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급 소방안전관리자 수첩을 시험으로 취득하기 위해서는 소방설비기사 취득후1급소방대상물에 선임하여 2년이상 근무(산업기사는 4년), 총괄재난관리자로 2년이상 근무하거나, 특급소방안전관리자 강습 교육 4주 수료를 하면 특급소방안전관리자 시험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집니다.
시험접수 자격이 확보가 되었으면 시험 유형 파악을 하고 공부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급소방안전관리자 시험 문제는 출판이 되지 않기 때문에 어디에서도 구할 수가 없어 처음 공부하는 사람들은 시험을 1~2번 본 후에 유형 파악을 대부분하고 있습니다.
특급소방안전관리자 취득을 원하시는 분은 시험 유형 파악에 시간 낭비하지 마시고 시험 유형을 빠르게 파악하고 공부를 하시기 바라며, 아래 기출 시험 유형 예시를 보시고 제본을 신청하여 바로 공부하시길 추천 드립니다.
♠ 특급소방안전관리자 정보공유(카페 가입 초대)
https://cafe.daum.net/Pro-Fire-Association
♠ 특급소방안전관리자 기출 및 합격 방법
https://cafe.daum.net/Pro-Fire-Association/VRYx/1?svc=cafeapi
♠ 2차시험 기출 미리보기/제본신청 방법
https://cafe.daum.net/Pro-Fire-Association/VRSE/3?svc=cafeapi
♠ 특급소방안전관리자 기출 문제 찾는방법
https://m.blog.naver.com/happyha20/223236580686
◆ 1차시험 공부방법
★ 특급소방 1차 시험은
다른분이 요약한 수십페이지 자료 또는 기출만 공부하시면 100% 불합격합니다. 요약에 없는 매회 신출이 약 20% 출제되기 때문입니다
기출의 설명이 요약이므로 교재->기출(설명내용 필독) 반복하시기 바랍니다
◆ 특급소방 1차/2차기출 제본 문의/신청 [아래 제본표지 및 기출문제 미리보기 참조하여 신청하세요]
- 메일 : hsha7@nate.com
- 카톡ID : happyha77
[특급소방 1차시험 기출/예상문제 제본표지 및 목차]
◆ 1차기출 파일명 ◆ 해피캠퍼스에서 조회시에는 반드시 파일명 마지막에 [해피하] 확인요망
> 다운후 무단 도용해서 요약 및 기출을 만들어 판매하는 사람들이 있어서 21회부터는 제본으로만 가능토록 변경하였으니 메일/카톡으로 신청하세요
01. 특급소방 1차시험 21회(24년9월28일) 문제 및 해설[해피하] =>제본으로만 가능(메일/카톡ID로 신청)
02. 특급소방 1차시험 20회(24년5월25일) 문제 및 해설[해피하]
03. 특급소방 1차시험 19회(23년9월23일) 문제 및 해설[해피하]
04. 특급소방 1차시험 18회(23년5월13일) 문제 및 해설[해피하]
05. 특급소방 1차시험 17회(22년9월17일) 문제 및 해설[해피하]
06. 특급소방 1차시험 16회(22년6월04일) 문제 및 해설[해피하]
★ 1차 시험 문제 미리보기
*문제만으로 공부가 가능토록 문제마다 상세설명이 추가 되어있으며 아래 미리보기에는 일부만 설명을 포함함
[21회]
1. 다음 중 특급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① 지상 30층 이상이고 연면적 40000m2 업무시설
② 20층 이상이고 연면적 120000m2 숙박시설
③ 45층 이상이고 높이가 200m 이상인 아파트
④ 연면적 20000m2 이상인 공항,철도시설
[답] ④
[소방안전관리(보조)자를 두어야 하는 선임대상물,]
<특급>
① 지제 50층이상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200m이상인 (아파트)
② 지포 30층이상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m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제외)
③ 위 ②에 해당하지 않는 특정대상물로서 연면적 10만m2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제외)
<1급>
① 지제 30층이상이거나 120m이상 이상인 (아파트)
② 연면적 1만5천m2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제외)
③ 층수가 11층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제외)
④ 가연성가스를 1000톤이상 저장/취급하는 시설
2. 공사현장에 임시소방시설을 설치 안해도 되는 것은?
① 간이 피난유도선 ② 간이 스프링클러설비
③ 비상경보장치 ④ 가스누설경보기
[답] ②
[임시소방시설의 종류(소방시설의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8)]
1) 소화기
2) 간이소화장치 : 물을방사하여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장치
3) 비상경보장치 ; 화재가 발생한 경우 주변에 있는 작업자에게 화재사실을 알랄 수 있는 장치
4) 가스누설경보기 : 가연성 가스가 누설 또는 발생된 경우 탐지하여 경보하는 장치
5) 간이피난유도선 : 화재가 발생한 경우 피난구 방향을 아내할 수 있는 장치
6) 비상조명등 : 화재발생 시 안전하고 원활한 피난활동을 할수 있도록 거실 및 피난통로 등에 설치하여 자동 점등되는 조명장치
7) 방화포 · 용접 · 용단(금속 유리 플라스틱 따위를 녹여서 절단하는 일) 등 작업시 발생하는 금속성 불티로부터 가연물이 점화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천 또는 불연성 물품
[20회]
1.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
① 재난예측정보, 기상예보 등을 분석한 결과 소방대상물에 화재 발생 위협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② 화재예방강화지구 등 법령에서 화재안전조사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경우
③ 화재가 발생하였거나 발생 우려 있는 곳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
④ 자체점검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답] ③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법 제7조)]
1)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 22조에 따른 자체점검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2) 화재예방강화지구 등 법령에서 화재안전조사를 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경우
3) 화재예방안전진단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4) 국가적 행사 등 주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 및 그 주변의 관계 지역에 대하여 소방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
5)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뚜렷한 곳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경우
6) 재난예측정보, 기상예보 등을 분석한 결과 소방대상물에 화재 발생 위험이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7) 위1)호부터 6)호까지에서 규정한 경우 외에 화재 그 밖의 긴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인명 또는 재산 피해의 우려가 현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2. 가스의 분출속도가 크거나 공기유동 너무 강해서 불꽃이 노즐에 정착하지않고 떨어져 꺼지는 현상은 무엇인가?
① 역화 ② 리프트
③ 블로우오프 ④ 불완전연소
[답] ③
[연소시 발생되는 이상현상]
1) 역화(Back Fire)
불꽃이 연소기내로 전파되어 연소하는 현상으로 가스의 공급속도보다 연소속도가 클때 발생
2) 리프트( lift) 또는 리프팅(Lifting)
버너에서 연소기의 분출속도가 연소속도보다 커서 불꽃이 노즐에서 떨어져 노즐에 정착되지 않고 불꽃이 버너 상부에 떠서(lift) 어떤 거리를 유지하면서 공간에서 연소하는 이상현상
3) 블로우오프(Blow Off)
가스의 분출속도가 크거나 공기의 유동이 너무 강하여 불꽃이 노즐에서 정착하지 않고 떨어지게 되어 꺼져버리는 현상
3. 다중이용업소에서 1회 위반하여 시정명령하였으나 2회에도 시정조치를 하지않았을 경우 과태료는 얼마인가
① 200만원 ② 300만원
③ 100만원 ④ 50만원
[답] ①
[19회]
1. 화재예방강화 지구가 아닌 것은?
① 공장창고 밀집지역
② 위험물 저장처리시설 밀집지역
③ 학교밀집지역
④ 산업단지
[답] ③
[화재예방강화 지구]
1) 시장지역
2) 공장·창고가 밀집한 지역
3) 목조건물이 밀집한지역
4) 노후·불량건축물이 밀집한지역
5) 위험물의 저장 및 처리 시설이 밀집한 지역
6)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는 지역
7)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법률] 에 따른 산업단지
8) 소방시설·소방용수시설 또는 소방 출동로가 없는 지역
9) 그밖에 위 (1)호부터 (8)호까지에 준하는지역으로서 소방관서장이 화재예방강화지구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하는 지역
2. 화재피해복구지원 내용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① 생활안전지원 받으려는 자는 재난선포된 날부터 14일내에 신청하여야 한다.
② 사회재난으로 피해가 예상되어 주거가 불가능하게 된 사람은 주거비를 지원한다
③ 주택이 파손되거나 유실된 사람에게는 구호비를 지원한다
④ 생활안전지원은 특별자치시장, 시장, 군수, 구청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답] ①
3.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해야할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것은?
① 6층이상 건축물의 모든층
② 지하가 중 터널길이가 500m 이상인것
③ 판매시설 중 전통시장
④ 연면적 600m 이상의 복합건축물의 모든층
[답] ② (지하가 중 터널길이가 1000m 이상)
4. 30층이상 고층건축물의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으로 맞는것은?
① 스프링클러설비 법정저수량은 48m3이상이 되도록 해야한다
② 스프링클러설비 주배관 중 수직배관은 2개 이상 설치한다
③ 스프링클러 헤드에는 2개 이상의 가지배관을 설치한다
④ 비상전원은 스프링클러설비를 40분이상 작동 할 수 있어야 한다
[답] ④
[고층건축물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기준 ]
1) 수원은 그 저수량이 스프링클러설비 설치장소별 스프링클러헤드의 기준개수에 3.2m3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다만 50층 이상인 건축물의 경우에는 4.8m3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2) 수원은 1)에 따라 산출된 유효수량 외에 유효수량의 3분의 1이상을 옥상(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건축물의 주된 옥상을 말한다)에 설치하여야 한다.
3)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의한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는 스프링클러설비 전용으로 설치해야 하며, 주펌프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별도의 펌프로서 내연기관의 기동과 연동하여 작동되거나 비상전원을 연결한 예비펌프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4) 급수배관은 전용으로 설치해야 한다.
5) 50층 이상인 건축물의 스프링클러설비 주배관 중 수직배관은 2개 이상(주배관 성능을 갖는 동일호칭 배관)으로 설치하고 하나의 수직배관이 파손 등 작동 불능 시에도 다른 수직배관으로부터 소화수가 공급되도록 구성해야 하며, 각각의 수직배관에 유수검지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6) 50층 이상인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헤드에는 2개 이상의 가지배관으로부터 양방향에서 소화수가 공급되도록 하고, 수리계산에 의한 설계를 해야 한다.
7) 스프링클러설비의 음향장치는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에 따라 설치하되, 다음 기준에 따라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가. 2충 이상의 충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충·그 직상 4개층에 경보를 발할 것
나. 1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그 직상 4개층 및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 것
다.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에 경보를 발할것
8)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 축전지를 말한다) 또는 전기저장장치로서 스프링클러설비를 40분이상 작동활 수 있을 것. 다만 50층 이상인 건축물의 정우에는 60분 이상 작동할 수 있어야한다.
[18회]
1. 옥내저장소에서 단층이 아닌 건축물의 1층 또는 지하층의 탱크전용실에 설치가 가능한것이 아닌것은?
① 덩어리유황 ② 과산화수소
③ 황화린 ④ 적린
[답] ②
2. 다음 소화작용에 따른 분류 중 소화 특성이 다른것은?
① 연소 에너지 한계에 의한 소화
② 가연성 물질의 농도를 연소범위 밖으로하여 소화하는 방법
③ 가연성 혼합기에 불활성 물질올 첨가하여 연소범위를 좁혀서 연소를 정지시키는 방법
④ 연쇄반응에 의한 활성화 라디칼(radical)의 생성을 억제하는 소화법
[답] ④
<물리적 작용에 의한 소화>
1) 연소 에너지 한계에 의한 소화
2) 농도 한계에 의한 소화
(1) 가연성 물질의 농도를 연소범위 밖으로하여 소화하는 방법
(2) 가연성 혼합기에 불활성 물질올 첨가하여 연소범위를 좁혀서 연소를 정지시키는 방법
3) 화염의 불안정에 의한 소화
<화학적 작용에 의한 소화>
- 활성화 라디칼(radical)의 생성을 억제하는 연쇄반응의 중단에 의한 소화법
ex) 분말소화약제 할론류에 의한 소화
3. 지하층이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는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해당층의 밀도가 0.5, 면적은 10,000m² 인 경우 피난안전구역 면적[m²]은 얼마인가?
① 100 ② 140 ③ 220 ④ 232
[답] ②
▷ 피난안전구역 면적[m2]
= (수용인원 x 0.1) x 0.28m²
= (10,000m² x 0.5 명/m²x 0.1) x 0.28m²
= 140m²
[17회]
1. 소방시설의 하자보수 기간이 2년이 아닌 것은 ?
① 비상경보설비 ② 비상방송설비
③ 무선통신보조설비 ④ 연결살수설비
[답] ③
[소방시설공사의 하자보수(시행령 제6조)]
1) 피난기구, 유도등, 유도표지, 비상경보설비, 비상조명등, 비상방송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2년
2) 자동소화장치, 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등소화설비, 옥외소화전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상수도소화용수설비 및 소화활동설비(무선통신보조설비는 제외) : 3년
* 소화활동설비 : 제연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비상콘센트설비, 연소방지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2. 재난의 대응에서 행정안전부장관 재난선포지역에 관한 조치사항으로 틀린것은?
① 재난경보의 발령, 인력, 장비 및 물자의 동원
② 위험구역 설정
③ 응급지원 등 이법에 따른 응급조치
④ 해당지역에 대한 여행 등 이동 권고
[답] ④
3. 0℃ 얼음, 5kg이 100℃ 수증기로 될때 필요한 열량[kcal]은?
① 3195 ② 3265
③ 3595 ④ 3695
[답] ③
[풀이]
Q = m·r + m·C·ΔT + m·r
= 5[kg] x 80[kcal/kg] + 5[kg] x 1[kcal/kg•℃] x (100 - 0) + 5[kg] x 539[kcal/kg] = 3595 [kcal/kg∙℃]
Q = 헌열(상태의 변화 없이 온도변화에 필요한 열량) + 잠열(상태가 변할 때 방출 되거나 흡수되는 열)
[16회]
1. 소방안전관리보조자를 두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다만, 야간과 휴일에도 이용되고 연면적이 15,000㎡ 미만인 경우이다)
① 치료감호시설 ② 수련시설
③ 의료시설 ④ 노유자시설
[답] ①
▶ 보조자 선임대상물 : 공동주택(기숙사), 의료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숙박시설
2.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건축허가 동의대상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① 지하층 또는 무창층이 있는 건축물로서 바닥면적이 100m2 이상인 층
② 지하구, 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③ 11층 오피스텔
④ 차고 주차장으로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층이 있는 주차시설
답] ①
3. 지하5층, 지상 39층 건축물의 화재시 발화층.직상층 우선경보 내용으로 틀린 것은 ?
① 2층 화재시 : 2층, 3층 ~ 6층
② 1층 화재시 : 1층, 2층 ~ 5층, 지하층
③ 지하1층 화재시 : 지하1층, 1층 ~ 4층, 기타 지하층
④ 지하5층 화재시 : 지하 전층 (= 지하5층, 지하4층, 기타 지하층)
[답] ③ (지하1층 화재시 지하전층, 1층)
[스프링클러설비, 비상방송설비, 자동화재탐지비 음향장치 설치기준]
가. 2층이상의 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및 그 직상 4개층에 경보
나. 1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그 직상 4개층 및 지하층에 경보
다.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그 직상층 및 나머지 지하층에 경보
[15회]
1. 변혁적 리더십으로 맞는것은?
2. 종합방재실 위치 기준으로 틀린것은?
3. 성능위주 소방설계 대상이 아닌것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