데스몬드 알렉산더, <하나님의 도성 읽기 : 창조의 목적 재해석>, 임요한역, CLC(2020)
4. 코르넬리스 반 담, <창세기 1-2장 어떻게 읽을 것인가 (In the Beginning / Listening to Genesis 1 and 2), 2021>, 전광규역, 부흥과개혁사(2024), 623p.
4. 디트리히 본회퍼, <창조와 타락: 창세기 1-3장에 대한 신학적 해석>, 대한기독교서회(2010), 복있는 사람(2019)
5. 번 S.포이트레스, <천지창조에서 에덴까지 : 창세기 1-3장을 성경으로 읽고 해석하기>, 새물결플러스(2021)
6. 존 페스코, <태초의 첫째 아담에서 종말의 둘째 아담 그리스도까지: 창세기 1~3장으로 보는 성경의 맥>, 부흥과개혁사(2012)
7. 고든 J. 웬함,켄톤 L. 스팍스,제임스 K. 호프마이어, <창세기 원역사 논쟁: 창세기 1-11장의 장르에 대한 세 가지 견해>, 새물결플러스(2020)
8. 리처드 E. 에이버벡 외,<창조 기사 논쟁: 복음주의자들의 대화>, 새물결플러스(2016)
9. 존 C. 레녹스, <최초의 7일 : 창세기와 과학에 따른 세상의 기원>, 새물결플러스(2015)
10. R.C. 스프로울, 키이스 매티슨, <창조인가 우연인가>, 생명의 말씀사(2014)
11. 데비스 O. 라무뤼, 존.H.월튼, C. 존 콜린스, 윌리엄 D. 배릭 외,<아담의 역사성 논쟁: 아담의 역사성에 대한 네 가지 관점과 목회적 적용>, 새물결플러스(2015)
12. 윌리엄 밴두드워드, <역사적 아담 탐구 : 창세기, 해석학, 인간의 기원>, 부흥과개혁사(2017)
13. 켄 햄, 휴 로스, 데보라 하스마, 스티븐 마이어, <창조, 진화: 지적 설계에 대한 네 가지 견해 >, 부흥과개혁사(2020)
14. 휴 로스(영어관련논문,저서 많음), 데보라 하스마 외,<창조론 대화가 필요해: 오랜 지구 창조론인가 진화적 창조론인가>, IVP(2021)
15. 칼 헨리. 존 월턴. 데이비스 외, <창세기 격론: 창세기를 읽을 때 피해 갈 수 없는 11가지 질문>,IVP(2020)
16. 제럴드 라우, <한눈에 보는 기원 논쟁: 우주, 생명, 종 인간의 시작에 관한 여섯 가지 모델>, 새물결플러스(2016)
17. 드루 존슨, <우주의 시작: 창세기 1-11장>, 이레서원(2020)
18. 헬 무트 틸리케, <세상이 어떻게 시작되는가-창조론>, 이진희역, 컨콜디아사(1984)
19. 존 H. 월튼,<창세기 1장과 고대 근동 우주론>, 새물결플러스(2017)
20. 존 H. 월튼,<아담과 하와의 잃어버린 세계: 역사적 아담의 기원과 정체에 관한 논쟁>, 새물결플러스(2018)
21. 존 H. 왈튼,<창세기 1장의 잃어버린 세계>, 그리심(2011)
22. 트렘퍼 롱맨3세, 존H. 월튼, <노아 홍수의 읽어버린 세계: 신화, 신학, 홍수 논쟁>, 새물결플러스(2021)
23. 모어랜드, 래이놀즈, <창조와 진화에 대한 세 가지 견해>, IVP(2001)
24. 존 맥아더, <우주와 인간의 시작 :우주와 인간의 기원에 대한 창조와 진화 논쟁>, 부흥과개혁사(2009)
25. 존 폴킹혼(역은이), <케노시스 창조이론 : 신은 어떻게 사랑으로 세상을 만드셨는가?>, 새물결플러스(2015)
26. 위르겐 몰트만, <창조안에 계신 하나님: 생태학적 창조론>, 김균진역,한국신학연구소(1999)-->대한기독교서회(2017)
27. 알리스터 맥그래스, <우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복있는 사람(2017)
28. 알리스터 맥그래스 ,<정교하게 조율된 우주>, IVP(2014)
29. 마르바 던, <내가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창세기에서 배웠다>, IVP(2013)
30. 김영철(전 웨스트 민스터 신학원 교수, 미문교회 담임), <성경신학의 입장에서 본 노아홍수>, 여수룬(1989)<---The Biblical-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Noahic Flood(Covenant Theological Seminary의 졸업 논문 (Th. M.,1984년).
31. 김정형(전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연세대학교 신학대학원 종교철학 교수), <창조론>, 새물결플러스(2019)
32. 이신열(고신대학교 교의학교수), <창조와 섭리>,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2021)
33. 김병훈(합신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교수), 한윤봉, <성경적 창조론이 답이다>, 합신대학원출판부(2019)
34. 김명용(전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교수), <과학시대의 창조론>, 온신학출판부(2020)
35. 양승훈(벤쿠버 기독교세계관대학교(VIEW) 교수), <대폭발과 우주의 창조>, SFC(2016)
36. 양승훈, <인류의 기원과 역사적 아담>, SFC(2021)
37. 김준(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생명과학부 교수), <과학자의 눈으로 본 창세기>, 한국창조과학회(2002, 2004)-->두란노(2016)
38. 제원호(서울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 과학, 창세기의 우주를 만나다-물리학자의 눈으로 탐구하는 천지창조의 비밀>, 패스오버(2019)
39. 한동구(평택대학교 구약학교수), <창세기의 신앙과 신학>, 프리칭아카데미(2013), 487p
40. 한스 마두에미, 마이클 리브스 외, < 아담, 타락, 원죄>, 새물결플러스(2018)
41. 클라우스 베스터만, <창조>, 분도출판사(1991)
42. 제랄드 슈뢰더, <신의 과학: 과학과 히브리 창조론의 조화>, 범양사(2000)
43. Gerald L. Schroeder, <The Science of God: The Convergence of Scientific and Biblical Wisdom>(2009) - 유대인 랍비, <신의 숨겨진 얼굴>의 저자, 유튜브 <창조론 온라인 포럼>의 조덕영박사(창조신학연구소 소장) 추천)
44. 필론,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작품집.1>, 문우일역, 아카넷(2022), 496p
45. 이외 창조론, 창조와 과학 등 최근에 여러 저서들 출간되고 있음.
46.유튜브(과신Tube,과학과신학연구소, The Veritas Forum 등), 베리타스 포럼 고려대 강좌 등 참고
- https://www.youtube.com/@scitheotube/videos
- https://www.youtube.com/@theology153/videos
( Level 1,국내주석, 주석 입문, 강해서)
1. 김성수(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구약학교수), <내가 너로 큰 민족을 이루게 하리라>, 합동신학교대학원출판부(2000)--> 마음샘(2018, 제2판)
2. 김성수, <창세기 묵상: 제1권: 태초에(창 1:1-1:19장>, 마음샘(2009)
3. 손석태(전 개신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창세기 강의>, ESP(1993)-->CLC(2021, 개정3판), 348p
4. 최낙재(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및 합동신학교대학원 교수), <창세기는 무엇을 말하는가1.2.3>(전3권), 성약출판사( 2008)
5. 변종길(전 고려신학대학원 신약학교수), <창세기 강해설교.1.2>, 말씀사(2019, 2021)
6. 기동연(고려신학대학원 구약학교수), <창조부터 바벨까지(창세기 1-11장)>, 생명의양식(2009) + <아브라함아! 너는 내 앞에
행하여 완전하라(창세기 12-25장)>, 생명의양식(2013)
7. 한정건(전 고려신학대학원 구약학교수), <창세기-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총회 설립 60주년 기념 성경주석>, 대한예수교 장로회출판국(2016)
8. 서철원(전 총신대학교대학원 조직신학교수), <창세기 1.2.3.4>, 그리심(2001, 2002)
9. 하경택(장로회신학대학교 구약학교수), <정경적 관점에서 본 창세기 1 (1-12장)>,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2013) + <정경적 관점에서 본 창세기 2>, 킹덤북스(2017)
10. 박종칠(전 고려신학 대학원 교수), <바이블 제네시스: 설교와 성경 연구를 충족시키는 구속사 중심 창세기 주해>, 아르카(2021)
11. 김의원(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교수), <창세기 연구: 문예접근법에 따른 창세기 연구>,총신대학교 출판부(2004)-->CLC( 2013), 734p
12. 정석규(한영신학대학교 구약학교수), <구조로 읽는 창세기>, 프리칭아카데미(2006)--> 성광문화사(2017, 개정증보판)
13. 김영철(전 웨스트민스터 신학원 교수), <창세기>, 칼빈아카데미(2011)
14. 이성호(고려신학대학원 교회사교수), <창세기>, 솔로몬(2017)
15. 민경구(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다시 읽는 창세기>, 이레서원(2019)
16. 송병현(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교수), <창세기1.2>,국제제자훈련원(2010)--> EM(2020,개정판)
17. 천사무엘(한남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창세기-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대한기독교서회(1999)
18. 김승년목사, <창세기 읽기: 구속사적 관점에서 해설한 창세기강해>, CLC(2019), 356p
19.★데렉 키드너,<창세기: 틴델 구약주석 시리즈 1>,한정건 역, CLC(1990), 310p---->저자변경Steinmann, Andrew E. Genesis. TOTC. IVP Academic, 2019.
20.★존 E. 하틀리, <UBC 창세기, 2000>, 성서유니온선교회(2019) 536p
21.★앨런 로스, <창조와 축복 : 앨런 로스의 창세기 강해를 위한 주석, 1997>, 도서출판 디모데(2007) 1,120p
22. 앨런 로스, <창세기- BKC강해주석시리즈 1>, 강성렬역 ,두란노(2011, 개정판)
23 ★존 H. 월튼, <창세기 - NIV 적용주석 >, 성서유니온선교회(2007)
24.☆월터 브루그만, <창세기 - 현대성서주석(Interpretation)> 강성열 역, 한국장로교출판사(2000)
25.☆존 C. 깁슨, <창세기 상,하:바클레이 팬턴 구약 주석 시리즈>, 기독교문사(1994)
26. G. CH. 알더스, <화란주석 창세기 1.2, 1949, 영역1981>, 기독지혜사(1986)
27. 조셉 S. 엑셀 , <베이커성경주석 1 - 창세기 (상 하)>, 기독교문사(1982)
28. 클라우스 베스터만, <창세기주석>, 한들(1998) <---Genesis. 3 vols. CC. Fortress/SPCK(1984–86)의 요약판임.
29. ☆제임스 몽고메리 보이스, <창세기강해> (전3권), 솔라피데출판사(2013, 2014, 2016)
30. 아더 핑크, <창세기 강해>, 정충하역, CH북스(2015)
31. 메러디스 클라인, <창세기 주석>, 부흥과개혁사(2022), 207p
( Level 2-주석 중급)
1. ★빅터 헤밀턴, <NICOT 창세기 1. 2, 1990, 1995>, 임요한역, 부흥과개혁사(2016.2018)574p+880p
2. ★브루스 K. 월키, 캐시 L. 프레드릭스, <창세기주석, 2001>, 김경열역, 새물결플러스(2018)1168p
3. ★ 케네스 매튜스, <NAC 창세기 1 .2 - 뉴아메리칸 주석, 1996>, 부흥과개혁사(2018, 2019) 616p+1206p --->CSC시리즈로 변경되면서 저자 개정판 예정(1권 2023년 출간예정, 1권:528p-->656p)
4. ☆ C.F. 카일, F. 델리취, <창세기-카일, 델리취 구약주석 1>, 고영민역, 기독교문화사(1984-->1987개정판)<--영어번역본은 개정판 나옴(킨들버전 시리즈 전체 10달러정도)
5. 게르하르트 폰 라트, <창세기 - 국제성경주석 1>, 한국신학연구소(1981) --알맹e 복간예정
( Level 3-주석 고급)
1. ★고든 웬함, <창세기 상,하 - WBC성경주석 1 .2, 1987, 1994> , 솔로몬(2001)581p+849p
2. ★Nahum M. Sarna, < The JPS Torah Commentary: Genesis>(2001), 번역예정(감은사)
(고전)
★존 칼빈, 메튜 헨리(박문재역,CH북스/ 박근용역, 기독교문사, 1975)
장 칼뱅, 『칼뱅 구약설교집1/1: 창세기 설교1』.박건택 역(크리스천 르네상스, 2019)-2권은 번역 중(1권 한정수량 출간으로 절판 된 듯)
, 찰스 스펄전, 박윤선
(기타)
1. 창세기 - 성경원문 새번역 노트 vol. 1 ,총회성경연구소, 김하연 저, SFC(2020)
2. 윤창대, < 히브리어로 꼭꼭 씹어 창세기 >, CLC(2021), 284p
3. ★T. Desmond Alexander and David W. Baker, <Dictionary of the Old Testament : Pentateuch>, IVP(2003)
3. 데스먼드 알렉산더,<에덴에서 새 예루살렘까지: 요한계시록 21-22장으로 보는 성경의 맥, 2008), 배용덕역, 부흥과개혁사(2012), 220p.
3. 데스몬스 알렉산더, <주제별로 본 모세오경, 1995, 2002, 2012, 2022,4th>, 정효제역,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2009), 560p.
4. ★Robert Alter, <The Hebrew Bible - A Translation With Commentary (Vol_ Three-Volume Set)>, W. W. Norton & Company (2018)
5. 로버트 알터, <성서의 이야기 기술>, 아모르문디(2015)
6. 박철현(총신대학신학대학원 구약학교수), <깨진 토기의 축복- 성경 인물의 내러티브적 읽기>, 솔로몬(2012)
7. 강화구(제일영도교회 담임, 미국 트리니티신학대학원에서 창세기 학위), <성경내러티브읽기>, 대한예수장로회 총회출판국(2020)<--- Reading the Wife/Sister Narratives in Genesis(2018)
8. R.W.L. 모벌리, J.W. 로저슨, <창세기 연구입문>, 민경진역, CLC(2015)
9. 헤르만 궁켈, <창세기 설화>, 감은사(2020)
10. 두안 A.가렛, <창세기 다시 생각하기 : 첫 번째 성경책의 자료와 역사>, 임요한역, 솔로몬(2021)
11. 메리데스 클라인, <하나님 나라의 서막 : 언약적 세계관을 위한 창세기적 토대>, 김구원역, CLC(2007)
12. 송영찬, <창세기의 메시지: 하나님의 언약>(도서출판 깔뱅, 2006)
13. 이광호, <창세기: 창세기 1-50장 구속사 강해 / 성경신학으로 본 본문 메시지>(도서출판 깔뱅, 2007)
14. 김정훈교수, <미술관에서 읽는 창세기>, CLC(2014), 264p
15. 김승현교수(페이스신학대학교), <창세기 연대와 구속사>, CLC(2015), 288p
16. 이흥록목사, <시내산 아래에서 창세기를 읽다:지리, 역사, 복음으로 이해하는 창세기 >, CLC(2015), 456p
17. 윌리엄 J. 덤브렐, <언약과 창조: 구약 언약의 신학>, 크리스챤서적( 2001).
17. 윌리엄 J. 덤브렐, <새언약과 새창조>, 장세훈 역, CLC(2003)
18. 앤서니 후크마, <개혁주의 인간론>, 류호준 역, CLC(1990), 부흥과 개혁사(2012)
19. 리차드 미들톤, <해방의 형상>, 성기문역, SFC(2010)
20. 제임스 B. 조르단, <창세기의 족장 이야기>, CLC(2009), 192p
21. 로널드 헨델, <창세기와 만나다: 탄생, 갈등, 성장의 역사>, 비아(2020)
22. 시드니 그레이다누스 , <창세기 프리칭 예수, 2007> ,CLC(2010), 775p
23. 팔머 로벗슨, <계약신학과 그리스도>, 김의원역, CLC(2008)--->개혁주의신학사(P&R)(2011), 306p
23. 팔머 로벗슨, <언약이란 무엇인가>, 오광만역, 그리심(2002), 160p
24. 이외 단권주석(IVP, 베이커성경주석 등), 배경주석(IVP), 스터디바이블(ESV, NIV 등), 조직신학, 성경신학, 언약 관련 도서들과 강해서들(김홍전, 하용조, 김서택, 이동원, 조정민, 김승년, 정일오 목사,강성열교수,오스왈드 챔버스의 창세기 등).
*** 참고한 것들 ***
- 번역도서의 경우 단계별 분류와 ★ 및 볼드체는 아래 1)~4)와 8)을 주로 참고함.
1) Old Testament Commentary Survey (Tremper Longman III, 2013 )
2) A Guide to Biblical Commentaries and Reference Works_ 10th Edition (John F. Evans, 2016)
3) https://www.ligonier.org/posts/top-commentaries-on-every-book-of-the-bible
(2022년 업데이트 전 자료 참고 했음)
4) https://www.bestcommentaries.com/
5) 류호준교수( 전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구학학)의 무지개교실( http://www.rbc2020.kr/board/bbs/board.php?bo_table=sb1006&wr_id=888 )
6) 데이비드 R. 바우어, <성경연구를 위한 손안의 서재>, 새물결플러스(2014)
7) 데이비드 알렌, <프리칭 툴스>, 임도균, 권호, 김성진, 권영주 편역, 디사이플(2019)
8) 박철현교수(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구약학)의 모세오경 강의안
9) https://www.bestbiblecommentaries.com/#google_vignette
10) 페이스북(손재익, 정한욱 외)
11) 고신대학교도서관 (기동연, 김성수교수 주석 추천목록)
12) https://drbarrick.org/recommendat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