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르코니(Guglielmo Marconi 1874~1937)
이태리 태생의[마르코니]는 [리보르노 공대]를 졸업, 1894년 [H.R. Hertz]가 사망하자 헤프츠파의 응용에 착안하여, 부친
집에서무선전신의 실험을 시작하였다. 1896년에는 무선전신에 관한영국특허를 취득, 런던 체신청에서 최초의 공개실험에 성공하였으며, 1897년 런던에서 무선전신회사를 창립하고, 도버해협에서 영국-프랑스의 통신을 실현시켰다.
그 후 대서양을 사이에 둔 송.수신은 1901년12월12일 [콘월주(州) 폴듀]와[뉴펀들안드]의 [세인트 존즈] 사이에서 역사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무선전신은 해저 전신 사업계로터 심한 저항을 받았으나 대(對) 선박 또는 선박 대 선박통신의 독부대가
되었다.
마르코니는 그 밖에도 단일 안테나에 의한 동조식 및 다중 전신동조의 방식(1901), 자기 검파기(1902), 수평지향성 안테나(1905)
등을 발명하였으며 , 그 후로느 그의 회사에 [J.A. 플레밍]을 비롷하여 많은 과학자들을 고문으로 맞아들여 통신거리의 연장,동조
의 개선 및 공전(空電 )혼신의 제거에 주력하였다.
1909년[K.F. 브라운] 과 공동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였으며, 또한1919년에는 파리 평황회의의 이태리 전권 대표가 되었다.
마르코니에 으해 무선통신이 발명되었다는 말이지요..
많은 사람들로 부터 무선통신이 주목을 끌게 되었지요
세계 최초의 전파법
1912년 무선 통신이 가장 활발하였던 미국은 세계 최초의 전파법을 제정 하였다. 그리하여 아마추어 무선사들은 파장200m
이하의 단파대로 쫓겨나고 말았으나, 아마추어 무선사들은 이에 굴하지 않고 단파대를 개척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단파대에서미국 햄들의 피땀어리 실험이 시작되었으며, 결구 단파대를 이용한 통신의 통달거리는 곳곳에서 신기록이
수립되었다.
전리층의 발견 
이와 같이 햄들의 손으로 막을 올린 단파통신을 횟수가 거듭됨에 따라 오히려 파장이
짧을 수록 원거리통신이 잘 된다는 결과를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그결과 여러 학자들이 연구한 끝에 드디어 [케네리]와 [헤비사이드]에 의하여 [케네리-헤비사이드층]이라고 부르는 전리층(이온층)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단파통신에 대한 이론도 체계화되기 시작하였으며, 소전력으로 원거리 통신이 잘 되는단파대로 많은 상업국들이 옮겨오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이 순전히 햄들의 손으로 개척되 단파대가 이제는 무선통신의 대명사가 되어[무선통신]하면 [단파]라고 상식화되고 말았지만, 이것은 새로운 것에 동전하는 햄들이, 이론을 제쳐놓고 서로 도와 가며 실험으로 이룩해 놓은 빛나는 기록인 것이었다.
국제아마추어무선연합(International Amateur Radio Union; IARU의 탄생 
이러한 단파대의 성공으로 원거리교신이 쉽게 되자, 전 세계의 햄들의 수는 부쩍 늘어났고, 드디어 1925년에는 그때 까지 각 나라별로 조직되었던 아마추어무선 단체의 통합체인 [국제 아마추어무선연합]인 IARU가 조직되어, 초대 회장에는 ARRL의 회장이었던 W1AW(맥심)씨가 겸임하게 도었다.
(초기의 아마추어무선계에서는 임으로 호출보호를 부여하였으므로, 현재와 같은 prefix가 없다)
햄(HAM)이라는 용어의 유래
HAM이라는 영어 단어에는 "서투른 배우"라는 뜻이 있다. 이것은, 햄의 지방(FAT)을 화장을 하는 메이크업에 사용하였기 때문에 "서투른 배우"를 『Hamfatter』라고 부르다가 ham으로 줄여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여기에서 유래되어 아마추어무선사도 직업적인 무선사가 아닌 서투른, 초보단계의 무선사 이므로 그들을 호칭하기 위하여 서투른 배우의 뜻이 있는 햄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는 설이 있으며,
또 다른 설로서는 1908년 미국의 하버드 대학 단체무선국의 오퍼레이터들이 운용한 무선국의 호출부호가 ham이었으므로 그로부터 유래되었다고 한다.
그 당시 하버드 대학 단체무선국의 운용자인 [ELBERT.S.HYMAN],[BOB ALMAY],[PEGGY MURRAY]라는 3명의 이름을 따서 처음에는 그들의 무선국을 HAM ATMAY MURRAY 라고 하였으나, CW교신에서 이와 같은 긴 이름으로는 교신에 어려움이 많아 그들이 이름 중 2글자만으로 HY-AL-MU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러나 멕시코 국적의 선박중에 HYALMO라는 이름을 가진 배가 있어 가끔 교신 중에 혼돈이 되었으므로 드디어 1909년에 그들 이름의 첫 글자만으로 HAM이라는 무선국 이름을 작명하여 사용하게 된 것에서 유래되어 오늘의 햄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렇다면 왜 하필이면 하버드대학 단체국의 이름인 햄이 오늘날 아마추어 무선을 지칭하는 단어로 되었는지 대하여는 다소의 역사적을 배경을 이해하여야 한다. 1900연대 초기에는 전파의 사용을 규제하는 법규가 없어, 아마추어 무선사들은 그들의 호출부호와 사용 주파수를 자기 마음대로 정할 수 있었고, 또한 그들이 연구/개발한 기술로써 상업국보다 강한 전파를 송출하게 되니, 아마추어 무선국에 의한 상업 방송에 전파방해도 문제가 대두되어 아마추어무선의 활동을 규제하려는 무선활동 규제 법안이 미국의회에 제출되었다.
이 때 하버드 대학 단체무선국의 멤버인 FLBERT.S.HYMAN은 의회에 제출된 문제의 무선 활동 규제법안을 주제로 한 졸업 논문을 쓰게 되었는데 HYMAN은 지도교수의 권유로 그의 논문의 사본을 그 법안 심의위원 중의 한 사람인 DAVID.L.WALSH 위원에게 보내게 되었다.
그 졸업 논문을 받아 본 WALSH상원위원은 HYMAN에게 의회에 출석하여 아마추어무선에 대한 설명과 아울러 만약 이 법안이 통과 되었을 때 아마추어 무선사들이 감당해야할 제반 규제와 면허세 등의 경제적 부담으로 인하여 아마추어무선국의 활동이 위축되어 드디어는 폐국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호소하였다. 그 후 이 법안이 의회에 상정되었을 때 의원들은 HAM이라고 하는 하버드 대학의 단체무선국과 아마추어무선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결국 이들의 노력으로 상업방송국들의 위협으로부터 아마추어무선국을 보호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것을 계기로 미국에서는 하버드대학의 아마추어 단체무선국 HAM 이 아마추어 무선국에 대한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으며, 그 이후 미국인들은 이 HAM 이라느 하버드대학의 단체 무선국을 아마추어무선국과 관련짓게 됨으로써 무선계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아마추어무선과 HAM을 동일하게 생각하게 되어 아마추어무선을 HAM 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다.
그러나 햄의 어원이야 어떻든, 전 세계의 HAM 들은 인류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전파를 매개체로 하고 있으며, 더구나 HAM들이 쓰는 주파수대는 단파이기 때문에 소출력의 전파로도 지구의 반대편까지 교신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햄들이 전파를 통하여 서로 만나게되면 국경, 나이, 직업등 모든 사회적 지위를 초월하여 순수한 친구로서 대화를 나누게 된다.
세계의 평화와 국제적인 우정,그리고 무선통신의 끝없는 개척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 국경 없는 세계적인 모임인 햄의 세계는 오늘도 여러분의 참여를 고대하고 있다.
대전동그라미네트 DSOMK
대전동그라미(DS0MK)네트 DS3HZU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교양교육 교재에서.....
첫댓글 수고하셨습니다
알차지고 있음을 느끼니 어찌아니 기쁘리오 수고했습니다
덕분에 무선통신에 역사 잘알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