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성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아래의 문헌를 탐독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있으며
이 자료를 토대로 북한산성 사진연구에 몰두하고자 함이다.
이러한 문헌자료를 잘 정리 나열함으로써 차후 심도있는 연구를 위해 재 탐구노력에 편의를 갖고자 함이다.
- 북한지(성능) - 영인본
- 화성성역의궤 - 영인본
- 조선왕조실록(온라인 규장각)
- 고려사절요(신서원 /민족문화추진회)
- 살아있는 백제사(휴머니스트 / 이도학 지음)
- 삼국유사(민음사 / 일연 / 김원중 옮김)
- 삼국사기(한국인문고전연구소 / 김부식 / 박장열외 5인 옮김)
- 제왕운기(도서출판 역락 / 이승휴 /김경수 역주)
- 북한산성(대원사 조면구)
- 북한산1.2.3(집문당 민경길)
- 숙종 [조선의 지존으로 서다] (해냄 이한우)
- 북한산성과 팔도사찰(대한불교진흥원)
- 한국의 성곽(눈빛 차용길/최진연)
- 성곽답사와 국토기행(범우사 유근표)
- 북한산 역사지리(범우사 김윤우)
- 성과 왕국(주류성 조윤민)
- 고려의 남경과, 한양(신서원 김창현)
- 정묘.병자호란과 동아시아(푸른역사 한명기)
- 산성으로 보는 5000년 한국사(예스위캔 이덕일)
- 한성백제의 탄생(서경 박순발)
- 아방강역고(현대실학사, 정약용저, 정해겸역주)
- 백제의 흥망과 전쟁(혜안 문안식)
- 북한산 꼮지(애기꾼, 남지심외 바띠 공정)
- 북한산(대원사 박인식)
- 병자호란(푸른역사, 함명기)
- 살아있는 백제사(휴머니스트, 이도학)
- 고구려 남진정책 연구(서경, 백종오)
- 사화와 반정의 시대(역사비평사. 김범)
- 남한기략(박이정, 김상헌저, 역주 신해진)
- 우리터, 우리혼 남한산성(다할미디어, 최진연)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창비, 유홍준)
- 각석(刻石) : 잊혀진 각석을 찾아가는 서울 성곽의 역사(조은, 박계형)
- 광해군 그 위험한 거울(너머북스, 오항녕)
- 조선시대 당쟁사(아름다운날, 이성무)
- 기네스북 북한산에서 세계유산 조선왕릉까지(경인문화사, 심준용)
- 한양풍수와 경복궁의 모든 것(태웅출판사, 안국준)
- 한국군사사(14, 성곽)[육군본부, 육군군사연구소)
- 성곽 조사방법론(사회평론아카데미,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전란과 역사의 여울목 산성기행(책과 상상/안순모)
- 이용재의 재미있는 산성여행(해바라기/이용재)
- 경기도 산성여행 역사의 흔적(주류성/최진연)
- 한국의 성곽(주류성/손영식)
- 조선중기 정치사 연구(국학자료원/김돈)
-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인조~현종시기(아카넷/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 정치사 연구반)
- 韓民族과 해 속의 三足烏(학연문화사/김주미)
- 고조선 연구 상.하(만권당/윤내현)
- 桓檀古記[상생출판/ 계연수(엮은이), 안경전(옮긴이)]
- 조선상고사(비봉출판사 / 단재 신채호 원저, 박기봉 옮김)
- 조선상고 문화사 외(비봉출판사 / 단재 신채호 원저, 박기봉 옮김)
- 고구려는 어떻게 역사가 되었는가(채륜서 / 오순제)
- 처음 읽는 부여사(사계절출판사 / 송호정)
- 발해고(홍익 / 유득공 지음, 송기호 옮김)
- 한사군은 중국에 있었다(우리역사연구재단 / 문성재)
- 백제, 누가 언제 세웠나?(주, 휴먼컬처아리랑 / 한성백제박물관)
- 정역 중국정사 조선.동이전 1, 2, 3(우리역사연구재단 / 역주 문성재)
- 신화 속에 깃든 백제의 역사(학연문화사 / 이장웅)
- 서울역사의 시장 한성백제(학연문화사 / 이장용)
- 숙종의 대청인식과 수도권 방어정책(민속원 / 김우진)
- 고조선 고구려사 연구(도서출판 신서원 / 조법종)
- 김부식과 일연은 왜?(한계레 출판 / 정출헌)
- 동북공정 너머 요하문명론(소나무 / 우실하)
- 십팔사략(十八史略) 상,하(인간사랑 / 증선지 저, 신동준 역주)
- 남한산성(학고재, 김훈 장편소설)
- 장희빈(범무사, 박종화 장편소설)
- 장희빈과 당쟁비사(윤승한 장편소설)
- 옛 그림 따라걷는 서울길(서해문집, 최열)
- 고구려(김진명 장편소설, 새움)
- 숙종 강화를 품다(역사공간/ 이경수)
- 국왕숙종, 잊혀진 창업주 태조를 되살리다.(여유당/윤정)
-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김영사 / 이덕일)
- 민족신화와 건국영웅들(민속원 / 임재해)
- 북한산성 지표조사 보고서(1996 서울대학교박물관)
- 북한산 삼천사지 조사발굴보고서(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소재 성곽조사 보고서(2003. 서울특별시)
- 북한산 조사연구 자료집(2011. 경기문화재단)
- 경기도고양군북한산유적조사보고서(大正5年, 今西委員提出)
- 삼각산 北漢山城(2016.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예연구센터)
- 北漢山城 연구논문집(2016.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예연구센터)
- 북한산성 사료총서 제1권 고지도.예사진모음집(2017. 경기문화재연구원)
- 북한산성 사료총서 제2권 다시 읽은 북한지(2018. 경기문화재 연구원)
- 북한상성 사료총서 제3권 북한산성 유산기(2019 경기문화재 연구원)
- 북한산성 사료총서 제4권 북한산성 인물총서(2020 경기문화재 연구원)
- 북한산성 사료총서 제5권 총융청등록 총융청사례(2021 경기문화재 연구원)
- 북한산성 사료총서 제6권 풍천유향(2021 경기문화재 연구원)
- 조선 후기 북한산성의 축성과 운영체계(2012. 한국교통대학교 백종오)
- 조선 숙종대 북한산성 축성법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명지대 김대성)
- 조선후기 수도방위체제에 대한 일고찰(논문 고려대 오종록)
- 조선시대 조정수호를 위한 성곽도시의 축성론과 도시구조
(예술전문사학위논문, 한국예술종합학교 안샘이나)
- 북한산성내 건축물의 배치 및 공간구조에 관한 연구(석사논문 홍익대 임성준)
- 조선시대 행궁의 풍수입지 연구(석사논문 대구한의대 윤해근)
- 백제 초기의 주군과 담노( 논문, 김수미)
- 조선후기 '수도방위체제'의 군사적 고찰(석사학위 논문, 국방대학교 노재민)
- 조선후기의 정치와 군영제 변천(한국연구원 1985, 이태진)
- 숙종조 북한축성고(향토서울,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김용국)
- 1910년대 금서룡의 삼각산 명칭해석에 대한 검토(논문, 동국대학교 강사 오경후)
- 숙종대 '성학집요' 진강의 경위와 의미(논문, 경상대 인문학부 윤정)
- 북한산 국립공원내 케이블카 조성의 찬반론의 고찰(관광학연구, 박종구, 박종선)
- 국립공원 탐방객의 자연보호의식과 생태관광태도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26권, 김용욱)
- 정축약조로 본 현종~숙종 대 조청관계(안추원 사건과 북한산성 수축 논의를 중심으로)
(2014, 서광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한국사전공 문학석사학위논문, 김은하)
-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북한산성과 군가경관 해석에 관한연구
(2021. 건국대학교 대학원 세계유산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현욱)
- 완역 사마천 사기 본기 1.2(알마 / 사마천 지음, 김영수 옮김)
- 사마천 사기세가, 열전 1, 2(민음사 / 사마천 지음, 김원중 옮김)
- 춘추전국이야기(위즈더하우스 / 공원국 지음)
- 총, 균, 쇠(문학사상/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지리여행(지오북 / 박종관 지음)
- 한국인이 좋아하는 중국고대사(민속원 / 구성희)
- 한국의 풍수지리와 건축(일빛 / 박시익 지음)
- 현대 풍수교과서(동학사 / 류지홍)
- THE ETERNAL GREAT WALL(영원한 만리장성)
(중국민족사진예술출판사 / 동야후이 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