始祖 행(權幸)― 고려 삼한벽상삼중대광아보공신태사(高麗 三韓壁上三重大匡亞父功臣太師)
2 世 인행(權仁幸)― 1男 낭중공(郞中公)
3 世 책(權冊)― 2男중 1 고려성종목향(高麗成宗牧鄕)
4 世 균한(權均漢)― 3男중 1 우일품별장(右一品別將)
5 世 팽(權彭)― 1男 호장정조(戶長正朝)
6 世 선개(權先蓋)― 1男 호장동정행익아교위(戶長同正行翼牙校尉)
7 世 염(權廉)― 1男 호장동정행배융교위(戶長同正行培戎校尉)
8 世 이여(權利輿)― 1男 호장(戶長)
9 世 통(權通)― 7男중 4 호장(戶長) 안회곡집운성균생원(按晦谷集云成均生員)
10世 지정(權至正)― 2男중 1 호장좌윤(戶長佐尹) 좌윤공파시조(佐尹公派始祖)
※【(守中,副戶長)(樞密,僕射)(同正)(佐尹,別將)(副正)(侍中)(給事中)】
(中允)(軍器監)【(正朝)(戶長)】(檢校)
11世 세위(權世位)― 1男 정용위별장 행병조정랑군기감은청 광록대부추밀원부사겸호장
(精勇衛別將 行兵曹正郞軍器監銀靑 光祿大夫樞密院府事兼戶長)
12世 양준(權良俊)― 1男 별장부정(別將副正) 행병조정랑(行兵曹正郞) ※ 諱 守洪의 사위
13世 수(權粹)― 1男 문과급제(文科及第)
14世 혁(權奕)― 2男중 1 충열경인 문과급제 중문지후 증 가선대부이조참판 추봉영가군
(忠烈庚寅 文科及第 中門祗侯 贈 嘉善大夫吏曹參判 追封永嘉君)
墓 燕尾院烏耳洞合窆
15世 용일(權用一)― 1男 낭장 문하시중 증 숭록대부 의정부좌참찬 추밀원사 시 희경공
(郞將 門下侍中 贈 崇祿大夫 議政府左參贊 樞密院事 諡 僖敬公)
墓 燕尾院烏耳洞合窆 ※ 婦人은 諱 守洪의 曾孫女
16世 희정(權希正)― 2男 중 1 감찰규정(監察糾正) 증 대광보국 숭록대부 의정부좌의정
(贈大匡輔國 崇祿大夫 議政府左議政) 諡호는 文靖公
墓 府南高支洞雙墳 ※ 金得雨(安東)과 겹사돈, 권진과 김혁은 처남이자 매부
17世 지(權輊)― 7男중4 생원(生員)현감(縣監)유효행(有孝行)효정려(孝旌閭)
墓 郡北 下金谷 池洞(못골)
※ 장남 곡(轂):版圖公派, 2남 여도(輿道):无后, 3남 진(軫):文景公派,
4남 지(輊):縣監公派, 5남 헌(軒):无后, 6남 초(軺):判事公派,
7자 치(輜):縣令公派(墓 燕院) ※ 6남 초(軺)의 後孫은 池後에 世居
18世 약평(權若枰)― 4男중4 진사(進士) 墓 能川 ※ 墓碑의 글자가 ‘若’(?)
19世 손(權巽)― 1男 진사사직(進士司直) 失傳
20世 광서(權光瑞)― 2男중 2 순능참봉(順陵叅奉) 配(恭人)甘泉文氏 墓 水深 雙墳
21世 종경(權宗經)― 3男중 1 墓 郡北 德眞洞
22世 대응(權大凝)― 2男중 1 號孤山 장사랑훈도(將仕郞訓導) 配(恭人)呂泉尹氏
墓 明鏡池 雙墳 ※ 族譜에는 醴泉尹氏, 床石에는 呂泉尹氏 (?)
23世 여근(權汝勤)― 1男 선무랑(宣務郞) 配(宜人)呂泉權氏 墓 明鏡池 合窆
24世 백용(權伯龍)― 3男중 1 配驪興李氏 墓 明鏡池 祖考墓 階下 連墳
25世 미윤(權美胤)― 1男 配原州邊氏 墓 憂忘 連墳 (配坡平尹氏 墓 明鏡池)
26世 적(權迪)― 3男중 1 號鳩谷 仁祖朝 진사(進士) 문과(文科) 문사간집의(文司諫執義)
歷四郡 牧使 墓 澗谷村(간실) (配<淑夫人>豊基奏氏 諸古谷-德新, 配<淑夫人>
襄陽權氏 明鏡池) ※ 2남 迕(野唐), 3남 逸(德岩)
27世 명호(權命祜)― 3男중 2 字受天 號蘆隱 贈左承旨參贊 墓 小峴山(配南陽洪氏 雙墳)
※(命禧-제천, 命祜, 命裕-안골)
◀ 附錄 ▶
太師(태사) - 고려 시대에, 임금의 고문을 맡은 정일품 벼슬. 원로대신에게 주는 명예직이었다. 태부(太傅)·태보(太保)와 함께 삼사(三師)라 불렸는데, 이 중 가장 높은 벼슬이었다.
郎中(랑중) - 고려 초기의 향직(鄕職). 성종 2년(983)에 호정(戶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3 고려 시대에, 상서성·고공사·도관·육조의 정오품 벼슬. 뒤에 정랑(正郞), 직랑(直郞) 등으로 여러 번 이름이 바뀌었다.
追封(추봉) - 죽은 사람에게 관작(官爵)을 내림
17世 諱 輊 ‣ 縣監
조선 世宗 때 龍門面 上金谷里 사람으로, 희정(希正)의 넷째 아들, 左議政 진(軫)의 동생이다.
世宗 때 進士試에 급제하고, 음서(蔭敍)로 개령 현감(開寧縣監)을 역임하였다.
안동의 동문(東門) 밖에서 태어났으나 개령(開寧)에서 임기가 만료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上金谷里로 옮겨살았다.
孝行이 지극하여 정려(旌閭)되기도 하였다. 무덤은 龍門面 下金谷里 못골(池洞)에 있다.
이상의 사실은 <예천군읍지(1770)>, <조선환여승람(1929)>, <안동문화연구>등에 실려 있음
開寧縣 - 지금의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개령면·감문면·남면·농소면 일대에 1914년까지 존 속했던 행정구역.
蔭敍 - 고려와 조선 시대, 나라에 공을 세운 신하나 지위가 높은 관리의 자손을 과거를 치르지 아니하고 관리로 채용하던 일
縣監 - 조선시대 동반(東班) 종육품(從六品) 외관직(外官職)으로 정원은 138원인데 후기에는 122원으로 줄었다. 부윤(府尹: 從二品)‧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正三品)‧ 목사(牧使: 正三品)‧ 도호부사(都護府使: 從三品)‧ 군수(郡守: 從四品)‧ 현령(縣令: 從五品)과 같이 각도 관찰사(觀察使: 從二品)의 관할(管轄) 하에 있었다.
1413년(태종 13) 지방제도 개혁 때 감무(監務)를 현감(縣監: 從六品)으로 개칭했다. 이로써 현의 수령으로 현령과 현감을 두게 되었다. 당시 지방의 말단기관장인 역(驛)의 찰방(察訪: 從六品)과 동격인, 지방수령으로서는 가장 낮은 관직이었다.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어 대한제국까지 이어졌다. 군직으로는 절제도위(節制都尉)를 겸하였다.
26世 諱 迪 ‣ 進士, 牧使
1626년(인조 4)∼1679년(숙종 5).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계경(啓卿), 호는 구곡(鳩谷).
부친은 권미윤(權美胤)이며, 모친은 원주변씨(原州邊氏)로 변일(邊鎰)의 딸이다.
1654년(효종 5) 생원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60년(현종 1) 홍문관전적에 임명된 뒤 예조좌랑‧강원도사‧형조정랑‧성균관사성을 지냈다.
1668년 영암군수(靈巖郡守)로 있을 때에는 효열을 포창하고 학문을 권장하였으며, 굶주림에 허덕이는 백성들을 잘 구제하여 포상을 받았다.
1674년 사헌부지평이 되었고, 그뒤 평양서윤(平壤庶尹)‧남원부사‧충주목사‧사간원헌납 등을 거쳐, 1678년 사헌부장령‧사도시정(司䆃寺正)‧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 《구곡문집》 4권 2책이 있다.
※ [문과] 현종(顯宗) 1년(1660) 경자(庚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8위(18/35)
[생원시] 효종(孝宗) 5년(165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식년생원] 2등(二等) 3위(8/100)
[진사시] 효종(孝宗) 5년(165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식년진사] 숙종(肅宗) 46년(1720) 경자(更子) 2등(二等) 2위(7/100)
進士 -조선 시대에, 과거의 예비 시험인 소과(小科)의 복시에 합격한 사람에게 준 칭호. 또는 그런 사람. 생원시의 경우 대체로 유교경전에 관한 지식을 시험했으며, 진사시는 사장(詞章)의 능력을 시험 보았다. 이들에게는 성균관 입학 자격을 주었고 문과에 급제하면 관직에 나갈 수 있었다. 또 군역·잡역을 면제받았으며, 관직에 나가지 않더라도 진사라는 칭호만으로도 향촌사회의 지도자로 인식되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당쟁의 격화로 문과 급제자라고 하더라도 집권당에 속하지 않으면 관료로서 출세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사라는 칭호를 받는 것으로 만족하여 문과에 응시하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 따라서 진사는 향촌사회에서 선비의 존칭으로 보편성을 띠게 되었다.
牧使 -조선시대 관찰사(觀察使) 밑에서 각 목(牧)을 다스리던 정삼품(正三品) 동반 외관직(外官職)이다. 병권(兵權)도 함께 가졌다. 조선시대에는 정3품 외관직인 목사를 경기도·충청도·경상도·전라도 등지에 있던 20목에 파견했다. 목은 큰 도(道)와 중요한 곳에 두었는데, 왕실과 관계가 있는 지방은 작더라도 목으로 승격시켰다. 이들이 하던 일은 관할 지역의 농업장려, 호구(戶口)의 확보, 공부(貢賦)의 징수, 교육진흥, 군정의 수비, 사송(詞訟)의 처결(處決) 등이었고, 진관체제(鎭管體制)가 실시되면서 진관의 책임자인 첨절제사(僉節制使)의 군직을 겸하기도 했다.
. 경기도(京畿道)에 3목[여주(驪州)‧파주(坡州)‧양주(楊州)], 충청도(忠淸道)에 4목[충주(忠州)‧청주(淸州)‧공주(公州)‧홍주(洪州)], 경상도(慶尙道)에 3목[상주(尙州)‧진주(晉州)‧성주(星州)], 전라도(全羅道)에 4목[나주(羅州)‧광주(光州)‧제주(濟州)‧능주(綾州)], 강원도(江原道)에 1목[원주(原州)], 황해도(黃海道)에 2목[황주(黃州)‧해주(海州)], 함경도(咸鏡道)에 1목[길주(吉州)], 평안도(平安道)에 2목[안주(安州)‧정주(定州)] 등 모두 20목을 두었다.
執義 - 조선시대 사헌부(司憲府)의 종삼품(從三品) 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1401년(태종 1)에 중승(中丞)을 고친 이름으로, 중승(中丞) 또는 아장(亞長)이라고 하였으며, 대사헌(大司憲: 從二品) 이하 장령(掌令: 正四品)‧지평(持平: 正五品)까지의 다른 사헌부 관원과 함께 통칭 대관(臺官)이라고 하였다. 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높아서 이조(吏曹)로부터 천거(薦擧)된 대관을 특히 남대(南臺)라고 하였다. 한번 이 벼슬을 지낸 사람은 아래 벼슬을 제수 받지 못하였다.
모든 대관은 사헌부의 청환직(淸宦職)으로, 문과 급제자 중 청렴 강직하여 시류에 영합하지 않고, 옳다고 믿는 바를 굽히지 않고 직언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하므로, 승문원(承文院), 성균관(成均館), 홍문관(弘文館) 등을 거친 젊고 기개가 있는 인재들이 임명되었는데, 그만큼 직무가 막중하기 때문이었다. 이조(吏曹)의 전랑(銓郞)과 함께 전 조선시대의 사족사회(士族社會)의 틀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였다.
司憲府 - 법제적으로 규정된 사헌부의 기능은 처음 성립할 때는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관리의 공과(功過) 고찰, 포거(褒擧)·탄핵하는 일이었다. 〈경국대전〉에는 여기에 원통하고 억울한 일을 풀어주며, 남위(濫僞)를 금하는 일 등이 추가되었다. 사헌부의 기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① 언론 기능, ② 정치참여 기능, ③ 시종 기능, ④ 서경 기능, ⑤ 사법 기능 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27世 諱 命祜 ‣ 贈 左承旨經筵參贊官
左承旨 :
1. 고려 시대에, 밀직사에 속하여 왕명의 출납을 맡아 하던 정삼품 벼슬. 충렬왕 2년(1276)에 좌승선을 고친 것이다.
2. 조선 시대에, 중추원이나 승정원에 속하여 왕명의 출납과 육조(六曹)의 업무를 나누어 맡아 하던 정삼품 당상관(堂上官)의 벼슬로 정원은 1원이다. 태종 원년(1401)에 좌대언으로 고쳤다가 1433년(세종 15)에 다시 이 이름으로 고쳤다. 1894년(고종 31) 관제개혁 때 좌승선(左承宣)으로 바뀌면서 없어졌다. 우승지(右承旨)와 함께 동벽(東壁)이라고 칭하였다.
經筵 : 고려·조선 시대에, 임금이 학문을 닦기 위하여 학식과 덕망이 높은 신하를 불러 경서(經書) 및 왕도(王道)에 관하여 강론하게 하던 일. 또는 그런 자리. 왕권의 행사를 규제하는 중요한 일을 수행하였다.
參贊官 : 조선시대 경연청(經筵廳)에서 국왕에게 경서(經書) 강론 및 경연(經筵)에 참여하였던 정삼품(正三品) 당상관(堂上官)으로 정원은 7원이다. 승정원의 승지, 홍문관의 부제학도 이를 겸했는데, 동지경연사의 다음 서열이다.
贈職 : 예전에, 종이품 이상의 벼슬아치의 부친, 조부, 증조부나 또는 충신, 효자 및 학행(學行)이 높은 사람에게 사후(死後)에 벼슬과 품계를 추증(追贈)하는 일을 이르던 말.
十月 墓祀 日程 |
10월 1일 ⇒ 못골(龍門, 19代祖) |
10월 10일 ⇒ 잔고개(門中 8, 9代祖) |
10월 3일 ⇒ 민경지(龍門, 11~14代祖) |
10월 14일 ⇒ 제비원((安東 燕苑 派始祖) |
10월 8일 ⇒ 간실(甘泉, 10代祖) |
陵洞(始祖)⇒重丁日(10월중 ‘丁’자가 두 번째 드는 날) |
(음력이고, 36세 기준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