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 진 (그 림)
* 식물체의 각 부위별 사진, 해부현미경 사진, 표본 사진, 손으로 그린 그림이나 세밀화이어도 좋다. 그리고 그 사진(그림) 위에 설명과 표시도 하면 더욱 좋다. 사진 위의 설명이 낙서 같아도 좋다. 식물의 식별 특징을 시각적으로 잘 설명만 할 수 있다면 다 좋다. 사진만이 아니라 사진을 설명하는 글을 사진만큼 중시한다. <<< 꽃사진이 예술성있고 아름답게 보일지언정 거기에 식물식별 정보가 없다면 우리 까페의 관점에서는 그저 맹숭맹숭할 뿐이다! 여기는 꽃을 보고 "아, 예쁘다"고 감상만하는 까페가 아니다. 그냥 꽃사진은 다른 홈페이지, 카페, 홈피, 블로그에도 많다. 작품 꽃사진이 아니라 못찍어도 식물의 식별 특징을 잘 나타낸 사진이면 된다.>>> * 직접 찍은 사진이나 그린 그림이 아닌 다른 사람 사진이나 그림이면 그곳의 출처를 밝힌다.
* 생장형(생활형) 특성을 고려한 사진(그림) - 초본 사진 : 1) 식물체 전체 또는 군생 모습, 2) 꽃이나 열매 그리고 잎, 3) 근생엽과 경생엽이 다르면 근생엽 있는 부분을 따로, 4) 줄기와 탁엽 부분, 5) 지하경 또는 뿌리 - 목본 사진 : 1) 식물체 전체 또는 군생 모습, 2) 꽃이나 열매 부분, 3) 소지와 잎, 4) 수피 - 해부현미경(실체현미경) 사진 : 꽃의 내부와 종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실내 현미경 사진이 필요
* 각 과 게시판은 사진(그림)이 없으면 게시물이 등록되지 않는 것을 유의한다. (그림이 없어도 등록이 되는 게시판은 [등업신청.질문], [자유게시판], [식물식별 자료], [등록예정 글] 게시판 뿐이다.)
* 사진은 적당한 크기를 줄여서 싣고 (크기 줄이는 방법은 별도 글 참조), 왼쪽정렬로 맞춘다 (사진을 올리면 자동으로 중앙정렬이 되는데 이 때 사진 위 빈 공간에 커서를 두고 Delete 키를 누름).
|
[2 단계] 날짜 장소 / 서식처 및 생장 특징
- " 날짜 장소 / 서식처 및 생장 특징 " 를 그림 바로 아래에 쓴다.
1) 날 짜
- 원칙 : yyyy.mm.dd (예, 2010.04.19)
- 허용 : yyyy.mm. (예, 2008.09.) 또는 yymmdd (예, 081124)
2) 장 소
- 행정구역(시.도 시.군 동.면.리) 또는 GPS 좌표
* 시.도는 간결함을 위해 약어로 표현한다. 한 양식으로 통일해야 까페 검색 기능이 유용해진다. (예, 충청남도 -> 충남,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
- 날짜와 장소 사이에 구분선(/)은 넣지 않는다 (숫자와 문자의 배치이므로 그것 자체로 구분이 잘 되고, 구분선이 많아지면 전체적인 간결미가 떨어짐)
3) 서식처 및 생장 특징
- 산, 하천, 습지, 마을, 도로, 공원 이름
- 계곡, 능선, 길가, 논, 밭, 수변, 물속, 바위틈, 깊은 산, 낮은 산, 군락 우점종 등
- 필요시 식재 또는 자생 여부를 밝힘 (그래야 분포 정보를 오해없이 정확히 알 수 있음)
- 예, 2008.11.27 충북 제천시 송학면 시곡리 / 송학산 기슭 리기다소나무 숲속
[3 단계] 종명 : 학명 한국명 / 과명 : 학명 한국명
- 한 줄 띄기
- 항상 학명(필수) 먼저, 한국명은 나중에
- 학명에서 이탤릭체 사용과 명명자 표기는 생략할 수 있다. 우리 카페에서는 이탤릭체가 잘 안보여서 학명 익히기에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 예, Quercus serrata 졸참나무 / Fagaceae 너도밤나무과
[4 단계] 식물 식별 특징
- 한 줄 띄기
- 도감이나 다른 사이트의 글을 그대로 Ctrl + V 하지말고,
- 가급적 식물사진(그림)에 맞는 내용을 위주로 하거나 게시자가 그 식물을 식별하는 근거를 쓴다.
- 용어는 분류학(형태학) 용어를 적절히 써야 한다.
- 일반적으로 생물도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진이나 그림이 아니라 글, 즉 기재문이다!
사진이나 그림은 기재문의 시각적 표현일 뿐이다.
사진을 말없이(!)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사진을 읽어서 글로(!) 표현한다.
[5 단계] 스크랩과 복사 등 허용과 금지 여부 결정 (게시자 맘대로)
- 내용 입력 창 바로 밑에 설정정보에서 스크랩, 복사, 서명, 아바타 설정 여부 결정 (아래 그림 참조)
- 글쓴이만 설정할 수 있음.
- 게시물 등록 후 수정을 클릭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음.
첫댓글 제가 가끔 [학명 발음]을 학명 아래에 추가하는 것은 발음 표현을 명시하기 위함일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