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황씨(昌原黃氏)
역사,문화재,유적 유물 현황
제 2편
제1장 창원백(昌原伯) 황병고(黃丙古)
창원황씨(昌原黃氏)관향조(貫鄕祖)
창원황씨(昌原黃氏)의 황병고(黃丙古)는 기원전 6년 건평원년에 태어나서 신라 유리왕 12년(서기35)에 창원백을 봉한 관향조(貫鄕祖)이다.
황병고의 후손이 약 2,000여 년간 면연되어 있으나 임계병화(1592년)에 보첩이 소실되어 황병고로 부터 계대가 실전되어 창원황씨는 관향을 같이 하면서 시조와 족보를 달리하여 고려조 대상을 지낸 휘 석주 의 조부 의창현 정조호장 휘 양충 (고려 명종 3년 1160년출생)의 호장공계가 있고,고려 충렬왕 때 내사문하부 문하시중을 역임한 황충준을 시조로 하는 시중공계는 황충준 이후 세계가 확실치 못하여 고려조 말기의 경조윤 공부상서 정토장군을 역임한 황신(黃信)을 기세조(일세조)로 하는 시중공계가 있으며, 회산부원군을 봉한 황석기(黃石寄)을 시조로 하는 회산부원군계가 있다.
추경각(창원황씨 재사)
성 추 문(省 楸 問)
경남 창원시 적현동 산20
성추문(省楸問)과 추경각(추경각(追敬閣)은 창원 적현마을의 창원황씨 세조묘(昌原黃氏 世祖墓)로 올라가는 길목에 있는 정면 5칸 ,측면 3칸의 목조 기와집 이다.
본 건물인 추경각과 정문인 성추문을 포함한 부속건물을 동서남북으로 배치하여 사각형 형태를 이루고 있다.
추경각 뒤에는 창원황씨(昌原黃氏) 시중공계 시조 황충준(黃忠俊)과 여러 선조들의 묘역이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7일에 황충준의 묘제를 지낸다.
추경각은 1873년 견축 하였으나 국가 시책의 일환으로 부득불 이전하게 되어 2003년 기공식을 갖고 2004년 추경각,염수재(관라사),관리사무소,성추문 등을 완공하였다.
추 경 각(追 敬 閣)
경남 창원시 적현동 산20
창원황씨 8위묘소
추경각과 8위 세장지지 전경
창원황씨(昌原黃氏) 관향조(貫鄕祖)창원백(昌原伯) 황병고(黃丙古) 신도비
경남 창원시 적현동 산20
창원황씨(昌原黃氏)의 황병고(黃丙古)는 기원전 6년 건평원년에 태어나서 신라 유리왕 12년(서기35)에 창원백을 봉한 관향조(貫鄕祖)이다.
창원황씨(昌原黃氏)제3편
호장공계 역사,문화재,유적, 유물 현황
제1장 창원황씨(昌原黃氏)호장공계 대상공파
창원황씨(昌原黃氏)대상공(大相公)계는 고려조 대상(大相)을 지낸 황석주(黃石柱)의 조부(祖父)
고려조 의창현(義昌縣) 정조호장(正朝戶長)황양충(黃亮冲)을 시조로 한다.
호장(戶長)은 향직(鄕職)의 가장 윗자리이고 여사선거지향직고(麗史選擧志鄕職考)에는 여러대에 걸쳐 우미(優美)한 가풍을 지닌 자손에게는 처음에 병사(兵史)나 창사(倉史)부터 임명하여 호장에 이르게 하고 가풍이 불급(不及)한 집안은 공수(公須)나 약점(藥店)등 까지 만을 시켰으니 이로 미루어 계대이전(系代以前)에 착적(着籍)이 오래되고 또한 가풍이 뿌리가 깊었음을 알수 있다.
창원황씨는 임계병화(1592년)에 보첩이 소실되어 그 선대를 실전하여 고증할 길이없다.
창원황씨(昌原黃氏)대상공(大相公)계 대표적인 인물은 3세 고려조 대상(大相)을 지낸 황석주(黃石柱)와 12세 호조판서,병조판서,예조판서, 이조판서,우찬성 황사우(黃士祐)1486년(성종17)~1536년(중종31)자는 국보(國輔)호는 용헌(傭軒,병산 출생~7세 백동 이거),14세 예조참판 대사헌 대사성 증 이조판서 황섬(黃暹)1544년(중종39)~1616년(광해8) 자는 경명(景明) 호는 식암(息庵) 돈암 시호는 정익(貞翼) 이다.
근세에는 22세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오위도총부 부총관(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五衛都總府副總官)을 지낸 황중걸(黃中杰)의 현손인 27세 외무고시 합격, 주 제네바 대표부 공사,주 튀니지 대사관 대사, 주 대만 대표부 대사를 역임한 황용식(黃龍植)1944년5월28일생이 있다.
황용식(黃龍植)
대구 광역시 북구 노곡동 557-2
3세조 황석주(黃石柱) 묘소 및 선조 8위 묘소
경남 창원시 적현동 산20 번지
제2장 창원황씨(昌原黃氏)병산(屛山) 입향조
순흥부(順興府) 소산(素山)(현재 병산) 입향
창원황씨(昌原黃氏) 7세 신호위정용중랑장(神虎衛精勇中郞將) 황승후(黃承厚) 께서 고려 공민왕6(1357)년 정유(丁酉)년에 신호위정용중랑장(神虎衛精勇中郞將)이 되어 그해에 창원에서 죽주(竹州 순흥부(順興府) 소산리(素山里) 현 병산리(屛山里)로 옮겨 오셔서 죽주안씨(竹州安氏)와 혼인 하였으며 자(子) 처중(處中) 여(女) 이의생(李義生)이며 창원황씨의 새로운 세거지(世居地)를 개척 하신 분이다.
7세 입향조 황승후(黃承厚) 재실
소재지:경북 봉화군 물야면 두문리 2리
7세 병산 입향조 신호위 중랑장 황승후(黃承厚) 묘소(배 죽주 안씨 합폄)
소재지:경북 봉화군 물야면 두문리 2리
경북 봉화군 물야면 두문리
7세 병산 입향조 신호위 중랑장 황승후(黃承厚)는 고려 때 大相을 지낸 3세조 석주(石柱)의 현손으로 창원에서 병산으로 이거하여 20여대를 지난 지금 많은 후손이 병산을 기점으로 백동,문단,인천강화등 전국으로 이거 되었으며 본향 창원에서 옮겨 와 여기 병산 입향 2015년(을미년(乙未年)이 658년의 긴 세월 터전을 열었으니, 정착 연대가 매우 오랜 뿌리 깊은 가문이다.
입향조(入鄕祖) 승후의 아들 처중(處中)이 조선 초에 영일감무(迎日監務)를 지내고
손자 제(躋)가 서승(署丞)을 전(躔)이 통례원봉례(通禮院奉禮)를 지냈으며 제(躋)의 증손 한충(漢忠)이 학식과 덕망이 높아 도고서원(陶皐書院)에 제향(祭享). 그 밖에도 여러 사마(司馬), 좌수(座首),문행(文行)이 배출되었다.
봉례공(奉禮公) 황전(黃躔)의 자손이 풍기 희여골(白洞)에 옮겨 살아, 증손이 호조판서,예조판서 이조판서,우찬성 황사우(黃士祐)1486년(성종17)~1536년(중종31)자는 국보(國輔)호는 용헌(傭軒), 현손이 예조참판 대사헌 대사성 증 이조판서 황섬(黃暹)1544년(중종39)~1616년(광해8) 자는 경명(景明) 호는 식암(息庵) 돈암 시호는 정익(貞翼) 이다. 황사우(黃士祐)도 이곳 병산에서 태어 났다.
8세 영일현감공(迎日縣監公) 황처중(黃處中)의 묘소
영일현감공(迎日縣監公) 황처중(黃處中)1398년 조선조 태조 7년에 영일현감(迎日縣監)이시며 배(配) 무송예(茂松曳)씨와 혼인하여 자(子) 제(躋), 전(躔) 여(女) 김존(金存)이다.
소재지:경북 봉화군 봉화읍 적덕2리 소지골
8세 영일현감공(迎日縣監公) 황처중(黃處中)의 묘산도
영일현감 휘 처중 묘갈명 (迎日縣監 諱 處中 墓碣銘)
창원지황(昌原之黃)은 세칭동국대성(世稱東國大姓)이라.
공의 휘는 처중(處中)이니 고려조 호장이신 휘 양충(亮冲)이 공의 시조이시다.
이전(二傳)하여 휘 석주(石柱)는 관금자광록대부상주국대상 (官金紫光祿大夫上柱國大相)이요. 이전(二傳)하여 휘 유(裕)는 충렬왕조(忠烈王朝)에 등문과(登文科)하여 관동래부사(官東萊府使)며 이전(二傳)하여 휘 승후(承厚)는 공민왕조(恭愍王朝)에 관지신호위정용중랑장(官至神虎衛精勇中郞將)이니 곧 공의 선부군(先府君)이시다.
공민왕(恭愍王)6년 정유(丁酉 1357)에 자창원(自昌原)으로 여공이래(與公移來) 순흥(順興)하여 자손이 잉거언(仍居焉)하다.
공은 조선태조 7년 무인(戊寅 1389)에 관영일감무(官迎日縣監務)하시다.
자여생졸(字與生卒)은 부전하고 묘는 재순흥 지동 소지곡 자좌(在順興之東蘇池谷子坐)하며 육대손인 관승지 시 (官承旨 是)가 수묘표 입갈(修墓表立碣)하 고 외예손 영천군수 김륵공(外裔孫榮川郡守 金玏公)이 수수갈통문(修竪碣通文)하여 조사(助事)하다.
배위숙인(配位淑人)은 무송유씨(茂松庾氏)이니 고려조에 관찬성판내부사(官贊成判內府使)인 당(璫)의 따님이며 고려개국공신(高麗開國功臣)인 금필의 후예이니 생기(生忌)는 부전하고 묘는 재 봉화군 물야면 서리 만석산 간좌지 원이라.
계배숙인(繼配淑人)은 화산권씨(花山權氏)이니 부조(父祖)와 생졸(生卒)은 구부전(俱不傳)하고 묘는 재 영주 이산면 운문리 새답이라 생 3남 1녀라 장(長)은 제(臍)이니 세종조(世宗朝)에 관도염서승(官都染署承)이요.
차(次) 장 은 무사(無嗣)하고 전(躔)은 세종조에(관통례원봉례(官通禮院奉禮)인데 증손사우(士祐) 의 귀로 증공조참판(贈工曹叅判)에 추증되고 숭보사(崇報祠)에 제향 되었으며 여(女)는 적군수김존(適郡守金存)하다.
증손사우(士祐)는 관우찬성(官右贊成)하고 현손 섬(暹)은 대사헌(大司憲)이며 현손 시(是)는 관지도승지(官至都承旨)하니 오호라 공지적덕여음(公之積德餘蔭)으로 자손이 번연(繁衍)하며 대소과환(大小科宦)이 전후상망(前後相望)하니 불능진기(不能盡記)라.
묘도유고갈(墓道有古碣)이나 세구태심(歲久苔深)하고 마륵우심(磨泐尤甚)하여 음기박락(陰記剝落)일세 내어종회(迺於宗會)에 준발개수지론(峻發改竪之論)하여 류불녕(謬不佞)에게 촉수천지명(囑隧阡之銘)이라. 고여멸학(雇余蔑學)이 하감당시기(何敢當是寄)리요.연이나 첨재외예지말(忝在外裔之末)하여 심이탁명기하(深以托名其下)로 위영요 (爲榮耀)하고 수불뢰사(遂不牢辭)하며 안장이위지명(案狀而爲之銘)하니 명(銘)왈 세덕연면(世德連綿)하니 원심류장(源深流長)이라 기려불억(其麗不億)하여 위세동량(爲世東樑)이라. 울울송백(鬱鬱松栢)은 묵방산양(墨坊山陽)이라 아명정민(我銘貞珉)하여 백세유방(百世遺芳)이라.
서기2001년 신사 추 8월 하순 외예손 야성(冶城)송홍준(宋鴻俊)근찬
9세 승사랑도염서승(承仕郞都染署承)황제(黃躋)
공은 서승공파(署承公派) 시조이며 배(配) 화산권(花山權)씨와 혼인하여 자(子) 영손(永孫), 여(女) 윤중은(尹仲殷)이다
병산에서 영주 내마암(內馬巖 현 휴천동)이거 하였다.(생몰미상)
9세 서승공(署承公) 황제(黃躋) 묘소
경북 봉화군 봉화읍 적덕리(소지골)
9세 서승공(署承公) 황제(黃躋) 묘산도
소재지:경북 봉화군 봉화읍 적덕리 (소지골)
제3장 창원황씨(昌原黃氏)봉례공계 병산
9세 통덕랑통례원봉례(通德郞通禮院奉禮) 황전(黃躔 )1391년(공양왕3)~1459년(세조5) 세종(世宗)8년(1426) 35세 때에 통덕랑통례원 봉례(通德郞通禮院奉禮)를 지내시고 1459년 배(配) 정부인 곡성임(谷城任)와 혼인하여 자(子) 귀경(貴卿),직경(直卿),의경(義卿),신경(藎卿),언경(彦卿),윤경(允 卿) 여(女) 허윤공(許允恭),노계조(盧繼祖) 6남 2여를 두시고 유생들의 후학과 학문 연마를 위해 소산서원(현 첨모당)을 건립하여 병산(屛山)에 은거중 금성대군(錦城大君)의 단종 복위 운동(1457년) 에 큰화를 이르킬줄 미리 아시고 칭병은거(稱病隱居)하여 화를 면하고 자손을 보존 하였으며 영주,병산 중흥에 크게 이바지 하였다.
1459년 별세 (향년 69세)숭보사(崇報祠)에 모셨고 1535년(중종30)공조참판(工曹叅判) 증직.
첨모당 (瞻慕堂) 9세 봉례공 황전께서 유생 후학과 학문을 위한 (구 소산서원)
소재지: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315번지
첨 모 당 (瞻慕堂)전경 (경상북도 문화제 자료 제 315호)
숭 보 사(崇 報 堂)
통덕랑통례원봉례 증 가선대부 공조참판겸 동지의금부사 황전
배 정부인 곡성임씨 위패를 모신 숭보사
숭 보 사(崇 報 祠)내 위패 봉안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315
첨 모 정 (瞻 慕 亭)
소재지: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리 315번지
병산 갈참나무(대한민국 천년기념물 제 285호)
(1426년 통덕랑 통례원봉례 증 가선대부공조참판 동지의금부사 황전 9세조 기념식수)
소재지: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산 338 번지(병산마을 수호 서낭 나무)
갈참나무는 우리나라 각 처에 자생하지만 특히 중부지역에 많이 자라는 낙엽성의 넓은 잎을 가진 나무이다.병산 갈참나무는 수령이 약 600년 이며 크기는 높이 15m 나무 둘레는 4m이다.마을 앞쪽 언덕의 평탄한 곳에 충분히 자랄 수 있는 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아랫쪽 곁가지는 굵고 길게 뻗어 쉽게 손이 닿을 수 있다.
이 나무는 동리의 서낭 나무로 매년 정월 보름에 동민들이 마을의 안녕과 동민들의 건강과 무병을 빌고 액을 물리쳐 마을의 풍년을 목적으로 나무 아래서 동제를 올린다.
이 갈참 나무는 통덕랑통례원봉례 증가선대부 공조참판 동지의금부사 황전( 黃躔)
9세조께서 조선 세종 8년(서기1426년)병산 처음 입향 하여 기념 식수 하신 나무이다.
이제 대한민국 천년기념물 제285호 문화제가 우리 병산에 있다는 것은 자랑스럽고 황씨 문중의 자부심입니다.
잘 관리하여 자손만대 갈수 있도록 하는 것은 앞으로 우리 후손들의 몫 이다.
병산마을 수호 서낭제 바위돌 (일명: 허장군 바위 돌)
허장군 (허윤공 별칭)바위돌 유래
통덕랑 통례원 봉례 증 가선대부공조참판 동지의금부사 황전(黃躔)1391년(고려공민왕3)~1459년(세조5) 자 형보(亨甫) 의 사위 공주판관(公州判官) 허윤공(許允恭) 1414년(태종14)~미상 자 효응(孝應) 호 남재(南齋)의 아버지는 단종이 폐위되어 영월에 유배되자 분연히 벼슬을 그만두고 노구를 이끌고 영월로 달려가 단종을 추종하다가 단종이 승하하자 영월의 산속에 숨어 삼년상을 마치고 또한 그곳에서 일생을 절행(節行) 한 공조참판(工曹叅判) 허방(許邦)1391년(공양왕3)~1459년(세조5) 자 중안(仲安) 호 석헌(石軒)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해주오씨 군수 상지의 딸이다.
출생지는 진천(鎭川) 금곡리(金谷里)에서 태어났다. 비범한 자질에 행실이 도탑고 문장이 뛰어났다
일찍 사마(司馬)에 올라 벼슬이 공주판관(公州判官)에 이르렀다.
단산 양천허씨 문중의 입향조로 이 또한 단종에 대한 절신 으로 전해지는 인물이다.
충북 진천에서 태어난 그가 단산으로 들어온 연유에 대해서는 그의 부친인 방(邦)과 함께 단종이 있는 영월로 갔다가 그곳에서 금성대군이 있는 순흥으로 가서 금성대군을 도와 주라는 부친의 명에 따른 것이라 한다.
정축지변 (丁丑之變) 1457년10월9일 (세조3) 금성대군과 순흥부사 이보흠 의 단종복위운동(端宗復運動)거사 실패(노비 밀고) 사건 당일 공은 장인 봉례공 황전(黃躔)이 단산면 병산1리 315번지 첨모당 (당시 소산서원) 에서 칭병은거 중에 있어 병문안 인사를 드리고 단종복위운동 거사에 참석할 예정이었는데 봉례공 황전((黃躔)께서 사위 허윤공(許允恭)이 거사에 참석하면 큰 화를 당할 것을 예견하고 찿아온 사위에게 칭병으로 너무 무료하니 바둑을 좀 두자고 청하여 의도적으로 몇시간을 지체 하였는데 순흥 거사 장소에서 큰 불기둥이 치솟아 올라 허윤공께서 급히 말을 타고 병산 마을 뒷산 시루봉에 올라 순흥쪽을 바라보니 단종복위 운동 거사가 실패되고 정축지변의 큰 화가 발생되어 허윤공(許允恭)께서 거사 실패에 대한 분노와 화를 삭히지 못해 시루봉 산에 있던 바위돌을 옆구리에 끼고 말(馬)을 타고 달려 내려 오던중 단산면 병산1리 345-3번지 에서 타고 달리던 말(馬) 이 곤두박질 치며 다리가 부러지고 그자리에서 죽어 말(馬 )은 그곳에 자갈돌 무덤으로 묻어 주고 허장군이 가져 갔던 바위돌은 그 자리에 표지석으로 했다.
그후 허윤공(許允恭) 이 별세한 다음 병산1리 동민들은 정축지변으로 희생된 많은 영혼과 허윤공의 충절과 그자리에서 죽은 말(馬)의 혼을 달래기 위해 매년 정월 보름날 0시 그 장소 표지석 바위돌과 병산 갈참나무(대한민국 천년기념물 제285호)에 동제를 지내다가 2013년에 갈참나무와 떨어져 있어 동제사 지내기가 불편하여 병산마을 동민들의 의견을 수렴해서 바위돌을 갈참나무(단산면 병산리 산 338)옆으로 옮겨서 계속 동제사를 올리고 있다
이와 같이 그가 단산으로 들어 온것 또한 단종과 상당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사실로 짐작이 된다.
당시 처가이던 단산에 은둔처를 마련하여 평생 단종에 대한 흠모와 절행을 하였다.
공의 아들 허지(許智)1434년(세종17)~미상 자 감옹(鑑翁)또한 보령현감(保寧縣監)으로 있다가 벼슬을 그만두고 영월을 향해 오던 도중에 병사 함으로써 가히 3대에 걸쳐 단종에 대한 지고한 절의를 보여준 가문으로 전해진다.
관계 유물로는 허방(許邦) 허윤공(許允恭) 허지(許智) 3대의 시와 행적을 모아 엮은 "삼절당실기"가 있다.
또한 그 3대의 절의(節義)를 추모하여 지은 삼절당(三節堂)이 단산면 사천2리(띠기)에 있으며 보계당(保繼堂)이 부석면 보계리에 있다.
단종충의록(端宗忠義錄)에 그의 사적이 전하고 있다.
삼절당(三節堂) 허방(許邦),허윤공(許允恭),허지(許智)절의를 추모하여 지은 당(堂)
소재지:경북영주시 단산면 사천2리(띄기)
경북 영주시 단산면 사천2리 (띄기)
9세조 통덕랑통례원봉례 황전( 黃躔) 묘소
소소재지:경북 영주시 부석면 보계리 산20번지(문좌실)
9세 봉례공 휘 전 묘소 항공 사진
21세조 이첨공 휘 두한(黃斗漢) 묘소
소재지:경북 영주시 순흥면 지동(재방리)
21세조 황두한(黃斗漢) 1762년(영조38)~1833년(순조33) 초명(初名)태한(台漢)
자는 이첨(爾瞻) 호는 소행재(素行齋) 증 가선대부이조참판(贈 嘉善大夫吏曹叅判)
순흥부향장(順興府鄕長) 소수서원원장(紹修書院 院長)
22세조 황중걸(黃中杰) 묘소
소재지: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2리 (서창) 22세조 황중걸(黃中杰)1816년(순조16)~1903년(광무7) 자는 치흥(穉興)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오위도총부부총관(五衛都總府副總官),소수서원원장(紹修書院 院長)
22세조 황중걸(黃中杰) 배 정부인(配 貞夫人)야성송씨(冶城宋氏) 묘소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뒷산 여바우골 입구)
26세 황윤덕(黃潤德) 추모비(追慕碑)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첨모정 옆)
26세 황윤덕(黃潤德)1905년~1948년 자는 덕경(德卿) 호는 단암(丹菴) 단산면장 역임
병 산 마 을
창원황씨 세거 700년의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함께 이어 내려오고 있는 병산은 소백산 정기 받아 뻗어 내린 아름다운 산 자락 밑 동남 방향으로 마을 앞에는 드넓고 비옥한 전답과 소백산 발원지서 옥수 같은 맑은 물 내려오는 단산천이 흐르고 마을 뒤를 휘감아 둘러싼 산 기슬의 우측 끝은 군자봉이요 좌측 끝은 옥여봉이다.산수가 수려하고 풍부한 병산 마을은 현달 하신 선조님께서 후손들이 벌족의 후예로서 긍지와 자부심을 높이고 유구한 자손 만대 천만년을 위해 자리 잡은 천혜의 배산임수의 터 명당 마을이로세
병산마을 전경
병산1리 표지석
병산마을 표지석과 좌측은 소산정 정자
경북 영주시 단산면 병산1리 (마을회관앞)
창원황씨 대상공파 행열표
다음 제5편은 창원황씨 대상공파 봉례공계 백동 입니다
~감사합니다~
2015년 을미년 새해
황 윤 진 올림
창원황씨(昌原黃氏)제4장
봉례공파 백동,역사,문화재.유적,유물
제1절창원황씨 봉례공파 백동
창원황씨(昌原黃氏)대상공(大相公)계 9세조 통덕랑통례원봉례(通德郞通禮院奉禮) 황전(黃躔 )후손이 병산이거 풍기 백동 입향조 는11세 순능참봉 희성(希聖) 자(字) 호연(浩然)
1455년 을해(乙亥)11월15일 생(生) 1524년 갑신(甲申) 졸(卒) 향년70
9세조 황전의 손자며 10세조 귀경의 장남 순능참봉(純陵叅奉)을 지냈으며 천성이 사람을
대 하면 지극희 공경하고 다투지 않는 성품이었다.
1493년(성종24년)에 병산에서 백야동(白也洞)이거(족보 상권 근거)하여 새로운 세거지 를 마련하였다. 아들 사우(士祐1486년 성종17~1536년 중종31)의 귀(貴)로 좌찬성(左贊成) 증직,공은 4남4녀, 묘소는 영주시 순흥면 태좌리에있다.공의 배 정경부인 풍기진씨다.
풍기 희여골(白洞)이거는 백동(白洞)에 거주하던 고모부 노계조(盧繼祖)의 시양자(侍養子)가 되었던 것에 기인 한다.노계조는 9세조 통덕랑통례원봉례(通德郞通禮院奉禮) 황전(黃躔 )의 둘째 사위다.
숭덕사(崇德祠),우찬성공 황사우(黃士佑) 대사헌공 황섬(黃暹) 불천위(不遷位) 사당
경북 영주시 풍기읍 백동1리
봉례공계 휘 전 후손 중 큰 인물
12세 사우(士祐)-자(字)국보(國輔) 호(號)용헌(慵軒)
1)1486년 병오(丙午)8월14일 생(生) ~1536년 졸 (출생지:병산~ 7세 백동 이거)
2) 약 력
*1501년-진사시 초시입격
*1508년-진사시 입격
*1515년-문과 장원급제
*1516년-성절사 서장관으로 북경 파견
*1522년-영천(榮川)군수 (현 영주시)
*1524년-경상도사 임용
*1527년(중종22)정해년 창원황씨 족보를 처음 편찬
*1529년-대사간,동부승지,우부승지,도승지
*1533년-경기관찰사
*1534년-부제학,호조판서,병조판서,예조판서,이조판서,우찬성
3)1536년 병신(丙申)3월13일 졸(卒) 향년51
4)배 영일 오씨
5)장남 윤규(潤奎) 차남 응규(應奎)
공은 9세조 황전(黃躔 )의 증손이며 병산에서 출생하여 7세에 풍기 백동으로 이거 하였다. 이때 운수를 잘 보는 맹인이 살고 있어 아버지 희성이 그에 대해 물어보니 “이 운수는 벼슬이 반드시 1품에 이를 것이나,수(壽)를 누리지는 못할듯 합니다.”고 했다고 한다.또한 외삼촌인 목사(牧使) 진담(秦澹)은 “이 아이는 반드시 이른 나이에 재상이 될것이다.”고 말했다고 한다.
총명함이 절륜하여 말은 잘하지 못하였으나 4세 때 글을 읽을 줄 알았다고 하며 6세 때에는 연구시(聯句時)에 능하여 운자(韻字)를 불러주면 곧바로 시를 완성하였다.진담을 따라 서을에 올라갔던 그는 15세에 진사시 초시에 입격하고 동학(東學)에서 공부하였으며 22세 때에는 자암(自庵)김구 (金絿)와 함께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29세 때에 문과에 급제하였다.이때 장원을 차지한 박세희 (朴世熹)와 우열을 가릴수 없을 정도로 우수하였는데 시험을 주관하였던 정광필(鄭光弼),김안국(金安國)이 등급을 결정하지 못하자 중종이 특명으로 갑과(甲科)에 두 자리를 만들어 함께 장원에 두도록 하였다.
이후 전적, 감찰,정언,수찬,등을 경연에도 입시하는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 다.
1516년(중종11)에는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書狀官)으로 북경에 갔으며 이때 조천록(朝天錄)을 기록하기도 했으나 일실되었다.
1522년(중종17)에는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지방관에 임명되기를 청하여 영천(榮川) 군수로 나왔는데 정사를 펼침에 인서(仁恕)를 우선하여 이민(吏 民)들이 그 혜택을 고루 입었다.
또한 인재를 잘 권면하여 온계(溫溪),이해(李瀣)등 많은 선비들이 성취된 바가 있었으며 문도(門徒)들이 날마다 운집하였다.
경상도(慶尙道) 도사로 임용된 그는 도내를 두루 다니며 직무를 수행하였다.
1519년 (중종14)에는 승지 권벌(權橃)을 방문하고 고성(固城)의 관포대(灌圃臺)에 있던 어득강(魚得江)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도사로 재직하고 있던 당시에 그 활동을 “재영남일기”(在嶺南日記)로 기록하였다.
1529년 (중종24)에는 어필(御筆) 특지(特旨)로 대사간에 임용되었고 다시 승지로 발탁되어 동부승지를 거쳐 우부승지및 도승지에 제수되었다.
1533년(중종28)에는 경기(京畿)관찰사로 임명되어 잠시 외직으로 나갔다가 이듬해 부제학으로서 다시 내직에 복귀하였으며 호조판서에 임용되었다.
1535년 (중종30)에는 병조판서로 재직하였는데 이때 겨울에 천둥이 천재변이 일어난 것으로 인하여 조정이 늘 화목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이 해에 예조와 이조의 판서를 지내고 숭정대부 의정부 우찬성에 까지 이르렀다.
1536년(중종31)에 은가(恩暇)를 받고 풍기에 소분(掃墳)하러 왔다가 이곳에서 생을 마쳤다.
중종은 그가 생을 마친것에 놀라움을 표하고 슬픔을 나타내기위해 소찬(素饌)을 들었으며 습진 할때에 풍악을 없에라고 명하였다.
이산해(李山海)의 아버지인 이지번(李之蕃)등과도 절친한 교분을 맺었다.
회산세고(檜山世稿)에 유고인 용헌고(慵軒稿)가 실려 있는데 후손 최원(最源)이 자료를 수집하여 스승인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에게 교감을 받은 것이다. 신광한(申光漢)이 묘갈명을 지었다. 숭덕사(崇德祠)에 제향되었다.
숭덕사(崇德祠)이조판서,우찬성공 황사우(黃士佑) 위패
대사헌공 황섬(黃暹)위패
경북 영주시 풍기읍 백동1리
풍수암(風樹庵)우찬성(右贊成 황사우(黃士佑) 재실
경북 영주시 순흥면 읍내1리
재영남일기
재 영남일기는 12세조 황사우께서 1518년(중종13)11월17일~1520년(중종15)9월8일까지 경상도 도사로 봉직 하며 남긴 일기 입니다
11세 찬성공(贊成公)황희성(黃希聖)의 묘소
경북 영주시 순흥면 태장2리
12세 우찬성(右贊成)黃士佑)의 묘소
경북 영주시 태장2리(묵동)
정 암 (正 菴) 13세조 송간공(松澗公)황응규(黃應圭)의 정각
경북 영주시 풍기읍 백동리
송간공 배(配)경주최씨(慶州崔氏)열녀각
경북 영주시 풍기읍 백동1리
송간공(松澗公) 황응규(黃應圭)의 묘소
경북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
황응규(黃應奎)1518년~1598년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중문(仲文)호는 송간(松澗)할아버지는 황희성(黃希星)이고, 아버지는 우찬성 황사우(黃士右)이며, 어머니는 영일 오씨(迎日吳氏)로, 오수정(吳壽楨)의 딸이다. 부인은 여흥 이씨(驪興李氏)로, 15세에 시집와 3남 1녀를 낳았다. 장남은 황고(黃杲)이고, 둘째는 승정원 도승지,대사헌을 지낸 황섬(黃暹)이며, 막내는 홍문관 응교(弘文館應敎)를 지낸 황시(黃是)이다. 1543년(중종 38)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였다. 재주를 아낀 태학(太學)의 추천으로 전함사 별제(典艦司別提)에 제수되었고, 이어 장흥고 직장(長興庫直長)에 이르렀다. 그러다가 1569년(선조 2) 52세로 알성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전생서 주부(典牲署主簿)에 임용되었고, 호조·형조·공조의 정랑과 좌랑 등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1576년(선조 9) 8월에 청도 군수로 부임하였다가 1579년(선조 12) 2월에 이임하였다. 하인들을 다스릴 때는 매로 다그치지 않았고 부역을 공정히 해서 백성들이 즐거워하였다. 청도 향현(鄕賢) 김대유,박하담 등과 어울렸고, 부임 이듬해 동창에 세워졌던 선암 향현사(仙巖鄕賢祠)를 선암서원이 있는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면서 기문(記文)을 남겼고, 동시에 운수정(雲水亭)이라 불렀다.1588년(선조 21) 서울에서 벼슬살이를 하다가, 늙음을 핑계로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가 은거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곡을 군량으로 바쳐 절충 장군(折衝將軍)에 올랐으며, 1594년 동지돈녕부사가 되었다. 또한 향병 대장(鄕兵大將)으로 추대되어 마을 사람들에게 의기를 고취시키고 의병을 모집하고 군량을 모으다가 1598년(선조 31) 병환으로 별세하였다.주세붕과 이황의 문인으로 초서(草書)를 잘 썼다. 시(詩)는 이백(李白)과 두보(杜甫)를, 필법(筆法)은 김생의 글씨를 좋아했다. 저서로는 『송간고(松澗稿)』가 있다.
청도에 선정비가 있다.
수락당(壽樂堂)대사헌 황섬(黃暹)의 누정
경북 영주시 풍기읍 백동1리
대사헌 식암공 황섬(黃暹)의 신도비각
경북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
황섬(黃暹)1544년(중종39)~1616년(광해군8)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경명(景明), 호는 식암(息庵)·돈암(遯庵). 서울 출생. 희성(希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우찬성 사우(士祐)이고, 아버지는 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응규(應奎)이며, 어머니는 의빈도사(儀賓都事) 이수려(李壽旅)의 딸이다. 정탁(鄭琢)의 문인이다.1564년(명종 19) 성균관유생이 되고, 1570년(선조 3)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한성부참군·해운판관·황해도사·호조좌랑 등을 거쳐 1577년 서천군수가 되었다. 이 때 선정을 베풀어 송덕비가 세워졌다. 정언을 거쳐, 사간·집의·도승지 등을 역임하고 성주목사가 되었다.1592년 임진왜란 때에는 병조참지로서 대가(大駕)를 호종(扈從)하고, 평안도모운사(平安道募運使)에 선임되어 군량 수운에 공을 세웠다. 이듬해 호조참의로서 대가를 따라 해주에 이르러 모군(募軍)과 식량공급 등 당면 국방정책을 건의하였다.1594년 안동부사가 되고, 뒤에 다시 이조와 호조의 참의, 도승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호조·이조·예조의 참판을 거쳐, 대사헌·지제교 등을 지냈다.광해군 즉위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지내면서 후진교육에 여생을 보냈다.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1714년 풍기우곡서원(愚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식암집』이 있다. 시호는 정익(貞翼)이다.
대사헌 식암공 황섬(黃暹)의 묘소
경북 영주시 순흥면 태장리
제5장 창원황씨(昌原黃氏)봉례공계
문단 역사,문화재,유적,유물 현황
창원황씨(昌原黃氏)대상공(大相公)계 9세조 통덕랑통례원봉례(通德郞通禮院奉禮) 황전(黃躔 )후손이 병산 이거 풍기 문단 입향조는 황전(黃躔) 증손자 12세 황사언(黃士彦)1497년(연산군3)~1568년((선조1) 자는 언지(彦之)이며 1525년 (중종20) 병산(屛山)에서 문단으로 이거 했다.
조부는 10세 윤경(允卿)이며 11세 희숙(希淑)의 아들로 통훈대부 사재감정(通訓大夫司宰監正)을 지냈다.
문단에 유적으로는 16세 단구(丹丘) 창술(昌述)이 독서하던 애죽헌(愛竹軒)과 추원당과 창술을 제사하는 추원사(追遠祠)가 있다.
추원당(追 遠 堂) 단구공 황창술(黃昌述)의 강당
소재지: 경북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황창술(黃昌述) (1628인조6~1711숙종37)자(字) 계도(繼道), 호(號) 단구(丹丘), 거(居) 봉화(奉化) 문단(文丹) 황천일(黃千一)의 자(子)로 어려서 부터 엄한 가정 교육으로 학문에 열중하였다. 과거(科擧)에는 뜻이 없었으나 대부인(大夫人)의 권유로 과거 공부를 하던중 1688년 대부인상(大夫人喪)을 당하자 탄식하며 말하기를 「과거 급제의 결과를 보여드리지 못함은 죄인이다.「하고 더욱 노력하여 향해(鄕解)에 연이어 5번 합격하였고 81세로 진사시에 응시 하였는데 조정에서 특별히 동부(東部)랑관(郞官)을 제수(除授)하였다. 인조(仁祖) 6년(1628)~숙종(肅宗) 37년(1711). 숙종(肅宗) 34년(1708) 81세로 사마(司馬)시에 합격, 특별히 東部참봉에 제수되고 효행(孝行)으로 가선대부 호조참판(嘉善大夫 戶曹參判)에 증직되다. 문집 2권1책이 전하며 글은 하회(河回) 류의하(柳宜河)에게 보낸 편지가있다.
추 원 사 (追 遠 祠) 단구공 황창술(黃昌述)의 사당
경북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10세 사직공(司直公) 황윤경(黃允卿)의 묘소 ( 9세조 황전(黃躔 의 6남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노곡2리
10세 황사언(黃士彦)의 묘비 (문단 입향조)
소재지: 경북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조동
호조참판 (戶曹參判) 단구공(丹邱公)의 묘소
경북 봉화군 봉화읍 문단리
제6장 창원황씨(昌原黃氏)봉례공계 충남 공주
창원황씨(昌原黃氏)대상공(大相公)계 9세조 통덕랑통례원봉례(通德郞通禮院奉禮) 황전(黃躔 )후손이 병산 이거 인천 강화 입향조는 황전(黃躔) 고손자 13세 황서규1520년(중종15)~1552(명종7)자는 계문(季文) 우찬성 황사우(黃士祐) 3자로 식년 생원시에 입격하고 후에 자헌대부 호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장인인 고성군(固城君 )이강(李綱)의 제사를 받들게 되면서 서울로 이거했다.
그 이후 충남 공주로 이거하여 충남공주 입향조는 덕길(德吉)행직은 선공감 감역,증 통정대부 이다. 14세 자(子)는 황민(黃旻)이다. 호판공의 13대손이 황영두 (黃泳斗) 백산(白山) 이다
창원황씨 대상공계 행열표
끝까지 검색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우리 후손들이 많이 검색해서 우리 조상의 뿌리와
역사를 바르게 알수있도록 많이 전달해 주시기 바랍니다
2015년 을미년 새해
황 윤 진 올림
제4편 창원황씨 (昌原黃氏) 시중공계
창원황씨(昌原黃氏) 시중공(侍中公)계 시조는 고려 성종조 내사문하부 문하시중을 역임한 황충준을 시조로 하는 시중공계는 황충준 이후 세계가 확실치 못하여 고려조 말기의 경조윤 공부상서 정토장군을 역임한 황신(黃信)을 기세조(일세조)로 하여 계대가 이어지고 있으며 창원황씨 시중공(侍中公)계 대표적인 인물은 고려조 공부상서(工部尙書)정토장군을 역임한 황신(黃信),조선조 1392년7월17일 조선개국 3등공신 1408년 명나라 사신 형조판서 황거정,이조판서 황현원(黃顯源),병조판서 황문경(黃文卿), 이조판서 황진(黃璡),이조판서 황신구(黃藎耉)판돈녕부사 이조판서 황흠(黃欽)
영조(조선21대 국왕)의 사위 황인점(黃仁點)1732년~1802년 은 조선후기 문신으로(영조27) 제10녀 화유옹주(和柔翁主)와1751년 혼인하여 창성위(昌城尉)에 봉해져 부마가 되었다.1776년(정조1년)~1793년까지 17년간 여섯차례 청나라 수도 연경에 다녀왔다. 항일의병장 황대연(黃大淵)등 그 밖에도 많은 인물이 있고 세거는 창원과 철원,충남연기,홍성, 예산,경기도 양주,고양, 남양주,구리,경남 밀양,고성 ,전북 무주등 전국적으로 많이 분포되어 있다.
시중공계 시조 황충준(黃忠俊) 묘소
경남 창원시 적현동 산20(적현산)
고려 성종조 내사문하부 문하시중을 역임한 황충준은 창원황씨 시중공계 시조다.
시중공 묘비와 8위 세장비
경남 창원시 적현동 산20
제1장 창원황씨(昌原黃氏)시중공계 철원
시중공계 1세조 정토장군 공부상서공 황신(黃信)의 신도비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4리
황신(黃信)은 고려 말 정토장군을 지냈으며 거정, 거직의 두 아들을 두었다. 황거정은 무인출신으로 조선개국 공신이다. 그의 큰 아들인 황효성은 현령을 지냈고 둘째 아들 황효공은 전라도병마절도사를 거친 뒤 한성부판윤에 이르렀다.
황형은 성종 때 무과중시에 장원했다. 1512년 함경도 지방에서 일어난 야인 반란을 진압하고 평안도, 함경북도의 병마절도사를 거쳐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문민공 황신(黃愼)은 이이의 문인이며 선조 21년 알성문과에 급제하였다. 정언으로 있을 때 정여립의 옥사에 관해 대신들이 직언하지 않는다고 논박하다가 고산현감으로 좌천되기도 했다. 임진왜란 때 기용되어 1596년 절충장군으로 적의 진영에 다녀온다. 그 뒤 통신사가 되어 명나라 사신을 따라 일본에 다녀왔다.
시중공계 1세조 정토장군 공부상서공 황신(黃信)의 재실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4리
시중공계 1세조 정토장군 공부상서공 황신(黃信)의 묘소
강원도 철원군 송동읍 길동
창원황씨(昌原黃氏) 망배단(望拜壇)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능동
시중공계 3세조 삼등현령 황효성(黃孝誠)의 묘소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능동
시중공계 4세조 병마절도사 황사윤(黃斯允)의 묘소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능동
시중공계 6세조 풍저창수 황준원(黃浚源)의 묘소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능동
시중공계 7세 내자시 부정공 (황순경(黃舜卿)의 묘소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능동
방(傍)7세조 현령공 황우경(黃禹卿)의 묘소
방(傍)7세조 전첨공 황탕경(黃湯卿)의 묘소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능동
좌찬성공 황유(黃劉)의 묘소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양지리 능동
제2장 창원황씨 시중공계 충청
병사공파 파조 병마절도사 한성판윤 황효공(黃孝恭)의 신도비
충남 홍성군 구항면 공리 산 36
죽두재(竹頭齋)병사공파 파조인 황효공(黃孝恭)등 5위의 위패를 봉안한 재실
충남 홍성군 구항면 공리
추원재 (追遠齋)창원황씨 병사공 현손 참의공 종중
충남 연기군 전의면 읍내리 4구 덕고개
시중공계 6세조 풍저창수 황준원(黃浚源)의 묘소
충남 예산군 응봉면 후사리
병서공파 첨지사고 아산장재 종중 선조 가족 묘원
충남 아산시 배방면 수천리 산 5번지
첨천공파 파조 종부 시첨정 황린(黃璘)의 단비
대전 광역시 서구 원정동
판공서 방(傍) 7세조 판윤공(判尹公) 황문경(黃文卿)
경북 영천시 신령면 가천리
판윤공 황문경 이하 판서공파 묘역 전경
경북 영천시 신령면 가천리
제3장 창원황씨(昌原黃氏) 시중공계 경기
봉교공파 선조 회흥군(檜興君)황현의 영정
운사재(雲史齋)봉교공파 파조 봉교공 황위와 장남 황익중 (黃益中)손자 황헌의 재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선유동 서릿골
서담공파 서담공 이조판서 황진(黃璡)의 묘소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남방리 외암
봉교공파 파조 봉교공 황위(黃瑋)의 묘소
경기도 덕양구 선유리
판돈녕 부사공(判敦寧府事公) 이조판서(吏曹判書) 황흠(黃欽)영정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경지(敬之). 입중(立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泂)이고, 아버지는 신구(藎耉)이며, 어머니는 김취겸(金就兼)의 딸이다.
참봉으로 1680년(숙종 6)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이후 좌우참찬과 육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였다. 시장외제(試場外製)의 벌로 예조판서직에서 파면당하였고, 1713년(숙종 39)에는 한 해에 이조판서직에 임면되었다가 동시에 파면당하기도 하였다.
정사에 관여한 50여 년 동안 나름대로 소임을 다하여 3대(숙종·경종·영조)를 모셨다. 매사에 신중하였으며 청렴 검소하게 지냈으므로 헐뜯는 사람이 없었다.
1770년 임금이 대신들을 인견하는데 좌의정 송인명(宋寅明)이 아뢰기를, “청렴하고 신중한 사람을 택한다면 현재로는 이선현(李宣顯) 한 사람이고, 선조(先朝) 때 옛 신하 중에서 구한다면 판서 황흠이 엄정하면서도 화목하고 정사도 공정하고 예의를 준수하는 청렴결백한 신하였다.”고 하였다. 90세를 넘겼으나 조금도 흐트러짐이 없었고, 마지막 벼슬은 보국판돈녕(輔國判敦寧) 이조판서였다.
숭 모 재(崇 慕 齋)
경남 고성군 거류면 가려리 가동
제4장 창원황씨(昌原黃氏)시중공계 전북
항일의병장공(抗日義兵將公)황대연(黃大淵)의 묘소
전 무주군무풍면 회산리
순국의병장주 (殉國義兵將主)황대연(黃大淵)1876.101~1908.3.27 전북 무주(茂朱) 사람이다.
1905년 을사조약 늑결이후 일제의 국권침탈이 가속화되자 사재(私財)로 총기를 구입하고 의병을 소모(召募)하여 스스로 의병장이 되어 수년동안 일군과 항전하였다.그 뒤 1908년 2월 무주 일대에서 활동하던 유종환(劉鍾煥) 의병장 휘하에 들어가 포대장(砲大將)이 되어 장수(長水)·무주·함양(咸陽)·안의(安義)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같은 해 3월 23일 무풍면(茂豊面) 지성리(池城里) 전투에서 전사 순국하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순국의병장주 (殉國義兵將主)황대연(黃大淵)의 기념 동상
전북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
□ 건립취지 : 구한말 이고장을 중심으로 황대연, 이병열, 이종성 의병장의 항일독립운동을 기리고자함
□ 건립개요
〇 현충시설 관리번호 : 52-1-05
〇 위 치 : 전북 무주군 무풍면 금평리 95-1(마곡재)
〇 건립주체 : 순국의병장 추모상 건립추진위원회
〇 건립일자 : 1999-08
〇 시설규모 : 동상 2m, 좌대 2.5m, 향로석, 건립경위원비
〇 관 리 자 : 무풍면장
□ 관련행사 : 3.1절, 광복절, 11.17순국선열의날 추념참배(무풍면장)
제5편창원황씨(昌原黃氏)회산부원군계
창원황씨 회산부원군계(檜山府院君)계 시조 공희공(恭僖公) 황석기(黃石奇)는 1342년(충혜왕 복위3)밀직사지신사(密直司知申事)로 조적의 무리를 제거하고 왕을 시종한 공으로 1등 공신이 되었다. 1346년 충목왕이 8세로 즉위하자 경일시 독제(更日侍讀制)를 채용하여 46명의 서연관(西筵官)을 임명할 때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로 참여하였다.
1349년충정왕이 즉위하자 도첨의참리(都簽議參理) 임명되었고 이어 8월에 회산군에 봉하여졌다.
1356년(공민왕5) 5월에 기철(奇轍)을 졔거할 때 밀직으로서 누설되기 전에 빨리 제거할 것을 건의하여 찬성사가 되었고 7월에 관제를 복구할 때 문하 평장사에 임명되었다.
1358년에는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門下侍郞同中書門下平章事)에 이르렀고 1364년에 귀천하셨다.
회산부원군계의 대표적인 인물은 5세 1486년 무과 중시(重試) 장원, 경상우도수군절도사,함경북도절도사, 공조판서를 지낸 장무공(將武公) 황형(黃衡)1459년~1520년 자는 언평(彦平)과, 8세 1558년 알성문과(謁聖文科) 장원급제, 대사연,공조판서,호조판서를 지낸 황신(黃愼) 1560년~1617년 字 사숙(思叔) 號 추포(秋浦) 이다.
죽 산 재(竹 山 齋)
소재지: 경남 함안군 군북면 모로리
죽산재에는 사당에 회산부원군 공희공 황석기(黃石奇)와 회성부원군 공정공 황상(黃裳),평주공 황창(黃昌),좌윤공 도응 황준(黃濬),회와처사 황윤의(黃允義),훈련원 첨정 황경현(黃景憲),지평공황정일(黃精一),한성판윤 황덕민(黃德民),이봉처사 황후간(黃厚幹)의 위패를 봉안하고 제사를 모시고 있다.
동산재(東山齋) 경상남도 문화재 자료 제14호
소재지: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 신풍리 산 200번지
숙종6년(1680년)창원황씨 문중에서 건립한 동산재에는 공희공 황석기(黃石奇),공정공 황상(黃裳),도은공 황준(黃濬),회와공 황윤의(黃允義),일신재공 황우(黃瑀),신포공 황여필(黃汝弼),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15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동 산 재(東 山 齋)
경남 진주시 대평면 신풍리 산200번지
세 덕 사 (世德祠)
경남 진주시 대평면 신풍리 산200번지
공희공( 恭僖公) 황석기(黃石奇),공정공 황상(黃裳),도은공 황준(黃濬),회와공 황윤의(黃允義),일신재공 황우(黃瑀),신포공 황여필(黃汝弼),의 위패를 봉안
회산부원군계(檜山府院君) 시조 공희공(恭僖公) 황석기(黃石奇 유적비
경남 함안군 칠원면 유원리
삼 위 설 단 (三 位 設 壇)
소재지:경남 함안군 군북면 모로리 (죽산 )
회산부원군 공희공 황석기(黃石奇),장남 회성부원군 공정공 황상(黃裳),차남 평주공 황창 의 제단비
회산부원군계(檜山府院君) 시조 공희공(恭僖公) 황석기(黃石奇 지곡사 유허비
경북 경주시 산내면 오칠2리
세 덕 사(世德祠)
경남 진주시 대평면 신풍리 산200번지
공희공( 恭僖公) 황석기(黃石奇),공정공 황상(黃裳),도은공 황준(黃濬),회와공 황윤의(黃允義),일신재공 황우(黃瑀),신포공 황여필(黃汝弼),의 위패를 봉안 제향
회원사(檜 源 祠)와 유계사(柳溪祠) 전경
경남 함안군 칠원면 유원리(유동)
회원사에는 회산부원군 공희공 황석기(黃石奇)와 회성부원군 공정공 황상(黃裳),공의공 황윤서(黃允瑞),규정공 황군석(黃君碩),동종공 황총(黃總),정략장군 황유명(黃有明),정랑공 황육운(黃陸雲)을,유계사에 청백리공 황석건(黃碩健),인의공 황사겸(黃士謙),첨정공 황여지(黃汝址),인현공 황원록(黃元錄),독오당 황협, 퇴휴당 황열(黃悅),두은공 황이(黃怡)정재공 황이창(黃履昌),향재공 황효창(黃孝昌)을 봉안 하였다.
제2장 창원황씨 회산부원군계 인천 강화
창원황씨 회산부원군계(檜山府院君)계의 대표적인 인물 5세 황형 (黃衡)1459년~1520년 자는 언평(彦平 ), 장무공(將武公) 은 1480년 (성종11) 무과급제,1486년 (성종17)에 상서원판관으로 있으면서 무과 중시(重試)에서 장원을 하였다, 경상우도수군절도사,함경북도절도사, 공조판서를 지낸 장무공(將武公) 황형(黃衡)1459년~1520년 자는 언평(彦平)
1487년(성종 18)에 상호군으로 있었고, 1490년(숙종 21)에 혜산첨절제사가 되었으며, 1493년(성종 24)에 행호군(行護軍)으로 있다가 평안도조방장이 되었다.
1494년(성종 25) 훈련원 도정이 된데 이어 경상우도수군절도사가 되었다가 다시 훈련원 도정이 되었고, 뒤이어 다시 행부호군(行副護軍)이 되었다가 다시 경상우도수군절도사를 지냈다. 1495년(연산군 1)에 의주목사가 되었고, 1502년(연산군 8)에 회령부사가 되었으며, 1505년(연산군 11)에 부경사(赴京使)로 있었고, 1506년(연산군 12)에 함경북도절도사가 되었으나 1508년(중종 3)에 파직되었다.
1509년(중종 4) 복직되어 중추부지사로 있었고, 1510년(중종 5)에 삼포왜란이
일어나자 경상좌도방어사가 되어 경상우도방어사인 유당년[?~1526]과 난을 진압하고 경상좌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가 1511년(중종 6)에 다시 파직되었다. 1512년(중종 7)에 함경도순변사로 있으면서 야인(野人)들의 반란을 진압하였고, 1513년(중종 8)에 훈련원지사가 되었다.
1514년(중종 9)에 평안도절도사가 되었고, 1515년(중종 10)에 함경북도병마절도사가 되었으며, 1516년(중종 11)에 다시 중추부지사가 되었다. 1517년(중종 12)에 공조판서가 되었고, 1520년(중종 15)에 세상을 떠났다.
장 무 사(將 武 祠) 장무공 황형(黃衡)의 사당 전경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대묘동)
장 무 사(將 武 祠) 장무공 황형(黃衡)의 사당 전경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대묘동
장무공 황형(黃衡)의 신도비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대묘동
연 미 정(燕尾亭)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연미정은 한강과 임진강이 합하여 흐르다가 이곳에 이르러 두 갈래가 되어 한 줄기는 남쪽으로 한 줄기는 서쪽으로 흘러 마치 재비꼬리 처럼 생겼다 해서 연미정이라 하였다.고려 때 창건한 강화 10경의 하나로 중종조에 장무공 황형(黃衡)이 중수하였다.
장 무 공(將 武 公) 황형장군택지비(黃衡將軍宅址碑)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장무공 황형장군은 오위도총부 도총관에 이르는 30년간을 남서국경을 침략해 오는 왜군과 여진족을 정벌하여 나라를 지키고 공조판서를 지내다 낙향하여 거쳐하던 집터라고 한다.62세에 귀천하자 크게 슬퍼하던 중종임금이 장무공이란 시호와 함께 이곳 연미정 전 지역과 많은 전답.3만평에 이르는 산을 하사했다고 하며 지금은 그 후손들의 소유로 매년 배향을 하며 관리 하고 있다.
장 무 공(將 武 公) 황형장군(黃衡將軍) 묘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월곶리
관찰사 월포공(月浦公)황기(黃琦)의 묘소와 신도비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가납3리 능내동
제3장 창원황씨 화산부원군계 충남 부여
추포공(秋浦公) 황신(黃愼)영정
충남 부여군 부여泣리 창강서원내 이안재 봉안
황신(黃愼)字 사숙(思叔) 號 추포(秋浦) 1560~1617 이이(李珥) 율곡(栗谷)의 문인으로 1588년 宣祖21 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세자(世子)광해군을 따라 남하 체찰사(體察使의 종사관을 지내시고 대사연,공조,호조판서를 역임,임진왜란때 광해군을 시종한 공으로 위성공신(衛聖功臣) 2등에 회원부원군으로 봉해지고 우의정으로 추증 시호는 문민이다. 황신(黃愼)은 창원황씨 회산부원군계(檜山府院君)계 8세 이며 시조는 공희공(恭僖公) 황석기(黃石奇) 1342년(충혜왕 복위3)밀직사지신사(密直司知申事)로 조적의 무리를 제거하고 왕을 시종한 공으로 1등 공신이 되었다.
창 강 서 원(滄江書院)
추포공(秋浦公) 황신(黃愼)영정봉안
충남 부여군부여읍 지석3리
추포공(秋浦公) 황신(黃愼)묘소
충남 부여군부여읍 지석3리
의 열 사 (義 烈 祠) 전경
백제의 3충신 계백(階伯),흥수(興首),성충(成忠),고려충신 이존오(李存五),조선 충신 정택뢰(鄭澤雷),충렬공 황일호(黃一晧)의 위패를 봉안한 사당(충남 문화재 자료 제114호)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동남1리
의열사는 선조 8년 (1575)부여현감(扶餘縣監) 홍가신(洪可臣)이 백제(百濟) 의 3충신 계백(階伯),흥수(興首),성충(成忠)과 고려충신 이존오(李存五)을 위하여 건립하고 선조 10년 (1577)사액(賜額)되었다. 인조 19년 (1641)에 중수되었으며 ,후에 조선 충신 정택뢰(鄭澤雷),충렬공 황일호(黃一晧)를 추가 배향하고 해마다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내고 있다. 고종 3년에 철폐 되었다가 그후 복원되었는데 본래 용정리(龍井里)망월산에 있던 것을 1971년에 현 남령공원(南領公園)으로 이건 한 것이다.맞배지붕에 다포계(多包系)정면3칸,측면 3칸에 솟을삼문이 있다.
도 림 사(道 林 祠) 증 병조참의 황대형(黃大亨)의 사당
충남 연기군 남면 종촌1구 도림리
노 산 재 (魯 算 齋) 석암공(石巖公) 황범(黃汎)의 재실
경남 진주시 일반성면 답천리
세 원 사(世 源 祠) 어모장군 남와공(南窩公) 황세철(黃世喆)이하 후손 사당
경남 마산시 합포구 진전면 임곡리
충렬공 황일호(黃一皓)의 사당
충남 부여군 부여읍 가증2리55번지
충렬공 황일호(黃一皓)의 묘정비
충남 부여군 부여읍 가증2리 55번지
9세 충렬공(忠烈公)황일호(黃一皓)의 묘소 (충남 문화재 자료 111호)
충남 부여군 부여읍 가증2리 55번지
제4장 회산부원군계 영주 안정(대룡산)
명역재(明易齋) 구암공(龜巖公) 황효공(黃孝恭)의 재실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구암(龜巖)황효공(黃孝恭)1469년(연산군2)~1553년(명종8) 영천 (현 영주)가흥리에서 출생,1521년(중종16)26세의 나이로 문과 급제,내관직으로 승문원 권지부정자(承文院權知副正字),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형조좌랑(刑曺佐郞),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한성부윤(漢城府尹)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사간원사간(司諫院司),외간직 으로는 황해도사(黃海都事),금산군수,1542년(중종37)경주교수(慶州敎授)부임후 바로 신병으로 사직,고향은거 1553년(명종8)5월 향년 58세에 귀천
구암 황효공의 집안은 황석기(黃石奇)를 시조로 하는 창원황씨 가문이다.황석기는 본래 원나라 사람이었는데 공민왕 때에 노국대장공주를 호위하고 들어온 뒤 고려에 귀화 하여 평장사를 지냈다.공민왕은 그에게 창원부(昌原府)의 의창현(義昌縣)을 식읍으로 하사하고 회산군(檜山君)의 작호를 내렸다. 그의 후손들도 대대로 조정에서 벼슬을 지냈다.
구 암 고 택 (龜 巖 古 宅) 표지석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창원황씨 구암종택 표지석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상 례 문 (尙 禮 門)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경 덕 사 (敬 德 嗣) 구암공(龜巖公) 황효공(黃孝恭)의 위패 사당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구 암 정(龜 巖 亭) 구암공(龜巖公) 황효공(黃孝恭)의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구 암 종 택(龜 巖 宗 宅)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오산정(伍 汕 亭)과 경덕사(경 덕 사 (敬 德 嗣) 전경
경북 영주시 안정면 용산리
다음 편은 창원황씨 대상공계입니다.
감사 합니다
2015년 을미년 새해
황 윤 진 올림
창원황씨 시중공계 항열
時中公派
一世 | 二世 | 三世 | 四世 | 五世 | 六世 | 七世 |
信 | 居 | 孝 | 允 | 삼수변 | 源 | 鄕 |
八世 | 九世 | 十世 | 十一世 | 十二世 | 十三世 | 十四世 |
王 | 中 | 삼수변 | 道 | 金 | 應 | 책바침 |
十五世 | 十六世 | 十七世 | 十八世 | 十九世 | 二十世 | 二一世 |
彦 | 基 | 鍾 | O淵 | O秀 O休 | O性 O烈 | 圭O 致O |
二二世 | 二三世 | 二四世 | 二五世 | 二六世 | 二七世 | 二八世 |
善O O鉉 | 淳O O泰 | O東 O根 | O熙 榮O | O均 O坤 | O鎭 O鎔 | 溶O 漢O |
二九世 | 三十世 | 三一世 | 三二世 | 三三世 | 三四世 | 三五世 |
O權 O柱 | O燮 O燁 | O培 O壎 | O鎬 O銀 | O澤 O潤 | O植 O杓 | O魯 O爀 |
고려조와 조선조의 창원황씨(昌原黃氏) 인물
시중공 파
황자(梓) : 부제학, 대사헌을 역임하고 동지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와 기행문 "갑인연행록"과
"경오연행록"을 편술하였다.
황인검(仁儉) : 황자의 큰아들. 형조판서를 지냈다.
황인점(仁點) : 황자의 둘째 아들. 영조의 딸 화유옹주와 결혼, 정조 때에는 동지 겸 사은사가
되어 일곱 차례 청나라에 다녀왔다.
호장공파 12세조
황사우(黃士祐) : 호조판서,병조판서,예조판서, 이조판서를 거쳐 우찬성을 역임하였다.
(병산 출생~7세백동 이거)
황응규(應奎) : 황사우의 아들. 이퇴계의 문하생으로 임진왜란 때 절충장군에 오르고 돈녕
부지사를 지냈다.
황섬(暹) : 황사우의 손자. 부제학, 대사헌이 되었으나, 계축옥사(1613) 이후 낙향하여 학문
에만 전념하였다. 소북파의 영수로 영의정을 지낸 유영경(柳永慶)의 처남이다.
공희공 파
황상(裳) : 황석기의 아들. 문하찬성사·서강도원수 등을 지냈다.
황형(衡) : 황상의 6세손. 공조판서를 지냈다.
황기(琦) : 황형의 아들. 직제학·대사간을 거쳐 도승지, 경기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황신(愼) : 황형의 증손. 이율곡(李栗谷)의 문하생으로 정여립의 옥사(1589) 때 정언(正言)
으로서 대신들이 서로 직언을 회피한 사실을 논박하다가 좌천되기도
하였으나, 후에 공조, 호조판서를 지냈다.
이 밖에 창원황씨의 인물로는
황구하(龜河) : 영조 때 노론의 중진으로 이조판서를 지냈다.
황사영(嗣永) : 신유박해 때 순교한 백서(帛書)사건의 주인공이다.
황기천(基天) : 순조 때의 명문장이며 명필이다.
황재영(在英) : 고종 때의 학자이다.
황필수(必秀) : 명의(名醫)이다.
역대 주요 인물
▲고려조
황충준(黃忠俊) 문하시중(門下侍中)
황하응(黃河應) 찬성사(贊成事)
황하청(黃河淸)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황신(黃信) 공부상서(工部尙書)
황호(黃昊) 태사(太師)
황상(黃裳) 시호(諡號):공정(恭靖)/회성부원군(檜城府院君)/찬성사(贊成事)
▲조선조
황거정(黃居正) 시호(諡號):충현(忠賢)/의원군(義原君)/형조판서(刑曹判書)
황거직(黃居直) 시호(諡號):충렬(忠烈)/철원도호부사(鐵原都護府使)
황사윤(黃斯允)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황순경(黃舜卿) 자(字):의중(義仲)/내자사부정(內資寺副正)
황현원(黃顯源) 자(字):자원(子元)/호(號):문호(文浩)/이조판서(吏曹判書)
황문경(黃文卿) 자(字):일장(日章)/호(號):퇴은(退隱)/병조판서(兵曹判書)
황대원(黃大源) 자(字):자옥(子玉)/공조참의(工曹參議)
황성원(黃成源) 대호군(大護軍)
황일원(黃一源) 단천도호부사(端川都護府使)
황수(黃洙)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
황려(黃呂) 자(字):보윤(甫允)/이조판서(吏曹判書)
황승량(黃承良) 자(字):희원(希元) ·예조참판(禮曹參判)
황효공(黃孝恭)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황약윤(黃若允) 군자감부정(軍資監副正)
황장손(黃長孫) 예조참판(禮曹參判)
황윤조(黃胤曹) 청주목사(淸州牧使)
황세균(黃世均) 부총관(副摠管)
황계조(黃繼曹) 진첨절제사(鎭僉節制使)
황한신(黃漢臣) 영변대도호사(寧邊大都護使)
황옥경(黃玉卿) 병마수군첨절제사(兵馬水軍僉節制使)
황담(黃淡) 자(字):여심(汝深)/상호군(上護軍)
황언필(黃彦弼) 병조판서(兵曹判書)
황몽린(黃夢麟) 훈련원도정(訓練院都正)
황억수(黃億守)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민중(黃敏中) 자(字):공망(公望)/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황성중(黃成中) 단천부사(端川府使)
황현구(黃현구)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황인창(黃仁昌) 자(字):덕여(德汝)/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종철(黃鍾喆) 자(字):현경(顯敬)/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기문(黃基文)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
황종규(黃鍾奎) 자(字):국원(國元)/호(號):국포(菊圃)/공조참판(工曹參判)
황종도(黃鍾度) 자(字):순하(順夏)/호조참의(戶曹參議)
황섭(黃燮) 자(字):신도(信道)/예조참판(禮曹參判)
황영연(黃泳淵) 자(字):비서(秘瑞)/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황림(黃琳) 자(字):여온(汝溫)/호(號):겸재(謙齋)
시호(謚號):평장(平莊)/의창군(義昌君)/이조판서(吏曹判書)
황도중(黃道仲) 자(字):광해(光海)/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응견(黃應堅) 자(字):응오(應五)/홍문관제학(弘文館提學)
황도균(黃道均) 자(字):군길(君吉)/영변대도호부사(寧邊大都護府使)
황집(黃鏶) 자(字):이옹(而翁)/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광하(黃廣河) 자(字):광여(廣汝)/공조참의(工曹參議)
황인대(黃仁大) 자(字):우청(遇淸)/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종석(黃鍾奭)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우수(黃禹洙) 자(字):치화(致和)/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준근(黃俊根) 자(字):사순(士順)/의흥위장(義興衛將)
황석련(黃錫蓮) 자(字):내성(乃成)/호(號):괴정(槐亭)/도승지(都承旨)
황극중(黃克中) 자(字):화남(和南)/안동부사(安東府使)
황측(黃측) 자(字):상함(尙涵)/호(號):첩산(捷山)/청주병마절도사(淸州兵馬節度使)
황하연(黃夏淵) 자(字):우서(禹瑞)/호(號):회엄(檜奄)/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숙(黃璹) 자(字):사온(士溫)/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도천(黃道千) 자(字):석천(錫千)/돈녕부도정(敦寧副都正)
황유철(黃有喆) 자(字):철웅(哲雄)/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황차숙(黃次淑) 자(字):문옥(文玉)/돈녕부도정(敦寧副都正)
황경(黃梗) 자(字):인경(燐慶)/훈련원도정(訓練院都正)
황인관(黃仁寬) 자(字):여흥(汝興)/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하수(黃河秀) 자(字):학래(鶴來)/첨주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봉성(黃奉性) 자(字):성국(成菊)/좌승지(左承旨)
황화(黃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창원(黃昌遠)병조참판(兵曹參判)
황감(黃鑑) 자(字):성규(星奎)/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충상(黃忠祥) 공조참판(工曹參判)
황종업(黃鍾業) 자(字):유보(有甫)/호조참의(戶曹參議)
황인일(黃仁一) 자(字):명운(明運)/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준(黃濬) 자(字):운기(雲起)/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인가(黃仁佳)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주(黃柱) 자(字):순재(順載)/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황기성(黃基成) 자(字):치백(致伯)/호조참의(戶曹參議)
황인명(黃仁明) 자(字):득명(得明)/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수연(黃洙淵) 자(字):성길(聖吉)/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복중(黃福中) 부평도호부사(富平都護府使)
황하복(黃河復) 자(字):숙담(淑淡)/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진형(黃振炯) 자(字):백공(伯恭)/형조참의(刑曹參議)
황회연(黃會淵) 자(字):윤일(允一)/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갑수(黃甲秀) 자(字):화필(和弼)/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우중(黃虞中) 자(字):경오(敬午)/호조참판(戶曹參判)
황몽구(黃몽구) 자(字):수일(壽一)/호(號):선암(仙岩)/장악원정(掌樂院正)
황일(黃鎰) 자(字):순범(淳範)/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황수구(黃수구) 자(字):형근(亨根)/상호군(上護軍)
황기창(黃基昌)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황식(黃植) 자(字):관홍(寬洪)/대호군(大護軍)
황은하(黃銀河) 대사성(大司成)
황기정(黃基貞) 부승지(副承旨)
황흥운(黃興云) 자(字):성범(性範)/병조참판(兵曹參判)
황방하(黃邦河) 자(字):하길(河吉)/부사(府使)
황희수(黃晞秀) 자(字):사집(仕集)/중화도호부사(中和都護府使)
황두연(黃斗淵) 자(字):인도(仁道)/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황해중(黃海中) 자(字):선종(善宗)/장악원정(掌樂院正)
황교신(黃敎信) 자(字):사수(司受)/공조참판(工曹參判)
황득선(黃得善) 자(字):공모(孔模)/호(號):월계(月溪)/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황득성(黃得性) 자(字):후립(厚立)/군자감정(軍資監正)
황성구(黃성구) 자(字):현오(顯五)/공조참의(工曹參議)
황종관(黃鍾寬) 자(字):영원(英元)/호(號):운초(雲楚)/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종삼(黃鍾三) 자(字):중현(重賢)/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종성(黃鍾成) 자(字):희찬(希贊)/형조참판(刑曹參判)
황인엽(黃仁燁) 자(字):대재(大載)/함경도수군절도사(咸鏡道水軍節度使)
황필연(黃泌淵) 자(字):운삼(云三)/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황남구(黃남구) 자(字):이남(以南)/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기복(黃基福) 자(字):기중(基仲)/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기덕(黃基德) 자(字):덕만(德滿)/호조참판(戶曹參判)
황기원(黃基源) 자(字):덕일(德一)/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인상(黃仁祥) 자(字):백련(白鍊)/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황기우(黃基祐) 자(字):일근(一根)/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황덕연(黃德淵) 자(字):선현(善鉉)/좌찬성(左贊成)
황광연(黃光淵) 자(字):경익(敬翊)/호(號):죽헌(竹軒)/우찬성(右贊成)
황만수(黃萬秀) 자(字):만권(萬權)/호조참판(戶曹參判)
황옥연(黃玉淵) 자(字):윤습(允習)/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황준(黃濬) 한성좌윤(漢城左尹)
황사우(黃士祐) 자(字):국보(國輔)/호(號):용헌/우찬성(右贊成)
황형(黃衡) 자(字):언평(彦平)/호(號):장무(莊武)/공조판서(工曹判書)
황진(黃璡)자(字):경미(景美)/호(號):서담(西潭)/시호(謚號):효정(孝貞)/판경녕부사(判敬寧府事)
황치성(黃致誠) 자(字):이실(而實)/승지(承旨)
황서(黃曙) 자(字):광원(光遠)/목사(牧使)
황혁(黃赫) 자(字):회지(晦之)/호(號):독석(獨石)/승지(承旨)
황섬(黃暹) 자(字):경명(景明)/호(號):둔암(遯庵)/시호(謚號):정익(貞翼)/대사헌(大司憲)
황응규(黃應奎) 자(字):중문(仲文)/호(號):송간(松澗)/동지돈녕부사(同知敦寧府事)
황집중(黃執中) 자(字):시망(時望)/호(號):영곡(影谷)/화가(畵家)
황신(黃愼) 자(字):사숙(思叔)/호(號):추포(秋浦)/시호(謚號):문민(文敏)/호조판서(戶曹判書)
황치경(黃致敬) 자(字):이도(而道)/호(號):몽죽(夢竹)/부사(府使)
황근중(黃謹中) 자(字):일지(一之)/호(號):월탄(月灘)/관찰사(觀察使)
황경중(黃敬中) 자(字):직지(直之)/호(號):오촌(梧村)/관찰사(觀察使)
황수(黃자) 자(字):행원(行源)/목사(牧使)
황흠(黃欽) 자(字):경지(敬之)/이조판서(吏曹判書)
황구하(黃龜河) 자(字):성징(聖徵)/호조판서(戶曹判書)
황인검(黃仁儉) 자(字):경덕(景德)/시호(謚號):정효(貞孝)/형조판서(刑曹判書)
황재(黃梓) 자(字):자직(子直)/호조참판(戶曹參判)
황인하(黃仁夏) 자(字):유선(幼善)/좌부승지(左副承旨)
[등과(登科)·음사인명(蔭仕人名)]
▲조선조
문과(文科)
황귀경(黃貴卿) 황숙(黃淑) 사성(司成) 황희성(黃希聖) 판서(判書) 황사우(黃士祐) 이판(吏判) 황의헌(黃義軒) 군수(郡守) 황기(黃琦) 기백(畿伯) 황림(黃琳) 이판(吏判) 황대수(黃大受) 정랑(正郞) 황응규(黃應奎) 동돈(同敦) 황황(黃遑) 대헌(大憲) 황감(黃감) 예좌(禮佐) 황진(黃璡) 판중(判中) 황서(黃曙) 목사(牧使) 황치성(黃致誠) 감사(監司) 황찬(黃璨) 부사(府使) 황위(黃瑋) 한림(翰林) 황치경(黃致卿) 공백(空伯) 황시(黃是) 부학(副學) 황극중(黃克中) 장령(掌令) 황신(黃愼) 호판(戶判) 황민중(黃敏中) 장령(掌令) 황경중(黃敬中) 충백(忠伯) 황유중(黃有中) 병좌(兵佐) 황근중(黃謹中) 전백(全伯) 황익중(黃益中) 사간(司諫) 황수(黃수) 목사(牧使)
황익청(黃益淸) 사예(司藝) 황일호(黃一皓) 부윤(府尹) 황입신(黃立信) 좌랑(佐郞) 황준구(黃준구) 감사(監司) 황도굉(黃道宏) 병정(兵正) 황윤(黃玧) 승지(承旨) 황흠(黃欽) 이판(吏判) 황수억(黃수억) 감찰(監察) 황일하(黃一夏) 대헌(大憲) 황구하(黃구하) 호판(戶判) 황계하(黃啓河) 수찬(修撰) 황류(黃류) 목사(牧使) 황규하(黃奎河) 수찬(修撰) 황재(黃梓) 이참(吏參) 황태빈(黃泰彬) 감찰(監察) 황상로(黃尙老) 지평(持平) 황최언(黃最彦) 부윤(府尹) 황우(黃虞) 예정(禮正) 황면(黃冕) 전적(典籍) 황합(黃합) 참판(參判) 황인검(黃仁儉) 이판(吏判) 황인채(黃麟采) 황준(黃晙) 판서(判書) 황간(黃幹) 승지(承旨) 황장(黃樟) 황인현(黃仁炫) 지평(持平) 황인하(黃仁夏) 장령(掌令) 황만령(黃萬齡) 황기안(黃基安) 현감(縣監) 황기천(黃基天) 승지(承旨) 황석범(黃錫範) 승정(承正) 황종현(黃鍾顯) 참판(參判) 황시영(黃時英) 장령(掌令) 황호민(黃號民) 참판(參判) 황학수(黃學秀) 참판(參判) 황익수(黃益秀) 참판(參判) 황기연(黃耆淵) 자헌(資憲) 황진주(黃晉洲) 응교(應敎) 황장연(黃章淵) 승지(承旨) 황회연(黃會淵) 승지(承旨) 황락성(黃樂成) 주서(注書)
[음사인명(蔭仕人名)]
황하응(黃河應) 찬성(贊成) 황신(黃信) 경북윤(京北尹)
황거정(黃居正) 개국공신(開國功臣)/의원군(義原君)
황효성(黃孝誠) 현령(縣令) 황사윤(黃斯允) 평병(平兵)
황징(黃澄) 군수(郡守) 황준원(黃浚源) 부사(府使)
황탕경(黃湯卿) 전첨(典籤) 황득중(黃得中) 현감(縣監)
황서하(黃瑞河) 도정(都正) 황인점(黃仁點) 창성위(昌城尉)
황기옥(黃基玉) 군수(郡守) 황종림(黃鍾林) 목사(牧使)
황이중(黃履中) 별천(別薦) 황상하(黃象河) 진사(進士)
황인덕(黃仁德) 증판서(贈判書) 황종석(黃鍾碩) 감정(監正)
황성연(黃聖淵) 통정(通政) 황영수(黃永秀) 가선(嘉善)
황중수(黃仲秀) 통정(通政) 황만수(黃萬秀) 도정(都正)
황상렬(黃商烈) 가선(嘉善) 황창렬(黃昌烈) 참봉(參奉)
황충렬(黃忠烈) 주사(主事) 황순경(黃舜卿) 부정(副正)
황숙(黃璹) 도정(都正) 황존중(黃存中) 군수(郡守)
황집(黃潗) 현감(縣監) 황여구(黃여구) 증지평(贈持平)
황최(黃最) 진사(進士) 황우경(黃禹卿) 현령(縣令)
황원(黃瑗) 군수(郡守) 황수동(黃水同) 가선(嘉善)
황치남(黃致楠) 통훈(通訓) 황후원(黃厚元) 참의(參議)
황위재(黃渭載) 증좌윤(贈左尹) 황덕래(黃德來) 참봉(參奉)
황채도(黃采道) 통정(通政) 황채구(黃采龜) 가선(嘉善)
황계명(黃啓明) 증승지(贈承旨) 황기득(黃基得) 증참판(贈參判)
황종욱(黃鍾旭) 증가선(贈嘉善) 황재문(黃再文) 통정(通政)
황진연(黃鎭淵) 증자헌(贈資憲) 황안복(黃安福) 오위장(五衛將)
황종성(黃鍾成) 참봉(參奉) 황매연(黃梅淵) 감찰(監察)
황념(黃념) 승지(承旨) 황식(黃식) 판관(判官)
황경연(黃景淵) 감찰(監察) 황호(黃琥) 복정(僕正)
황사훈(黃師勳) 감찰(監察) 황영추(黃榮樞) 증참판(贈參判)
황하수(黃河水) 동추(同樞) 황창(黃昌) 증형의(贈刑議)
황석기(黃石奇) 평장사(平章事)/시호(謚號):공희(恭僖)
황선경(黃善慶) 병참(兵參) 황인헌(黃仁軒) 참봉(參奉)
황예헌(黃禮軒) 병판(兵判) 황형(黃衡) 공판(工判)
황원(黃瑗) 이판(吏判) 황하영(黃夏英) 현감(縣監)
황상정(黃尙鼎) 현감(縣監) 황경조(黃景祚) 봉사(奉事)
황대용(黃大用) 증이참(贈吏參) 황구성(黃玖誠) 승지(承旨)
황치신(黃致信) 현감(縣監) 황청(黃淸) 진사(進士)
황민달(黃敏達) 진문(進文) 황상구(黃相九) 생원(生員)
황우진(黃友進) 선전(宣傳) 황우신(黃友信) 진사(進士)
황우상(黃友尙) 진사(進士) 황태일(黃太一) 첨추(僉樞)
황기원(黃基元) 사청(師廳) 황호공(黃浩公) 통정(通政)
황호중(黃浩中) 통정(通政) 황도인(黃道仁) 가선(嘉善)
황충희(黃忠熙) 진사(進士) 황지헌(黃智軒) 부사정(副司正)
황진(黃璡) 판관(判官) 황효성(黃孝誠) 진사(進士)
황득중(黃得中) 판관(判官) 황응록(黃應祿) 통정(通政)
[조선조 급제자 정록]
황의헌(黃義軒) 세종(世宗)24년/친시(親試)/을과(乙科)
황숙(黃淑) 세조(世祖)2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사우(黃士祐) 중종(中宗)4년/별시(別試)/갑과(甲科)
황유중(黃有中) 중종(中宗)9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황효공(黃孝恭) 중종(中宗)16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황기(黃琦) 중종(中宗)19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황림(黃琳) 명종(明宗)7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황대수(黃大受) 명종(明宗)19년/별시(別試)/을과(乙科)
황응규(黃應奎) 선조(宣祖)2년/알성시(謁聖試)/병과(丙科)
황섬(黃暹) 선조(宣祖)3년/식년시(式年試)/갑과(甲科)
황감(黃?) 선조(宣祖)5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황진(黃璡) 선조(宣祖)7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황치성(黃致誠) 선조(宣祖)13년/알성시(謁聖試)/갑과(甲科)
황서(黃曙) 선조(宣祖)13년/알성시(謁聖試)/갑과(甲科)
황찬(黃璨) 선조(宣祖)13년/알성시(謁聖試)/병과(丙科)
황위(黃瑋) 선조(宣祖)13년/별시(別試)/을과(乙科)
황치경(黃致敬) 선조(宣祖)13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황시(黃是) 선조(宣祖)17년/친시(親試)/을과(乙科)
황극중(黃克中) 선조(宣祖)18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황신(黃愼) 선조(宣祖)21년/알성시(謁聖試)/갑과(甲科)
황민중(黃敏中) 선조(宣祖)27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경중(黃敬中) 선조(宣祖)35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황유중(黃有中) 선조(宣祖)39년/증광시(增廣試)/을과(乙科)
황근중(黃謹中) 선조(宣祖)39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황치경(黃致敬) 광해즉위(光海卽位)/중시(重試)/병과(丙科)
황익중(黃益中) 광해(光海)5년/중시(重試)/병과(丙科)
황수(黃수) 광해(光海) 10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익청(黃益淸) 인조(仁祖)8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황일호(黃一皓) 인조(仁祖)13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황입신(黃立信) 인조(仁祖)17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준구(黃준구) 인조(仁祖)24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도굉(黃道宏) 효종(孝宗)4년/알성시(謁聖試)/병과(丙科)
황윤(黃玧) 숙종(肅宗)6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흠(黃欽) 숙종(肅宗)6년/별시(別試)/을과(乙科)
황수억(黃수억) 숙종(肅宗)19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일하(黃一夏) 숙종(肅宗)22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구하(黃龜河) 숙종(肅宗)31년/알성시(謁聖試)/병과(丙科)
황계하(黃啓河) 숙종(肅宗)32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류(黃류) 숙종(肅宗)36년/증광시(增廣試)/갑과(甲科)
황규하(黃奎河) 숙종(肅宗)39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황재(黃梓) 숙종(肅宗)44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태빈(黃泰彬) 영조(英祖)2년/강도별시(江都別試)/병과(丙科)
황상로(黃尙老 (영조(英祖)9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취언(黃取彦) 영조(英祖)11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황진(黃眞) 영조(英祖)13년/별시(別試)/병과(丙科)
황면(黃冕) 영조(英祖)16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황합(黃합) 영조(英祖)20년/정시(庭試)/갑과(甲科)
황인검(黃仁儉) 영조(英祖)23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황덕윤(黃德潤) 영조(英祖)26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야(黃椰) 영조(英祖)27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인채(黃鱗采) 영조(英祖)30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황박(黃樸) 영조(英祖)32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건(黃乾) 영조(英祖)35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장(黃樟) 영조(英祖)41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황석범(黃錫範) 영조(英祖)47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준(黃晙) 영조(英祖)47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인현(黃仁炫) 정조(正祖)3년/광주정시(廣州庭試)/을과(乙科)
황재실(黃載實) 정조(正祖)7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기천(黃基天) 정조(正祖)16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만령(黃萬齡) 정조(正祖)16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기안(黃基安) 순조(純祖)4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경언(黃儆彦) 순조(純祖)7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기문(黃基文) 순조(純祖)10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종인(黃鍾人) 순조(純祖)14년/식년시(式年試)/갑과(甲科)
황호민(黃浩民) 순조(純祖)16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종현(黃鍾顯) 헌종(憲宗)14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황인하(黃仁夏) 헌종(憲宗)15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황정연(黃正淵) 철종(哲宗)10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황종운(黃鍾運) 철종(哲宗)14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익수(黃益秀) 고종(高宗)3년/별시(別試)/갑과(甲科)
황인하(黃仁夏) 고종(高宗)3년/중시(重試)/병과(丙科)
황보연(黃普淵) 고종(高宗)6년/정시(庭試)/을과(乙科)
황기연(黃耆淵) 고종(高宗)10년/식년시(式年試)/을과(乙科)
황학수(黃學秀) 고종(高宗)16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보연(黃輔淵) 고종(高宗)22년/식년시(式年試)/병과(丙科)
황치호(黃致鎬) 고종(高宗)24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장연(黃章淵) 고종(高宗)26년/알성시(謁聖試)/병과(丙科)
황락성(黃樂成) 고종(高宗)28년/정시(庭試)/병과(丙科)
황회연(黃會淵) 고종(高宗)28년/증광시(增廣試)/병과(丙科)
[벌열(閥閱)]
●공신(功臣) : 황림(黃琳)(선조조·종계변무3등공신(宗系辨誣三等功臣))
●문형(文衡) : 황경중(黃敬中)(선조조) 황규(黃奎)(선조조) 황일호(黃一皓)(인조조)
●청백리(淸白吏) : 황근중(黃謹中)(선조조) 황경중(黃敬中)(선조조) 황치경(黃致敬)(선조조)
황신(黃愼)(선조조) 황섬(黃暹)(선조조) 황응규(黃應奎)(인조조)
황일호(黃一皓)(인조조)
●명륜(明倫) : 충의(忠義)) 황상중(黃祥中)(증호판(贈戶判)
●문집(文集) : 황덕길(黃德吉) 《하려집(下廬集)》 《공백당집(拱白堂集)》
황시(黃是) 《조천록(朝天錄)》 《부훤당집(負暄堂集)》
황신(黃愼) 《추포집(秋浦集)》 《막부삼사수창록》
황용한(黃龍漢)/정와집(貞窩集) 《일본왕환일기(日本往還日記)》
황응규(黃應奎) 《송간고(松澗稿)》
황재영(黃在英) 《대계유고(大溪遺稿)》
황최(黃最) 《독성재집(獨醒齋集)》
황택후(黃宅厚) 《소막창수록(瀟幕唱酬錄)》
황필수(黃泌秀) 《방약합편(方藥合編)》 《신식유서필지(新式儒胥必知)》
《달도집주대전(達道集註大全)》
▣ 科擧及第者(朝鮮時代)
| |
黃致誠(황치성)(1562壬戌生):文科 宣祖21(1588) 謁聖試 甲科 壯元及第 黃哈(황합)(1699己卯生) : 文科 英祖20年(1744) 庭試 甲科 壯元及第 黃益秀(황익수)(1836丙申生):文科 高宗3年(1866) 庭試 甲科 壯元及第 黃曙(황서) (1554 甲寅生) : 文科 宣祖13年(1580) 謁聖試 丙科 黃是(황시) (1555 乙卯生) : 文科 宣祖17年(1584) 親試 乙科 黃致敬(황치경) (1555 乙卯生) : 文科 光海君1年(1608) 重試 丙科 黃玧(황윤) (1623 癸亥生) : 文科 肅宗6年(1680) 春塘臺試 丙科 黃一夏(황일) (1644 甲申生) : 文科 肅宗22年(1696) 庭試 丙科 黃尙老(황상로) (1683 癸亥生) : 文科 英祖9年(1733) 式年試 丙科 等 모두 402名의 科擧 及第者가 있다. (文科 78名,武科 24名,司馬試 274名,譯科 11名,醫科 6名,律科 8名, 籌學 1名) |
다음은 창원황씨 회산부원군계로 연결됩니다
~ 감사합니다 ~
2015년 을미년 새해
황 윤 진 올림