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작에 대한 역사적 유래를 알아보면 ‘동작’이란 말은 ‘동재기’라는 옛말을 한자음으로 표기한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동재기’란 말은 흑석동에서 국립묘지로 넘어 오는 강변 연안 일대에 검붉은 구리빛 색깔을 띤 돌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서빙고에서 이곳으로 연결된 동작대교 남단부근 한강변은 중요한 교통수단인 동재기 나루터(銅雀津)가 위치하고 있던 곳으로 조선시대에 서울에서 과천, 수원, 평택을 거쳐 호남지방으로 내려가는 사람들과 서울로 들어오는 사람들이 배를 타고 건넜던 교통의 요지였다.
이와같이 역사적으로 볼 때 동작은 호남지방으로 통하는 국토의 대동맥이 지나던 곳으로 수많은 사연이 깃든 애환의 길목이기도 하였다. 한편, 국군묘지로 출발해서 국립묘지로 발전하여 겨레의 성역이 되기까지 이 곳 동작이 걸어온 행정구역은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율목군(栗木郡)이었고,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이 통치하면서 율진군(栗津郡)으로 고쳤다. 고려 태조 초에 과주(果州)로 이름 지어지고, 조선조 태종(太宗)때에 지금의 과천(果川)으로 고쳐 현감을 두었던 고을이다. 현재의 동작동은 조선시대에 경기도 과천군 상북면 포촌리였다가, 조선후기에 시흥군 북면 동작리가 되었다. 그 후 1936년 서울시(당시 경성부)로 편입되어 영등포구로 되었다가, 1973년 관악구로 분구되었고, 1980년에 동작구가 설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